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추천!더중플-윤석열의 1060일 정치 입문 9개월 만에 대통령에 당선돼 임기 시작 2년 11개월(1060일) 만에 대통령직에서 물러난 ‘가장 빨리 뜨고, 가장 빨리 진’ 대통령 윤석열. 오늘의 추천!더중플은 ‘윤석열의 1060일’(https://www.joongang.co.kr/plus/series/283) 시리즈입니다. 주요 국면마다 ‘정치인 윤석열’이 어떤 모습을 보여왔는지, '인간 윤석열'의 캐릭터는 그 선택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그동안 알려지지 않은 뒷이야기를 담아 그의 집권기를 기록합니다.

기사 전문은 중앙일보의 프리미엄 서비스 '더중앙플러스(https://www.joongang.co.kr/plus)' 구독 후 보실 수 있습니다.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중앙포토
“상원아, 이제 어떻게 하냐.”
김용현(66) 전 국방부 장관이 국회가 12·3 비상계엄 해제 결의안을 가결한 직후인 2024년 12월 4일 새벽 노상원(63) 전 국군정보사령관에 전화를 걸어 한 말이다.

사실 김 전 장관에겐 이번과 똑같은 데자뷔 같은 위기의 순간이 11년 전에도 있었다. 2014년 3~4월 북한 무인기 침투 사건 때였다. 당시 김용현에게 노상원은 구세주 같은 해결사였다.

그해 3월 24일 파주에서 주민 신고로 추락한 북한 무인기가 발견된 게 발단이었다. 일주일 만인 같은 달 31일 백령도에 비슷한 무인기가 발견됐다. 지역 기무사와 국가정보원, 경찰 등 합동심문조 초동 조사에선 “별다른 대공 용의점이 없다”는 것으로 결론이 났고 사건은 유야무야 묻힐 뻔했다.

그런데 4월 3일 언론이 파주 무인기에 장착된 카메라가 청와대 1~2㎞ 상공에서 촬영한 본관, 비서동, 춘추관 건물 등 선명한 청와대 사진을 보도하면서 “청와대가 뚫렸다”는 논란으로 사건은 일파만파 커졌다.

박근혜 전 대통령이 당시 4월 7일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에서 “북한제 추정 무인기가 우리나라를 전방위로 정찰한 것으로 보이는데 우리 군 당국이 관련 사실을 전혀 파악하지 못했던 것은 방공망, 지상정찰체계에 문제가 있는 것”이라고 사실상 공개 질타했기 때문이다.

당시 김용현은 수도인 청와대 방어를 책임진 육군수도방위사령관, 노상원은 청와대 경호실 군사관리관(육군 준장)이었다. 두 사람이 육군참모총장 비서실장과 비서실 정책 장교로 근무하면서 친분을 맺었던 당시 직속 상관 박흥렬 전 육군참모총장이 이 사건 당시 경호실장이었다.

당시 고위 관계자는 그때 상황을 이렇게 회고했다.

“김용현은 박근혜 정부에서 능력을 인정받아 수방사령관에 보임됐는데 이력에 치명타가 될 수 있는 상황이 생긴 거다. 당시 북한이 계속 미사일을 쏘고 핵실험을 한다는 이야기가 나오면서 외교안보 라인에선 긴장을 늦추지 말라는 경고가 하루가 멀다하고 계속 나오던 시점이었다. 북한 무인기에 청와대 상공이 뚫렸으니 박근혜 대통령이 그렇게 화를 낸 적 없을 정도로 안보실장을 박살 냈다. 왜냐하면 그 무인기 경로를 보면 청와대 방공망이 뚫린 거였으니.”

국가안보실장은 물론 당시 김관진 국방부 장관, 박흥렬 경호실장까지 문책당할 수 있는 위기 상황. 청와대 외곽 경비를 담당하는 김용현이 책임져야 할 상황이었다.

