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투데이
[서울경제]
한국의 ‘검은 반도체’라 불리는 우리 김의 미국·중국 수출이 호조를 보여 올해 1분기 김 수출액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21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식품수출정보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김 수출액은 2억8100만 달러(4020억원)로 작년 같은 기간(2억3200만 달러)보다 21.1% 늘었다. 올해 1분기 김 수출량은 1만161t(톤)으로 작년 동기(9456t) 대비 7.5% 늘었다. 이는 10년 전인 2015년 1분기(1076t)보다 844.3% 증가한 것이다.
국가별 1분기 김 수출액을 보면 미국(5790만 달러)이 가장 많고 중국(5110만 달러), 일본(3440만 달러), 태국(3420만 달러) 순이다. 작년 동기와 비교해 수출액이 가장 많이 늘어난 국가는 중국(86.5%)이다. 미국은 21.6%, 태국은 15.9%, 일본은 7.2% 각각 늘었다.
중국으로 수출된 김은 대부분 마른김이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1분기 중국으로 수출된 마른김(2258t)은 작년 동기 대비 97.2% 증가했다. 이는 마른김 전체 수출량의 40.3%를 차지한다. 수출액은 4629만 달러로 139.7% 늘었다. 중국으로 수출된 조미김은 209t으로 마른김의 9.3% 수준이다.
미국에는 조미김이 많이 수출됐다. 조미김 최대 수출국인 미국의 1분기 김 수출액은 30.6% 늘었다. 미국으로 수출된 조미김은 1367t으로 조미김 전체 수출량의 30.2% 수준이다. 마른김의 대미 수출량은 140t에 불과하다.
해수부 관계자는 "중국에선 한국 드라마와 영화의 영향으로 김밥 붐이 일면서 마른김 수요가 급증했고, 미국에선 김 스낵이 꾸준한 인기를 끌면서 조미김 수출이 크게 늘었다"고 설명했다.
1분기 수출액이 크게 늘면서 해수부가 오는 2027년까지 목표로 제시한 '연 10억 달러 김 수출'을 올해 앞당겨 달성할 수 있다는 기대감도 나온다. 작년 김 수출액은 9억9700만 달러였다.
이 같은 상황에서 원재료인 물김 가격은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올해 작황이 나아졌고 신규 양식장 허가·불법 물김 양식 성행 등으로 물김 생산량이 급증해서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수산업관측센터에 따르면 물김 가격은 지난 1월 1㎏당 763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2.4% 떨어졌다. 마른김 가격은 10장당 1353원으로 평년의 1.5배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해수부 관계자는 "마른김 가공 역량이 부족해 물김이 폐기되고 마른김 가격이 오르는 현상이 발생했다"며 "마른김 공장의 생산 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노후화된 김 건조기 등을 교체하는 사업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