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트럼프 “3~4주내 회담” 시진핑 동남아 순방
NYT “시진핑과의 브로맨스 꿈은 사라졌다”
제3국 중재가 돌파구지만 쉽지 않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월 16일 플로리다 팜비치 공항에서 질문에 답하고 있다./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과 비공개 관세 협상을 지속하고 있다고 밝혔지만 기대를 거는 시선은 희박하다. 미·중 관세전쟁은 외교·군사적 긴장을 동반하며 장기 교착상태가 이어질 것이라는 진단이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7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열린 해산물 경쟁력 회복 관련 행정명령 서명식에서 “중국이 여러 차례 연락을 해 왔다”며 “우리는 중국과 협상을 타결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과 직접 통화했느냐’는 질문에 “그것은 중요하지 않고, 그것에 대해 말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미국과의 관세전쟁 우군 확보를 위해 베트남 ·말레이시아·캄보디아 순방을 마치고 귀국하는 날이었다.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시 주석 순방 전인 지난 10~11일 1953년 2월 한국전쟁 당시 마오쩌둥 주석이 한 “미국은 종이호랑이”라며 “전쟁이 아무리 길어져도 중국은 끝까지 싸워 이긴다”는 연설을 엑스에 연달아 올렸다.

뉴욕타임스(NYT)는 시 주석의 동남아 순방을 두고 “트럼프 대통령이 원해왔던 시 주석과의 브로맨스가 손이 닿지 않는 곳으로 사라졌다”며 “무역전쟁의 빠른 해결이 물 건너가면서, 미국 경제는 침체에 더 가까워졌다”고 평했다. 무역전쟁이 두 초강대국 간의 군사·외교적 긴장을 고조할 위험이 있다고도 짚었다. 중국은 미국에 희토류 수출을 제한하며 방위산업을 정조준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도자 간 대화를 통한 극적 타결’을 고집하는 것이 중국을 상대로는 역효과를 내고 있다. 지난 2월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J.D. 밴스 부통령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에게 모욕을 준 일이 중국에 더욱 경계심을 줬다는 분석이 나왔다.

워싱턴 싱크탱크 스팀슨센터의 윤 선 중국담당 연구원은 “시 주석은 젤렌스키 대통령처럼 대우받는 것을 두려워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은 이견을 좁히기 위해 이달 초 추이톈카이 전 주미대사를 특사로 보내 트럼프 보좌진을 만나려했지만 실패했다고 선 연구원이 전했다.

오바마 행정부 시절 국가안보회의(NSC) 중국 담당 이사를 지낸 라이언 하스 브루킹스 연구소 연구원은 “트럼프 행정부는 관세 인상에 대한 중국 측의 ‘예견된 반응’에 당황한 듯하다”며 “중국 측은 관세 문제를 무역 문제만으로 보지 않는다”고 말했다. 중국의 자존심, 향후 미국과이 패권, 중국의 국제적 지위, 대만 문제 등이 모두 얽힌 이슈로 본다는 것이다.

협상에 대해서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들조차 의견이 엇갈린다. 미·중 디커플링(공급망 분리)을 주장해 온 피터 나바로 백악관 고문은 중국과 협상이 되지 않는 것을 내심 기뻐하고 있지만, 헤지펀드 매니저 출신으로 시장 혼란에 민감한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이나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등은 중국과의 협상을 지지한다. 하지만 베선트 장관이나 러트닉 장관도 트럼프 대통령의 협상 스타일을 고집하는 것은 막지 못하고 있다.

하스 연구원은 미·중이 협상 국면으로 나갈 수 있는 유일한 돌파구로 “양국 정상의 체면을 세워줄 수 있는 제3자가 중재에 나서는 경우”라고 짚었다. 유럽이나 베트남이 중재 가능성 있는 국가로 꼽힌다. 이 역시 쉽지 않다. 베트남이 중재한 2019년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비핵화 협상인 ‘하노이 회담’이 실패한 바 있다.

중국 측에서는 2분기 이후 미국 경제가 실업률이 상승하고 물가가 폭등할 때까지 기다린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중국은 고율 관세에 맞불관세와 희토류 수출중단 조치를 내린 데 이어 미국이 최근 발표한 중국 선박에 대한 입항 수수료 부과 등에도 보복조치를 예고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347 동기 석연치 않은 용인 일가족 살해범… 범행 너무 치밀했다 랭크뉴스 2025.04.20
46346 한미, 이번주 관세 협상 랭크뉴스 2025.04.20
46345 대행 한덕수 “선출직 대통령과 같다”…방위비 협상 또 ‘월권’ 논란 랭크뉴스 2025.04.20
46344 [속보]한미, 이번주 관세 협상 랭크뉴스 2025.04.20
46343 한미, 이번 주 미국서 ‘2+2’ 관세 협상…“미국 측 제안” 랭크뉴스 2025.04.20
46342 윤여정 "큰아들 2000년 커밍아웃…뉴욕서 동성혼" 가족사 첫 고백 랭크뉴스 2025.04.20
46341 한미, 이번 주 워싱턴에서 재무·통상장관 '2+2 통상협의' 랭크뉴스 2025.04.20
46340 KA-1 사고, 또 조종사 실수?…버튼 착각해 장착물 투하 가능성 랭크뉴스 2025.04.20
46339 尹 "알아서 한다, 떠들지 마라"…40년 의사친구 절연한 사연 랭크뉴스 2025.04.20
46338 [르포] "트럼프는 미국의 수치!" 미 전역 울려 퍼진 저항의 목소리 랭크뉴스 2025.04.20
46337 ‘피고인석 윤석열’ 내일 첫 공개···1심 재판 올해 안에 끝날까 랭크뉴스 2025.04.20
46336 “XX 노트북 닫으라고”…강의중 학생에 욕한 대학 교수 랭크뉴스 2025.04.20
46335 “아빠 병원비 좀 빌려줘” 지인들에 1억8000만원 떼먹은 30대, 실형 랭크뉴스 2025.04.20
» »»»»» 중국에 끝없이 역효과 내는 트럼프 외교…“젤렌스키 모욕 부메랑” 랭크뉴스 2025.04.20
46333 에릭슨 투자매력도 높음, 주가 상승 여력 70% 이상 [돈 되는 해외 주식] 랭크뉴스 2025.04.20
46332 [단독] 美 통상 협상 구멍 내놓고… 30일 간 알지도 못한 '넋 나간' 정부 랭크뉴스 2025.04.20
46331 안철수 “윤석열, 탈당 안 하면 후보 돼서 찾아가 설득하겠다”[인터뷰] 랭크뉴스 2025.04.20
46330 ‘한덕수 출마론’에... 김문수 “누구라도 이재명 꺾는다면 힘 모아야” 랭크뉴스 2025.04.20
46329 "초밥 90인분 주문요"…또 '김민우 대위'가 영세상인 울렸다 랭크뉴스 2025.04.20
46328 토허제 재지정 한 달…강남·서초·송파·용산 아파트값 상승률 '뚝' 랭크뉴스 2025.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