당시 국가안보실 지시로 국방부에서 ‘북 무인기 사태 원인분석 보고서’를 작성했는데 무인기가 북한 정찰기란 보고를 제대로 하지 않은 기무사로 책임을 돌리는 물밑 작업이 벌어졌다.
※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0528

윤석열의 1060일-더 많은 기사를 보시려면? 尹, 자승 죽음 보고받자마자 “좌파나 간첩이 죽인 것이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9874

총선 출구조사에 격노한 尹… “그럴 리 없어! 방송 막아!”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6454

“내가 있어 지금의 尹 있다고…김건희, 술자리 때마다 말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6699

“비속어 썼으니” 참모들 제안…‘바이든 날리면’ 실상은 이랬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066

“막내급 기자가 청담동 술자리 질문…尹, 그날 도어스테핑 좌절”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374

“尹 술친구 자랑하던 그 의원, 한동안 찍혀 죽어 지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709

의대 증원에 건건이 “아니오”…尹, 40년지기 연락도 끊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182

尹 한일관계 돌파 아이디어, 검사시절 압수물서 시작됐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419

“실패 땐 탄핵, 나도 알았다” 폭탄주 돌린 尹 ‘그날의 고백’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722

"이건 尹 대통령이 발표해야"… '대왕고래' 날린 어공 속삭임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0096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471 CNBC “베센트, 미-중 무역 갈등 아주 가까운 미래에 완화” 랭크뉴스 2025.04.23
47470 "한 알만 먹으면 체지방 싹 분해"…SNS 속 허위광고 무더기 적발 랭크뉴스 2025.04.23
47469 내달 유류세 인하폭 축소…휘발유 40원·경유 46원 오른다 랭크뉴스 2025.04.23
47468 젤렌스키 "바티칸서 트럼프 만나길"…美측은 언급 없어 랭크뉴스 2025.04.23
47467 "명태균, 고령군수 예비후보와 이철우 지사도 만났다"… 明 운전기사 법정 증언 랭크뉴스 2025.04.23
47466 건진법사, '김건희 선물용' 다이아 목걸이 수수 정황 포착 랭크뉴스 2025.04.23
47465 美국무부, 민주주의·인권 외교 축소…"국익 부합하지 않아"(종합) 랭크뉴스 2025.04.23
47464 "어제도 회 먹었는데 큰일났네" 치사율 50%인 '이 감염균'…올해 첫 검출 랭크뉴스 2025.04.23
47463 “금리 인하하라” 미국 경제 또 때린 ‘트럼프의 입’ 랭크뉴스 2025.04.23
47462 "우리 사귈까" 부잣집 딸 '가스라이팅'…부모 재산 100억 뜯어낸 20대 랭크뉴스 2025.04.23
47461 미국 도착한 최상목 “美 관심 경청하고 韓 입장 적극 설명” 랭크뉴스 2025.04.23
47460 얼굴 박힌 경고문에도 무인점포 '11차례' 턴 男…경찰에 잡히자 "물건값 내면 되잖아" 랭크뉴스 2025.04.23
47459 미아역 인근서 남성 흉기 난동…60대 여성 결국 사망 랭크뉴스 2025.04.23
47458 트랜스젠더도 여성이라더니…英총리 "생물학적 女만" 입장 번복 랭크뉴스 2025.04.23
47457 이란-미국 핵협상 전문가 회의 23→26일로 연기 랭크뉴스 2025.04.23
47456 유흥식 추기경도 교황 후보에 올랐다…伊 일간지가 꼽은 12인 랭크뉴스 2025.04.23
47455 군 정찰위성 4호기 발사 성공…‘킬체인’ 역량 강화 랭크뉴스 2025.04.23
47454 미래차·로봇·철강… 현대차, 경쟁사와 전방위 합종연횡 랭크뉴스 2025.04.23
47453 뉴욕증시, 기업 호실적·저가 매수세에 상승 출발 랭크뉴스 2025.04.23
47452 IMF, 올해 韓 경제성장률 2.0%→1.0% '반토막'…"관세 타격 영향" 랭크뉴스 2025.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