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올들어 생애 첫 부동산 구입 20~30대 18% 늘어
과거 ‘학습 경험’ 영향, 집값 오를까 초조해진 심리
전문가 “청약 개선 등 불안감 덜어주는 정책 필요”
서울 중구 남산서울타워에서 바라본 서울 도심의 아파트 단지 모습. 문재원 기자


서울시 서대문구의 아파트에 전세로 살고 있는 이모씨(35)는 지날 2월 말 예비 배우자와 함께 이른바 ‘갭투자’로 아파트를 샀다. ‘신생아 특례 대출’ 등 정부의 주택 구매 지원 정책이 나올 때마다 서울 아파트값이 들썩이는 현상을 보며 ‘오르기 전에 미리 사두자’는 생각이 확고해졌기 때문이다. 서울·수도권에 신축 아파트 공급이 줄어드는 소식도 매수 결정을 하는 데 기름을 부었다.

경기도 분당의 부모님 집에서 강남으로 출퇴근하는 30대 직장인 우모씨도 최근 예비 배우자와 ‘영끌’ 해서 아파트를 살 생각을 하고 있다. 서울시가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구역)을 해제했다 재지정·확대하는 과정에서 강남 집값 상승을 보면서 불안감이 커졌다. 우씨는 “집값이 안정적이라면 몇 년간 현금을 모아 대출받을 계획을 세우겠지만, 지금 보면 2021년 같은 ‘불장’이 안 온다는 보장이 없는 것 같다”고 불안해했다.

정부와 서울시의 토허구역 확대 재지정 이후 한달간 서울 아파트 시장은 일단 진정되는 모양새이나 젊은 무주택자들 사이에선 ‘정권이 바뀌고 집값이 오르면 어떡하냐’는 초조함도 커지고 있다. 올들어 생애 첫 부동산을 구입한 20~30대가 전년보다 약 18% 가량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법원 등기정보광장의 22일 자료를 보면, 올해 1월부터 4월 21일까지 서울에서 생애 첫 집합건물(빌라·아파트 등)을 산 사람은 1만3464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만2753명)보다 711명(5.6%) 늘어났다.

주목할 점은 20대와 30대의 매수자가 지난해에 비해 유독 늘었다는 점이다. 올해 서울에 생애 최초 집합건물을 사들인 30대는 6414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5344명)과 비교할 때 20% 증가했다. 20대도 1540명으로 1년전(1422명)보다 8.3% 많았다. 20~30대를 합치면 전년보다 17.5% 늘었다. 반면 40대 이상은 지난해와 비교할 때 매수자가 줄었다. 40대는 -5.9%, 50대 -16.4%, 60대 -1.4% 등이다.

토허구역 확대 재지정 후인 4월 한달간 매수자 수만 살펴보면 연령별 차이가 더 뚜렷하다. 4월 1일부터 21일까지 생애 첫 집합건물을 매수한 20대는 336명으로, 전년 같은 기간(252명)보다 33.3% 늘었다. 30대는 996명으로 전년(852명)보다 16.9% 늘었다. 반면 40대 매수자는 423명으로 전년(478명)보다 11.5% 줄었고, 50대는 213명으로 전년(279명)보다 23.7%, 60대는 106명으로 전년(138명)보다 23.2%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0~30대에서 주택 구매가 다른 세대보다 급증한 건 과거의 ‘학습 경험’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들의 부모세대에서 아파트 소유 여부로 자산의 양극화를 경험하면서 대출을 받아서라도 ‘서울’에서 집을 사야 한다는 경험이 작용했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특히 지난해 1월 신생아 특례대출 등 정책적 금융지원이 늘어난 것도 큰 이유로 작용한다. 여기에 6·3 대선 이후 정책 변화에 따라 집값이 오를 수 있다는 심리적 요인도 일부 영향을 미쳤다고 풀이된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빚내기가 자산 마련의 기본이라고 여기는 젊은 세대의 특성에 신생아 특례대출, 생애최초 주택담보대출 등 정부의 정책자금이 더해진 결과”라고 분석했다.

송인호 KDI경제정보센터 소장은 “20~30대의 자산 포트폴리오 비중이 부동산에만 집중되면 중장년에 들어섰을 때 자산 관리에 불리함이 클 수 있다”며 “청년에게 불리한 기존 주택청약 제도를 획기적으로 바꾸는 등 자산 격차 확대에 대한 청년의 불안감을 덜어주는 정책이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632 대선 승리에 베팅했나…민주당 공약에 전력株 급등 [이런국장 저런주식] 랭크뉴스 2025.04.23
47631 위험을 쌓아올린 명가 한국투자증권 [얼룩진 스타 증권사①] 랭크뉴스 2025.04.23
47630 한인 20대, '부정행위 AI'로 빅테크 면접통과…속임수 활용 논란(종합) 랭크뉴스 2025.04.23
47629 “방송면허 박탈” 트럼프 위협에···미국 간판 시사프로 PD 사임 랭크뉴스 2025.04.23
47628 손학규 “한덕수 ‘3년 과도 정부’로 개헌하면 저 포함 많이들 도울 것” 랭크뉴스 2025.04.23
47627 ‘전세사기특별법 2년 연장안’ 국토위 전체회의 통과 랭크뉴스 2025.04.23
47626 [현장] "즉위 후 125번 방문"… 교황 '안식처' 될 대성당은 지금 랭크뉴스 2025.04.23
47625 [단독] “시장 수요 부진에”… LG디스플레이, 파주 ‘아이패드 OLED’ 라인서 아이폰용 패널 만든다 랭크뉴스 2025.04.23
47624 혁신당 "검찰,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해 다이아 목걸이 찾아야" 랭크뉴스 2025.04.23
47623 [속보] 이재명 재판 속도…대법 전원합의체, 내일 두 번째 심리 랭크뉴스 2025.04.23
47622 홍준표 “한덕수는 고려 대상 안 돼, 빅텐트엔 이준석 가장 중요” 랭크뉴스 2025.04.23
47621 불경기에도 훨훨 날았다...'퀀텀점프' 기록한 기업들 랭크뉴스 2025.04.23
47620 송해 선생이 강조했던 유산소... 걷기만 하면 안 된다 [長靑年, 늘 푸른 마음] 랭크뉴스 2025.04.23
47619 김문수·홍준표 측 "우리가 1등"… 한동훈 측 "우격다짐 안 한다" 랭크뉴스 2025.04.23
47618 ‘폰 포렌식’ 출석 임성근 “비밀번호 기억 안 나, 알려줄 수 없어 안타까울 뿐” 랭크뉴스 2025.04.23
47617 [단독] 물 건너간 황금연휴…5월 2일 임시공휴일 지정 안 한다 랭크뉴스 2025.04.23
47616 트럼프 “중국산 관세 크게 낮아질 것…시진핑에 강력대응 안 해” 랭크뉴스 2025.04.23
47615 [속보]대법 전원합의체, ‘이재명 공직선거법’ 재판 24일 또 심리 랭크뉴스 2025.04.23
47614 ‘김건희 선물용’ 다이아몬드 목걸이, 건진법사·통일교 의혹 수사 랭크뉴스 2025.04.23
47613 요양원 반대하던 셋째 아들, 생활고에 좌절…‘일산 간병살인’ 전모 랭크뉴스 2025.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