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용산의 한 분식점에서 가게주인이 손님을 기다리며 테이블을 닦고 있는 모습. 사진=한경 김범준기자
오는 5월 황금연휴를 앞두고 직장인들의 기대감이 높아지는 가운데 정기휴무일 없이 운영되는 프랜차이즈 가맹점이 17만 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과 프랜차이즈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3년 기준 15개 주요 업종 가맹점 중 정기휴무일이 없는 곳은 16만9364개로 전체(27만86개)의 62.7%를 차지했다.
정기휴무일은 공휴일이나 명절 외에 주기적으로 쉬는 날을 의미한다.
업종별로는 편의점의 정기휴무일 없음 비율이 가장 높았다. 전체 5만4828개 편의점 가운데 99.2%에 해당하는 5만4392개가 정기휴무일 없이 운영됐다. 커피전문점 및 음료점(81.4%), 제과점업(78.3%) 등도 무휴 운영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하루 평균 14시간 이상 운영되는 가맹점은 7만2972개로 전체의 27.0%를 차지했다. 특히 편의점의 경우 14시간 이상 영업 비율이 99.7%로 사실상 대부분이 하루 종일 문을 여는 셈이다.
이처럼 무휴·장시간 운영이 일반화된 배경에는 높은 자영업 비중이 자리 잡고 있다. 우리나라는 취업자 5명 중 1명이 자영업자일 정도로 자영업 의존도가 높다.
특히 프랜차이즈 가맹점의 경우 초기 자본이 적은 영세 사업장이 많아, 인건비나 임대료 부담으로 인해 정기휴무를 갖기 어려운 구조다.
자영업자들의 수익 회복은 더디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자영업자 평균 소득은 2022년 말 4131만 원에서 2023년 말 4157만 원으로 소폭 증가했지만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말(4242만 원) 수준에는 미치지 못했다.
한은은 “서비스업 경기 부진과 구조적인 자영업 비중 탓에 소득 회복이 지연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자영업자의 소득 정체는 대출 연체율 증가로도 이어지고 있다. 한은은 “자영업자 지원 정책은 상환 능력과 의지에 따라 맞춤형 금융 지원, 채무조정, 재기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