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GDP 0.46% 규모 12조원 편성…골든타임 놓쳐 효과도 반감


‘성장률 0.8%’ 금융위기 땐 이번보다 4배 쏟아 붓고 0.8%P 개선

1분기 역성장, 2분기도 부진 전망…전문가들 “2차 추경 불가피”


정부가 12조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안을 내놨지만,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는 여전하다. 내수 부진, 관세전쟁으로 올해 성장률이 0%대에 그칠 수 있다는 관측마저 나오지만, 글로벌 금융위기나 코로나19 확산 당시 추경에 비해 턱없이 작은 규모이기 때문이다. 이번 추경의 경기진작 효과가 제한적인 만큼, 대선 이후 2차 추경 편성론이 힘을 얻을 것으로 예상된다.

20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정부가 편성한 추경안 규모는 12조2000억원이다. 올해 3월 국회예산정책처가 예상한 명목 국내총생산(GDP)이 2638조3200억원인 점을 고려하면 GDP 대비 0.46% 규모다.

이는 2008년 국가재정법 시행 이후 편성된 17차례의 추경 중 다섯 번째로 규모가 작다.

지금까지 규모가 가장 작은 추경은 2018년 ‘일자리 추경’으로, GDP 대비 0.19%에 그쳤다. 2019년과 2008년에도 추경 규모는 GDP 대비 각각 0.28%, 0.38%에 불과했다. 당시에는 경제 여건이 나쁘지 않았던 만큼 미세먼지 대응과 저소득층 지원에 초점을 맞췄다.

실질 GDP 성장률이 2% 미만을 기록했을 정도로 경제가 어려웠을 당시 추경으로 한정하면 올해가 가장 작다. 실제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성장률이 0.8%였던 2009년 당시 정부는 GDP 대비 2.26% 규모의 추경을 편성했다. 올해 추경 비중과 비교하면 4배가량 큰 규모다.

또 코로나19 여파로 성장률이 -0.7%를 기록했던 2020년은 네 차례 편성으로 추경 규모가 GDP 대비 3.25%에 달했다.

재정이 마중물 역할을 한 덕분에 대규모 추경 편성 이듬해에는 성장률이 큰 폭으로 반등했다. 국회예산정책처 추산 결과, 2009년 추경으로 성장률이 0.8%포인트 오르는 효과를 거뒀다. 2020년에는 네 차례의 추경과 이듬해 1차 추경으로 성장률이 0.5%포인트 올랐다고 한국개발연구원(KDI)은 분석했다.

반면 올해는 성장률이 1%대 초반에 머물 가능성이 높은데도 추경 규모는 12조원가량으로, 성장률을 0.1%포인트 끌어올리는 데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경기 부양을 위한 ‘대규모 돈 풀기’가 아니라 시급한 현안 대응을 위한 최소한의 재정 투입이라고 강조한다.

국회 예산 심의 과정에서 일부 증액이 예상되지만, 국회가 새로운 사업을 편성하는 데는 한계가 있는 만큼 규모가 정부안보다 큰 폭으로 늘어날 가능성은 크지 않다.

관세전쟁에 따른 불확실성 증대로 경기둔화 우려가 커지고 있기 때문에 대선 이후 2차 추경론이 자연스럽게 힘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1분기 역성장 가능성이 거론되고 2분기에도 부진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점도 2차 추경론에 힘을 싣고 있다.

우석진 명지대 경제학과 교수는 “(올해 성장률 전망치가) 잠재성장률을 크게 밑도는 상황에서 이번 추경 규모는 지나치게 작은 측면이 있다”며 “집행 시점도 늦어져 효과가 반감될 것으로 보이는 만큼 대선 이후 2차 추경 편성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600 “실제 상황 입니다”…설산 구조 훈련 중 빙하 와르르 [잇슈 SNS] 랭크뉴스 2025.04.21
46599 이재명, 네거티브엔 무대응·공개일정 최소화…‘스텔스 전략’ 왜? 랭크뉴스 2025.04.21
46598 ‘강·서·송·용’ 다 있네…대선후보가 보유한 아파트 시세는 얼마?[대선후보 부동산②] 랭크뉴스 2025.04.21
46597 [단독] 건진법사, '尹핵관' 윤한홍과 60번 통화... "내가 이 정도도 안 되나" 항의 랭크뉴스 2025.04.21
46596 [현장] “불탄 나무들 휘떡휘떡 넘어져…비 오면 산사태 겁나” 랭크뉴스 2025.04.21
46595 이랜드리테일, 뉴코아 인천논현점 6월 폐점 검토... “아웃렛도 양극화” 랭크뉴스 2025.04.21
46594 [단독] 사람과 자연 공존하는 땅 전국 ‘1만2337㎢’…공존지역 태양광으로 재생에너지 발전 목표치 넘는다 랭크뉴스 2025.04.21
46593 “한 뙈기라도 더!”…최대 간척지 새만금 고지전, 실탄은 어디서? 랭크뉴스 2025.04.21
46592 애플 팀 쿡이 나이키 경영도 챙기는 이유 랭크뉴스 2025.04.21
46591 후보가 "같이 나라 말아먹자"…초유의 딥페이크 대선 전쟁 랭크뉴스 2025.04.21
46590 "이래서 강남강남 하는구나"…강남구 씀씀이 3년뒤 2조↑[양철민의 서울 이야기] 랭크뉴스 2025.04.21
46589 필리핀서 오토바이 강도에 한국인 관광객 피살 랭크뉴스 2025.04.21
46588 보릿고개에 트럼프 리스크 겹친 韓 배터리…국내외 투자 속도조절 [biz-플러스] 랭크뉴스 2025.04.21
46587 민주 이재명 '압도적'‥국힘 '한덕수 변수'에 표류 랭크뉴스 2025.04.21
46586 부활절 휴전, 30시간으로 끝…트럼프 “러·우, 금주 합의 희망” 랭크뉴스 2025.04.21
46585 “갑자기 월세 20만원 내라고요?” 누구를 위한 ‘전세의 월세화’일까?[올앳부동산] 랭크뉴스 2025.04.21
46584 한국인 관광객, 필리핀서 강도 총격에 사망 랭크뉴스 2025.04.21
46583 '이재명 테마주' 상지건설, CB 물량 폭탄 쏟아진다 [이런국장 저런주식] 랭크뉴스 2025.04.21
46582 ‘피고인 尹’ 법정모습 공개… 직접 증인신문 나설까 랭크뉴스 2025.04.21
46581 '만년 2등'에 안주하다가 '유신 보수'까지 퇴행한 보수정당 [위기의 보수, 길을 묻다] 랭크뉴스 2025.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