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수십㎞ 광케이블 끌며 적진 돌격해 자폭…초저공 비행도 가능
우크라, 생산량 밀리자 러 유일 광케이블 공장 폭격 시도도


쿠르스크 수자 외곽의 나무에 걸려 있는 광케이블 뭉치
[타스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황철환 기자 =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광케이블을 이용한 유선(有線) 조종 자폭 드론이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양측 병사들에게 악몽의 대상이 되고 있다.

전파방해가 통하지 않는 데다 기존 무선(無線) 드론과 달리 초저공으로 장거리 비행을 할 수 있어서 미리 알아채고 막아내는 게 사실상 불가능한 까닭이다.

23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최전선에서는 드넓은 평원 한가운데에 실처럼 가느다란 광케이블이 놓여 있거나 한데 얽혀 있는 모습을 손쉽게 찾아볼 수 있다.

러시아군, 혹은 우크라이나군이 사용한 유선 드론이 남긴 흔적이다.

이런 드론은 보통 동체 아래에 길쭉한 원통형의 케이블 릴이 붙어있다. 둘둘 말린 채 수납된 길이 10∼20㎞의 광케이블을 뿌리듯 풀어내면서 상대방을 향해 날아가 자폭하는 방식이다.

작년 하순 처음 전장에 모습을 드러낸 이 무기는 전파로 조종하는 게 아닌 까닭에 기존의 전자전 수법으로는 무력화할 수가 없다.

또, 일반적인 드론과는 다르게 전파가 잘 닿지 않는 장소에서도 날 수 있었기에 급속도로 사용 빈도가 늘어났다고 우크라이나군 드론 특수부대 아킬레스 연대의 유리 페도렌코 대위는 말했다.

그는 "숙련된 조종사는 이런 드론을 숲이나 줄 지어선 나무들 사이로도 날게 할 수 있다. 만약 일반 드론이라면 근처에 재송신기가 없는 한 (전파) 신호가 나무에 막히게 된다"고 설명했다.

그런 까닭에 가로수가 많은 길을 보급로로 활용, 드론 공격에 노출되는 빈도를 줄이는 기존의 전법도 쓰기가 어려워진 상황이라고 페도렌코 대위는 덧붙였다.

동체 하단에 연결된 광케이블을 끌며 날아가는 우크라이나군 유선 드론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미 해군분석센터(CNA)의 드론 전문가 새뮤얼 벤데트는 "이런 드론은 전자전으로 교란할 수 없기에 최초의 공격에서 적의 전자전 및 전파교란 장비를 노리는 데 쓰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일반적인 무선 일인칭 시점 드론(FPV)이 타격에 나설 길을 여는 것"이라고 말했다.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른 광케이블을 쓰기 때문에 적진의 고해상도 이미지를 확보하는 등 더 상세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다.

다수의 유선 드론을 동시에 사용할 경우 서로 케이블이 얽힐 수 있고, 케이블 길이에 한계가 있는 등 단점을 고려해도 충분히 유용한 무기인 셈이다.

이에 우크라이나는 키이우 북동쪽 비밀 공방 등에서 유선 드론 제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로선 광케이블 수급량이 많은 러시아가 유선 드론 활용에서 훨씬 앞서 있는 상황이라고 한다.

실제 러시아군은 최근 쿠르스크 전선에 대량의 유선 드론을 투입, 우크라이나군에 상당한 피해를 준 것으로 알려졌다.

러시아 사란스크에 위치한 러시아 유일의 광케이블 생산 공장은 우크라이나 국경에서 600㎞ 넘게 떨어져 있는데도 지난 19일과 20일 이틀에 걸쳐 장거리 드론 공격을 받았는데, 이는 러시아의 유선 드론 생산 능력을 약화하려는 우크라이나군의 작전에 따른 것일 가능성이 있다.

광케이블을 끊거나 태워 유선 드론의 침투를 막는 등 방안도 연구되고 있다.

아킬레스 연대 관계자는 현재 생산되는 드론의 약 10분의 1가량이 유선 드론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드론 전문가 벤데트가 추산한 비율과 대략 일치하는 수준이라고 가디언은 전했다.

전문가들은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발생하는 양측 사상자의 70∼80%가 드론 공격에 당해 다치거나 목숨을 잃은 것으로 추산해 왔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771 [단독] AI發 일자리 격변…정부 '노동 안전망 구축' 착수 랭크뉴스 2025.04.23
47770 ‘김건희 여사 선물용’…전성배, 수천만 원대 목걸이 수수 의혹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23
47769 李 "대통령되면 야당 많이 만날 것…개헌, 시급히 해야 하는지 의문" 랭크뉴스 2025.04.23
47768 대선 코앞인데… 중앙선관위 “통계시스템 사이버 공격 확인, 수사 의뢰” 랭크뉴스 2025.04.23
47767 “해킹 사실 왜 안 알려줘?” 이용자 원성 SKT…“오늘부터 전원 문자” 랭크뉴스 2025.04.23
47766 이철규 며느리도 대마 양성… 아들 영장 심사 출석 랭크뉴스 2025.04.23
47765 '계엄시 군·경 국회 출입금지' 계엄법개정안, 국회 소위 통과 랭크뉴스 2025.04.23
47764 국민의힘 ‘맞수 토론’ 상대는?…한동훈-홍준표 서로 지목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4.23
47763 [단독] 법무부, ‘검언유착 수사’ 이정현 검사장 정직 1개월…보복 징계 논란 랭크뉴스 2025.04.23
47762 여성 살해하고 달아난 50대‥경찰특공대 작전 7초 만에 검거 랭크뉴스 2025.04.23
47761 이재명 "개헌 먹고사는 문제 직결 아냐…천천히" 랭크뉴스 2025.04.23
47760 민주당 경선 후보들 호남·강원·제주 지역 공약 내놔…2차 경선 토론회 개최 랭크뉴스 2025.04.23
47759 "사람들이 놓치는 이재명 기질은…" 찐명 김민석이 낸 책 보니 랭크뉴스 2025.04.23
47758 "예비역 육군 병장 한덕수입니다"... 안보 챙기며 '대선 출마' 부채질 랭크뉴스 2025.04.23
47757 정부, 내달 2일 임시공휴일로 지정 안할 듯 랭크뉴스 2025.04.23
47756 [단독] 법무부, ‘검언유착 수사’ 이정현 검사장 정직 1개월 징계 랭크뉴스 2025.04.23
47755 中 “美와 대화 문 열려 있어… 싸움 원치 않지만 싸운다면 끝까지" 랭크뉴스 2025.04.23
47754 대선 변수 급부상한 대법원‥'3가지 경우의 수' 따져보니 랭크뉴스 2025.04.23
47753 [단독] 트럼프 주니어, 다음주 방한…정용진 회장 등 재계 인사 두루 회동 랭크뉴스 2025.04.23
47752 ‘황금연휴’ 없다… 정부, 5월2일 임시 공휴일 검토 안해 랭크뉴스 2025.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