메뉴 건너뛰기



AI 시대 새 생존전략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가 23일 네이버 스퀘어 역삼점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경량화 모델 ‘하이퍼클로바X 시드(SEED)’와 소버린 AI 전략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 네이버클라우드]
비용은 줄이되, 능력은 키우는 글로벌 인공지능(AI) 개발 경쟁 틈바구니에서 한국은 생존할 수 있을까. 네이버가 이 고차방정식 문제의 해법으로 ‘AI 모델 무료 공개’라는 전략을 들고 나왔다. 업계에선 지난달 이사회 의장으로 복귀한 이해진 창업자의 의중이 담긴 승부수라는 해석이 나온다.

네이버클라우드는 23일 서울 네이버 스퀘어 역삼점에서 열린 ‘테크밋업’ 행사에서 자체 개발한 경량 AI 모델 ‘하이퍼클로바 X 시드(SEED)’ 모델 3종을 오픈소스로 공개한다고 밝혔다. 3종은 파라미터(매개변수) 수에 따라 3B(30억 개), 1.5B(15억 개), 0.5B(5억 개)로 나뉜다. 성낙호 네이버클라우드 하이퍼스케일 AI 기술 총괄은 이날 “AI 모델을 실제 서비스에 적용할 때 기업들이 가장 먼저 마주하게 되는 문제가 비용”이라며 “AI 기능을 부분적으로 적용하고 싶을 때도 경량화된 모델이 실용적인터라 앞으로도 경량 모델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업데이트 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네이버는 이 3가지 모델을 24일부터 상업용 목적으로 무료 이용할 수 있게 했다. 국내 기업 AI 모델의 상업용 무료 공개는 하이퍼클로바X 시드가 처음이다. LG AI연구원의 AI 모델 엑사원은 연구 목적에 한해서만 무료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기업들이 GPU(그래픽처리장치) 리소스 부담 없이 가장 범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경량 모델을 국내 기업 최초로 무료 제공해 AI 생태계 활성화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김주원 기자
지금까지 유료 모델을 고수해왔던 네이버가 새 AI 모델을 무료로 푼 이유는 국내 AI 생태계를 확장하기 위해서다. 이미 오픈AI, 구글 등 글로벌 빅테크들은 성능 좋은 경량 AI 모델을 다수 출시하며 시장을 장악해 가고 있다. 자금, 개발력면에서 빅테크와 비교해 열세인 네이버는 각종 서비스에 AI 기술을 붙이는 ‘온 서비스 AI’(On-Service AI), 한국 문화에 특화한 AI를 만드는 ‘소버린 AI’ 전략을 통해 이를 풀어나가려 한다. 무료 모델 공개는 이같은 전략에 힘을 실어주기 위한 방안으로 해석된다.

이번 발표는 창업자 이해진 의장의 경영 복귀 이후 네이버가 처음 공식적으로 AI 모델을 공개했다는 점에서도 관심을 끌었다. 네이버는 이날 이해진 의장이 전부터 강조해온 소버린 AI 전략에 대해 모델 소개 전 약 30분에 걸쳐 설명하기도 했다. 김유원 대표는 “미·중 기술 패권 경쟁 상황에서 AI를 스스로 만들고 운영할 역량은 안보와 직결되는 만큼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소버린 AI 구축은 국가적 차원의 총체적 역량이 필요한 장기적인 체력전”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기술 확보를 넘어 일상에 밀착된 혁신적인 AI 서비스가 나올 수 있도록 AI 생태계를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빅테크들 사이에서 국내 AI 생태계 확장을 발판으로 한 네이버의 소버린 AI 전략이 얼마나 효과를 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기술 경쟁에서 밀리고 있는 상황이기도 하다. 네이버는 다가올 AI 에이전트 시대 핵심 기술로 꼽히는 추론 AI 모델을 아직 시장에 공개하지 못하고 있다. 이날 올 상반기 안에 하이퍼클로바X 최고급(플래그십) 모델 기반으로 개발 중인 ‘추론 모델’을 선보인다는 계획만 발표했다. 국내 AI 업계 관계자는 “앞으로 중요한 것은 경쟁력 있는 성능의 모델을 얼마나 적은 자원으로 만들어 내고 이를 얼마나 싸게 서비스할 수 있느냐”라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983 “트럼프, 車업체 위해 일부 부품 관세 면제 검토” 랭크뉴스 2025.04.24
47982 홍준표 “중범죄자 통치 막는 길, 무엇이라도 한다” 랭크뉴스 2025.04.24
47981 [속보] 트럼프 "2∼3주 안에 對中 관세율 정할 것"…재조정 시사 랭크뉴스 2025.04.24
47980 [르포] 운구 행렬 때도 열려 있던 교황의 관... '가깝고 낮게' 조문객 맞는다 랭크뉴스 2025.04.24
47979 우크라 종전 협상 삐걱…‘영토 압박’ 미국 압박에 우크라 강력 반발 랭크뉴스 2025.04.24
47978 '김 여사 친분'은 곧 공천장?‥줄줄이 소환 랭크뉴스 2025.04.24
47977 오늘 밤 '한미 관세 협상'‥'중국 빅딜' 변수 랭크뉴스 2025.04.24
47976 일본군에 화형 당할 뻔한 강 할머니, 치매 앓는 그에게 딸이 하고 싶은 이야기는··· 랭크뉴스 2025.04.24
47975 [단독] 성당·사찰 도는 김혜경…이재명 후방지원 재시동 걸었다 랭크뉴스 2025.04.24
47974 안철수 "반이재명 빅텐트 내가 적임자, 이준석도 이낙연도 와라" [인터뷰] 랭크뉴스 2025.04.24
47973 "얼맙니까?" 술값 다 냈다…스폰서 물먹인 초임 한동훈 랭크뉴스 2025.04.24
47972 홍·한, 서로 “너 나와” 지목… ‘반탄-찬탄’ 1:1 토론 성사 랭크뉴스 2025.04.24
47971 산업부 장관도 미국 도착…오늘 밤 미국과 2+2 통상 협의 랭크뉴스 2025.04.24
47970 "정년" 국가석학 1∙2호 내친 韓, 중국은 연구소 지어 모셔갔다 [인재 빨아들이는 中] 랭크뉴스 2025.04.24
47969 "아이 낳으면 700만원"…한국 보다 출산율 2배 높은데 지원 쏟아지는 '이 나라' 랭크뉴스 2025.04.24
47968 서울 상가, 경매서 '찬밥'…유찰로 첫 감정가 대비 10% 수준도 랭크뉴스 2025.04.24
47967 '1억' 사이버트럭 향해 날아차기 '퍽'…그대로 튄 황당男, 중국인이었다 랭크뉴스 2025.04.24
47966 ‘尹 공천개입 의혹’ 전 강서구청장 조사… 尹부부 수사 속도 랭크뉴스 2025.04.24
47965 [르포] “국민의힘 후보 중 아직 결정을 못했어요”···관망하는 대구 민심 랭크뉴스 2025.04.24
47964 일론 머스크 복귀 발표하자…국내 2차전지株 일제히 '들썩' [줍줍리포트] 랭크뉴스 2025.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