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연합뉴스

[서울경제]

지난해 국내 대기업 남성 직원의 평균 연봉은 1억561만 원, 여성 직원의 평균 연봉은 7405만 원으로 나타났다. 남녀 간 임금 격차가 매해 조금씩 줄어들고 있지만, 근속연수를 기준으로 보면 여전히 남성이 기회와 지위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리더스인덱스는 국내 500대 기업 남녀 직원 평균 연봉 및 근속연수 현황을 조사한 결과를 22일 공개했다. 그 결과, 지난해 기준 여성 평균 연봉은 남성의 70.1%로 집계됐다.

이는 2023년의 68.8%에서 1.5포인트 오른 수치로, 2년 전의 66.9%와 비교해도 높아지며 매년 남녀 간 임금 격차는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근속연수를 기준으로 보면 남녀 간 임금 격차는 여전한 모양새다. 여성의 평균 근속연수는 9.2년으로 남성 11.9년의 77.3%지만, 연봉 수준은 70.1%에 그쳤다. 동일한 기간 근속했더라도 여성이 약 7%포인트 낮은 대우를 받고 있는 셈이다.

이는 대기업에서 여성 비율이 전체 직원의 26.4%에 불과하고, 그중에서도 대부분이 낮은 직급에 머무르고 있는 점을 방증한다고 리더스인덱스는 지적했다.

업종별로는 상사, 증권, 보험, 운송, 은행 등 분야에서 불균형이 두드러졌다. 상사업의 경우 여성의 평균 근속연수는 11.3년으로 남성 10.1년보다 길었지만, 평균 연봉은 7000만 원으로 1억1510만 원인 남성의 60.8% 수준에 불과했다.

증권업 역시 여성의 근속연수(10.8년)가 남성(10.3년)을 앞섰지만, 연봉은 남성(1억5200만 원)의 65%인 9900만 원에 머물렀다.

보험업은 남녀 근속연수가 각각 13.0년과 13.1년으로 비슷했다. 그러나 여성의 연봉은 8800만 원으로 남성(1억3100만 원)의 67.5%에 그쳤다.

운송업은 여성의 근속연수(9.5년)가 남성(10.2년)의 92.6% 수준이었지만, 연봉은 6400만 원으로 남성(9700만 원)의 66.2%에 불과했다.

은행업도 평균 근속연수가 남성 15.4년, 여성 14.5년으로 큰 차이가 없었지만, 연봉은 남성이 1억2800만 원으로 여성(9700만 원)보다 24.5% 많았다.

이외 서비스, 에너지, 유통 업종에서도 여성의 평균 근속연수가 남성의 80% 이상으로 긴 편이었으나, 평균 연봉은 각각 75.6%, 70.4%, 68.8% 수준으로 낮아 성별에 따른 격차가 여전히 크다는 지적이다.

리더스인덱스는 “조직 내 지위와 보상 체계에서 성별 불균형이 여전하다”며 “급여 측면은 점차 개선되고 있지만 기회와 지위에서는 남성이 우위를 차지하는 구조가 지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237 우리 아이 키 안 클 수도…항문 주변 염증땐 꼭 병원 가세요 랭크뉴스 2025.05.05
48236 "혹시 그거 알아?"…법원과 전면전 나선 민주당, 또 음모론 랭크뉴스 2025.05.05
48235 “돈가방 들고 튀어”…지인 돈 2억 든 가방 훔친 중국인, 인천공항서 긴급체포 랭크뉴스 2025.05.05
48234 우원식이 한덕수 때린 다음날…“결심 섰다” 참모 전화 돌렸다 [대선 비하인드①] 랭크뉴스 2025.05.05
48233 뽀통령 시대 끝낸 티니핑…어른도 빠지자, 현대차·SM 움직였다 랭크뉴스 2025.05.05
48232 원·달러 환율 롤러코스터…‘계엄 후 최저’ 수준 랭크뉴스 2025.05.05
48231 어린이날, 전국 흐리고 가끔 비…낮 최고 17∼21도 랭크뉴스 2025.05.05
48230 3000억 팔린 '시카' 화장품…리들샷, 엑소좀으로 기술 더해 매출 '껑충' 랭크뉴스 2025.05.05
48229 김문수, 13년 만의 대권 재도전… 그를 만든 ‘다국적 연합군’ 랭크뉴스 2025.05.05
48228 취업 돕는 스타트업 이런 것까지 등장…동영상 이력서 플랫폼, 부정행위 해주는 AI까지 랭크뉴스 2025.05.05
48227 한번 거래 트면 쭉 간다…북미 '빌트인 왕좌' 노리는 삼성·LG 랭크뉴스 2025.05.05
48226 "썩는데 500년"…돈 안되는 장난감 재활용, 작년에만 75t 해낸 그들 랭크뉴스 2025.05.05
48225 "간호사 될래요" 백혈병 소윤이의 꿈…엄마는 깜짝 놀랐다 랭크뉴스 2025.05.05
48224 대선前 파기환송심 선고 땐….이재명 운명, 대법이 쥘 가능성 랭크뉴스 2025.05.05
48223 이재명, 오늘 조계사 방문…오후엔 경기·충북 경청투어 랭크뉴스 2025.05.05
48222 한동훈 승복했지만, 선대위 합류엔 "생각할 시간 달라"…속내 복잡한 찬탄파 랭크뉴스 2025.05.05
48221 백악관 떠나는 머스크, 테슬라 복귀 임박… 위기의 테슬라 구할까 랭크뉴스 2025.05.05
48220 이재명 파기환송심, 1심 당선무효형 '징역형 집유' 유지할까 랭크뉴스 2025.05.05
48219 한 달 남은 대선 불확실성 증폭... ①사법리스크 ②단일화 ③중도층에 달려 랭크뉴스 2025.05.05
48218 김문수 "여기가 한덕수 당이냐"…단일화파 이양수 잘랐다 랭크뉴스 2025.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