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연합군사령부 대위 김민우입니다. 초밥 90인분 준비해주세요."
20일 광주경찰청 등에 따르면 광주 서구에서 음식점을 운영하는 50대 자영업자 A씨는 최근 '010'으로 시작하는 번호로 이같은 음식 대량 주문 전화를 받았다.
전화기 속 굵직한 목소리의 신원 미상 남성은 자신을 한미연합군사령부 소속 대위라고 소개하며, 부대원과 가게로 가겠다는 말과 함께 구체적인 방문 일시를 전했다.
A씨는 이른바 '노쇼 사기'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지만, 공무원증으로 자신의 신원을 밝힌 김 대위를 믿기로 하고 예약을 받았다.
이후 예약 시간이 다가와 170여만원 상당의 음식을 정성스레 준비했지만, 김 대위는커녕 부대원들도 보이지 않았다. 이에 김 대위가 남긴 연락처로 전화를 해보니 "부대에 사정이 생겨 방문하지 못할 것 같다"면서 대신 자신이 소개해주는 경기 소재 유통업체를 이용해 음식을 보내달라고 했다. 유통업체를 이용하려면 수십만원 상당 배송료도 내야 하는데, 음식을 받으면 음식값과 함께 지불하겠다고 했다.
그제야 신종 사기를 당했다는 사실을 알게 된 A씨는 경찰에 곧바로 신고했다.
이와 비슷한 유형으로 광주경찰청에 접수된 사건은 지난 1월 1건에 불과했으나, 2월 4건·3월 2건에 이어 지난 18일 기준 21건까지 늘어나는 등 총 28건이 접수됐다.
사건을 접수한 경찰이 주문 예약한 번호를 확인해보니 대포폰인 것으로 추정됐다. 경기 소재 유통업체 또한 실체 하지 않은 유령업체인 것으로 확인됐다.
피해 자영업자 일부는 공통으로 '대위 김민우'라는 사칭범의 주문 전화를 받았고, 지역 일선 경찰서에는 군인이 아니라 교도소 직원을 사칭한 동일 수법의 피해 신고도 들어왔다.
집중수사관서로 지정된 광주 서부경찰서 윤재상 수사과장은 이날 "단순한 노쇼 사기가 아니라 유통업체를 끼어 돈을 갈취하는 신종 사기 수법"이라며 "대량 주문 예약을 받기 전에는 주문 금액 일부를 선불금으로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불경기에 한 푼이라도 더 벌겠다는 영세상인들의 절박한 심정을 악용한 범죄를 근절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