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올들어 생애 첫 부동산 구입 20~30대 18% 늘어
과거 ‘학습 경험’ 영향, 집값 오를까 초조해진 심리
전문가 “청약 개선 등 불안감 덜어주는 정책 필요”
서울 중구 남산서울타워에서 바라본 서울 도심의 아파트 단지 모습. 문재원 기자


서울시 서대문구의 아파트에 전세로 살고 있는 이모씨(35)는 지날 2월 말 예비 배우자와 함께 이른바 ‘갭투자’로 아파트를 샀다. ‘신생아 특례 대출’ 등 정부의 주택 구매 지원 정책이 나올 때마다 서울 아파트값이 들썩이는 현상을 보며 ‘오르기 전에 미리 사두자’는 생각이 확고해졌기 때문이다. 서울·수도권에 신축 아파트 공급이 줄어드는 소식도 매수 결정을 하는 데 기름을 부었다.

경기도 분당의 부모님 집에서 강남으로 출퇴근하는 30대 직장인 우모씨도 최근 예비 배우자와 ‘영끌’ 해서 아파트를 살 생각을 하고 있다. 서울시가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구역)을 해제했다 재지정·확대하는 과정에서 강남 집값 상승을 보면서 불안감이 커졌다. 우씨는 “집값이 안정적이라면 몇 년간 현금을 모아 대출받을 계획을 세우겠지만, 지금 보면 2021년 같은 ‘불장’이 안 온다는 보장이 없는 것 같다”고 불안해했다.

정부와 서울시의 토허구역 확대 재지정 이후 한달간 서울 아파트 시장은 일단 진정되는 모양새이나 젊은 무주택자들 사이에선 ‘정권이 바뀌고 집값이 오르면 어떡하냐’는 초조함도 커지고 있다. 올들어 생애 첫 부동산을 구입한 20~30대가 전년보다 약 18% 가량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법원 등기정보광장의 22일 자료를 보면, 올해 1월부터 4월 21일까지 서울에서 생애 첫 집합건물(빌라·아파트 등)을 산 사람은 1만3464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만2753명)보다 711명(5.6%) 늘어났다.

주목할 점은 20대와 30대의 매수자가 지난해에 비해 유독 늘었다는 점이다. 올해 서울에 생애 최초 집합건물을 사들인 30대는 6414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5344명)과 비교할 때 20% 증가했다. 20대도 1540명으로 1년전(1422명)보다 8.3% 많았다. 20~30대를 합치면 전년보다 17.5% 늘었다. 반면 40대 이상은 지난해와 비교할 때 매수자가 줄었다. 40대는 -5.9%, 50대 -16.4%, 60대 -1.4% 등이다.

토허구역 확대 재지정 후인 4월 한달간 매수자 수만 살펴보면 연령별 차이가 더 뚜렷하다. 4월 1일부터 21일까지 생애 첫 집합건물을 매수한 20대는 336명으로, 전년 같은 기간(252명)보다 33.3% 늘었다. 30대는 996명으로 전년(852명)보다 16.9% 늘었다. 반면 40대 매수자는 423명으로 전년(478명)보다 11.5% 줄었고, 50대는 213명으로 전년(279명)보다 23.7%, 60대는 106명으로 전년(138명)보다 23.2%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0~30대에서 주택 구매가 다른 세대보다 급증한 건 과거의 ‘학습 경험’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들의 부모세대에서 아파트 소유 여부로 자산의 양극화를 경험하면서 대출을 받아서라도 ‘서울’에서 집을 사야 한다는 경험이 작용했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특히 지난해 1월 신생아 특례대출 등 정책적 금융지원이 늘어난 것도 큰 이유로 작용한다. 여기에 6·3 대선 이후 정책 변화에 따라 집값이 오를 수 있다는 심리적 요인도 일부 영향을 미쳤다고 풀이된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빚내기가 자산 마련의 기본이라고 여기는 젊은 세대의 특성에 신생아 특례대출, 생애최초 주택담보대출 등 정부의 정책자금이 더해진 결과”라고 분석했다.

송인호 KDI경제정보센터 소장은 “20~30대의 자산 포트폴리오 비중이 부동산에만 집중되면 중장년에 들어섰을 때 자산 관리에 불리함이 클 수 있다”며 “청년에게 불리한 기존 주택청약 제도를 획기적으로 바꾸는 등 자산 격차 확대에 대한 청년의 불안감을 덜어주는 정책이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583 [속보] 대법원, 24일 이재명 공직선거법 재판 전원합의체 속행 랭크뉴스 2025.04.23
47582 대법 전원합의체, 이재명 선거법 사건 24일도 심리…속행 합의 랭크뉴스 2025.04.23
47581 [속보] 대법원 전원합의체, 이재명 선거법 재판 내일 속행 랭크뉴스 2025.04.23
47580 [속보] 대법원 전원합의체, 이재명 선거법 재판 24일 속행 랭크뉴스 2025.04.23
47579 대법원, 오는 24일 이재명 선거법 위반 상고심 두 번째 회의 랭크뉴스 2025.04.23
47578 “황금연휴? 남 얘기” 무휴 운영 가맹점 62.7% 랭크뉴스 2025.04.23
47577 월드옥타 무역인 양성 국고지원 사업, '공짜 관광' 기회로 전락 랭크뉴스 2025.04.23
47576 [속보] 대법 전원합의체, 이재명 선거법 재판 24일 속행 랭크뉴스 2025.04.23
47575 검찰, '오세훈 여론조사 대납' 전광삼 대통령실 시민사회수석 조사 랭크뉴스 2025.04.23
47574 인도 카슈미르 관광지서 총기 난사… 관광객 등 26명 사망 랭크뉴스 2025.04.23
47573 [단독] 미아역 마트 흉기 난동 남성, "의사가 해치려 해 겁이 나 흉기 휘둘러" 진술 랭크뉴스 2025.04.23
47572 [단독]기재부 예비비 증액에 “적정성 검토해야” 제동 건 기재위 전문위원 랭크뉴스 2025.04.23
47571 아시아나항공, 에어인천行 직원들 업무 공간 분리 랭크뉴스 2025.04.23
47570 이국종 국군대전병원장 근황 “제한된다는 얘기 하지 마라”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4.23
47569 프란치스코 교황 장례식, 외교무대 되나... 젤렌스키 "트럼프 만나길 기대" 랭크뉴스 2025.04.23
47568 트럼프, 中 협상 땐 "관세율 내려갈 것…제로는 아니다" 랭크뉴스 2025.04.23
47567 마트 칼부림 살해범, 범행후 태연히 담배 피우며 통화 랭크뉴스 2025.04.23
47566 방한 땐 '소울' 탔던 프란치스코 교황…100달러만 남기고 떠났다 랭크뉴스 2025.04.23
47565 트럼프 "파월 해고 생각안해" 랭크뉴스 2025.04.23
47564 머스크 “5월부터 경영 집중”…테슬라 주가, 시간외거래서 급등 랭크뉴스 2025.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