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날 국회 투입' 김형기 특전대대장
尹 2차 공판 증인으로 당시 상황 증언
"난 국가·국민 지키라는 명령에만 복종"
"날카롭게 비난하고 감시해달라" 당부
尹 2차 공판 증인으로 당시 상황 증언
"난 국가·국민 지키라는 명령에만 복종"
"날카롭게 비난하고 감시해달라" 당부
윤석열 전 대통령이 21일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내란 우두머리 혐의 형사재판 두 번째 공판에 출석해 피고인석에 착석해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12·3 불법계엄 당시 국회에 투입됐던 군 간부가 윤석열 전 대통령 재판에 증인으로 출석해 "나는 사람에게 충성하지 않는다"고 일갈했다. 윤 전 대통령이 검사 시절에 언급해 회자됐던 '명언'을 면전에서 고스란히 되돌려준 셈이다.
김형기 육군 특수전사령부 1특전대대장(중령)은 21일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부장 지귀연) 심리로 열린 윤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두 번째 공판기일에 증인으로 출석했다. 윤 전 대통령은 '국회의원 끌어내기' 지시에 대해 차분히 당시 상황을 증언하는 김 대대장의 모습을 피고인석에 앉아서 지켜봤다. 김 대대장은 직속상관(이상현 특전사 1공수여단장)으로부터 국회 담을 넘어 의원들을 끌어내라는 지시를 받았지만, 이를 부하들에게 지시하지 않았다고 주장해온 현장 지휘관이다.
그는 이날 윤 전 대통령 측 반대신문에서도 '의원을 끌어내라'는 지시를 윤 전 대통령 지시로 인지했다고 진술했다. 윤 전 대통령 측이 '국회에 가서 질서유지를 해야 한다는 생각은 해본 적 없느냐'고 묻자 "질서유지는 군의 임무가 아니다"고 답했다. 되레 "질서를 유지하는데 총을 왜 가져가느냐"고 윤 전 대통령 측에 되묻기도 했다. '야간에 일반 시민이 절차를 거치지 않고 국회에 들어오는 건 잘못된 것 아니냐'는 질문에는 "들어올 만하니까 들어왔겠죠"라고 답하기도 했다.
김 대대장은 증인신문을 마치기 전에 "꼭 드리고 싶은 말씀이 있었다"며 재판장 허락을 얻어 작심 발언을 쏟아냈다. 그는 "저는 2003년에 이등병으로 입대해 2004년 부사관으로 임관했고, 다시 2006년도에 장교가 됐다"며 "올해 마흔셋으로 23년간 군생활을 했다. 과거나 지금이나 바뀌지 않은 한 가지는 국가와 국민을 지키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 대대장은 이어 "저는 사람에게 충성하지 않는다. 조직에 충성하고 조직은 저에게 국가와 국민을 지키라고 임무를 부여했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누군가는 저에게 항명이라고 했다. 그렇지만 상급자 명령에 복종하는 건 국가와 국민을 지키라는 임무를 부여했을 때 국한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람에게 충성하지 않는다'는 이명박 정부의 국가정보원 댓글 조작 사건 특별수사팀장으로 있던 윤 전 대통령이 2013년 국정감사에 출석해 윗선의 부당한 외압을 폭로하며 남긴 발언이다. 훗날 '대통령 윤석열'을 만든 발언으로도 꼽힌다. 줄곧 표정 변화 없이 증인신문을 지켜보던 윤 전 대통령도 김 대대장의 입에서 이 말이 나오자 한 차례 그를 바라봤다.
김 대대장은 "12월 4일 받은 임무를 어떻게 수행하겠나. 저는 조직에 충성하겠다. 저를 차라리 항명죄로 처벌해달라"며 "제 부하들은 아무것도 안 했고 그 덕분에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 덕분에 민주주의를 지킬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군이 다시는 정치적으로 이용되지 않게 제 뒤에 계신 분들(언론인들)이 날카롭게 비난하고 질책하면서 감시해달라. 그래야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