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C인베 임원 등 8명 일제 매도
상한가 직후 수십억 원씩 챙겨
오리엔트정공·코나아이 등도 팔아
선거철마다 후진적 행태 반복돼
상한가 직후 수십억 원씩 챙겨
오리엔트정공·코나아이 등도 팔아
선거철마다 후진적 행태 반복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예비후보가 14일 서울 강남구 퓨리오사AI에서 백준호 퓨리오사AI 대표와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대선을 앞두고 정치테마주로 묶인 종목들의 주가가 급등한 틈을 타서 대주주나 회사 임원들이 주식을 팔아 수십억 원씩 챙기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선거철마다 나타나는 정치테마주 열풍이 후진적 행태라는 비판이 나오지만 ‘묻지마 투자’가 반복되면서 국내 증시의 신뢰도를 떨어뜨리고 있다.
2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벤처캐피탈인 DSC인베스트먼트(241520) 임원 등 8명의 주식 매도 공시가 일제히 등록됐다. 1주당 5000원 이하였던 주가가 14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경선 예비후보의 퓨리오사AI 방문 이후로 테마주로 엮이면서 8000원대로 오르자 다급히 보유 주식을 내다팔아 현금화한 것이다. DSC인베스트먼트는 퓨리오사AI에 투자한 이력이 있다는 이유로 테마주가 됐다.
임원 매도 내역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김요한 본부장(전무)은 15일과 16일 이틀에 걸쳐 21만 주, 4만 주를 팔아 22억 3600만 원을 챙겼다. 박정운 본부장(전무)도 15일 25만 주를 팔아 21억 원을 확보했다.
이외에도 이한별 본부장 21억 4500만 원(23만 7496주), 신동원 상무 23억 3300만 원(23만 9133주), 이경호 상무 24억 3500만 원(26만 9000주) 등 주요 임원들도 보유 지분을 장내 매도해 수십 억 원씩 챙긴 것으로 나타났다. 이성훈 상무는 보유 지분 전량인 7460주를 모두 팔아 6737만 원을 가져갔다.
심지어 사외이사인 채주락 이사도 보유 지분 중 3만 주를 매도해 2억 6500만 원을 챙긴 것으로 나타났다. 윤건수 대표이사 배우자인 이현옥씨는 20만 주를 매도해 18억 8500만 원을 확보했다. 이씨의 처분 단가는 1주당 9425원으로 매도자 중에선 가장 비싸게 주식을 팔아치웠다.
조기 대선 국면에 급등한 정치테마주를 대주주나 회사 임원 등이 매도한 사례는 이뿐만이 아니다. 이재명 예비후보의 대표 테마주인 오리엔트정공(065500)의 장재진 대표는 탄핵 정국이 한창이던 올해 2~3월 회사 주가가 오르자 수차례에 걸쳐 주식을 팔았다. 남은 지분도 5월 중 장내매도로 매도할 계획으로 전체 매도 규모는 85억 7000만 원에 달한다.
이재명 테마주로 꼽히는 코나아이(052400)의 조정일 대표도 11만 5600주를 장내 매도해 45억 원을 챙겼다. 해당 회사의 신동우 감사도 보유 주식 2000주를 모두 팔았다. 마찬가지로 이재명 테마주인 동신건설(025950) 대표와 친인척 관계인 우손숙씨는 59억 원에 이르는 보유 지분을 전량 매도했다. 에이텍(045660) 신승영 대표도 103억 원 규모의 30만 주를 매도하겠다고 공시했다. 신 대표는 이 대표가 성남시장일 때 성남창조경영자 포럼 운영위원을 맡았다.
정치테마주 유행 등 후진적 현상은 대선 및 총선 등 선거철마다 반복되고 있다. 미국 헤지펀드 아카디안에셋의 오언 러몬트 수석부사장은 미국 증시가 ‘한국화(Koreafying)’ 되고 있다며 국내 투자자들의 투자 행태를 강하게 지적했는데 정치 테마주를 대표적인 사례로 들었다. 다만 기업 본질가치를 보고 투자하는 투자 문화가 정착되지 않는 한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긴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