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8일 백악관에서 열린 보건 관련 관료 임명 행사에 참석해 한 곳을 응시하고 있다. AP=연합뉴스
국제사회에 무차별적인 관세 폭탄을 퍼붓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9일(현지시간) 갑작스럽게 90일 유예 방침으로 선회한 배경에는 국채 금리 급등이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그런데 트럼프 대통령의 자산 상당 부분이 채권에 몰려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그가 세계 경제의 충격에는 무관심하다가 정작 자신의 재산 가치가 흔들리자 조치를 취한 것 아니냐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18일, 지난해 기준 트럼프 대통령의 자산 내역을 분석한 결과 채권 투자 규모가 1억2500만달러(약 1780억원)에서4억4300만달러(약 6310억원) 사이에 이른다고 보도했다.

금융 자산 전체가 2억600만달러(약 2934억원)에서6억2000만달러(약 8831억원)에 달하는 점을 감안하면 최소 기준으로만 봐도 채권 비중이 약 60%에 육박한다는 것이다.

반면 주식 비중은 10% 미만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NYT는 채권 자산의 최소값과 주식 자산의 최대값을 비교한 보수적인 추산을 적용해도 트럼프 미디어를 제외하면 그의 보유 채권 규모는 주식의 두 배 이상이라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마이크로소프트와 애플 등 기업이 발행한 회사채를 1800만달러(약 256억원)에서7500만달러(약 1068억원), 미국 국채는 900만달러(약 128억원)에서4200만달러(약 598억원) 수준으로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지방채의 경우 전체 채권 자산 중 약 80%를 차지했다.

NYT는 트럼프 대통령의 개인 자산이 관세 유예 결정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는 명확하지 않다면서도 그가 주식시장 폭락과 각계 압박에는 반응하지 않다가 채권시장이 흔들리자 행동에 나섰다고 짚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유예 발표 후 "채권 시장은 매우 까다롭다"거나 "(채권 시장을) 지켜보고 있다"고 발언하며 국채 금리가 결정을 이끈 배경이었음을 시사했다.

관세 유예 조치 이후 미국 국채 시장은 단기적으로 다소 안정을 되찾았다.

미국 국채 수익률은 국내 다른 채권 금리의 기준 역할을 한다. 국채 수익률이 오르내릴 때 나머지 채권 금리도 그에 따라 움직이는 경향이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본인의 발표 이후 채권 투매가 멈추고 가격이 오르자 "지금 채권시장은 아름답다"고 반응하기도 했다.

NYT는 트럼프 대통령이 실제로 자기 재산을 고려해 관세 유예를 결정했는지 단정할 수는 없으며 그의 포트폴리오 구성이 단순한 우연일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번 일련의 상황을 통해 정치적 판단과 개인적 이익이 맞물릴 수 있다는 점, 그리고 개인 재산을 위임 없이 통제한다는 점에서 윤리적 문제가 불거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들도 내부자 거래 의혹에 연루돼 논란이 커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유예 발표 당일 SNS에 "지금은 (주식을) 매수하기 좋은 때"라는 글을 올린 바 있다.

그로부터 3시간 뒤 관세 유예 조치를 발표하면서 일각에서는 측근들이 그 직전에 주식을 사들여 시세 차익을 챙긴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다만 NYT는 트럼프 대통령의 자산 포트폴리오가 지난해 공개된 이후 일부 조정됐을 가능성은 있다고 덧붙였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에 출마하기 위해 수십억달러 규모의 비즈니스 제국에서 물러났고 엄청난 희생을 치렀다"며 자신의 이익을 위해 행동한 것이 아니라고 반박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263 김문수 “65세 이상, 오전 9시~오후 5시 버스 무료탑승제” 공약 랭크뉴스 2025.04.20
46262 국민의힘 오늘 두 번째 경선 토론…컷오프 앞두고 앞다퉈 대구행 랭크뉴스 2025.04.20
46261 민주당 순회경선 2차 개표…영남권 표심은? 랭크뉴스 2025.04.20
46260 오타니, 아빠 됐다…"원더풀 데이" 딸 발바닥 사진 올려 랭크뉴스 2025.04.20
46259 [스트레이트 예고] '언론 계엄'의 망령 / '아기 외교' 인신매매 [1] 랭크뉴스 2025.04.20
46258 친구에게 돌 던진 9세…법원 "아이도 책임, 2200만원 배상하라" 랭크뉴스 2025.04.20
46257 한미 관세협상, 재무·통상 '2+2 형식' 진행 추진…"곧 발표할 것" 랭크뉴스 2025.04.20
46256 “무서워도 길에서 자야죠”…이재민들은 지금 [미얀마 강진④/취재후] 랭크뉴스 2025.04.20
46255 '달러=안전자산' 공식 깨졌다…트럼프 취임 후 10% 급락한 이유 [김민경의 글로벌 재테크] 랭크뉴스 2025.04.20
46254 토허제 확대 지정 한 달···“가격상승폭 둔화·거래량 감소” 랭크뉴스 2025.04.20
46253 “문과 수험생 이례적 증가…사탐 응시율 통합수능 이래 최고” 랭크뉴스 2025.04.20
46252 친구 얼굴에 돌 던진 9살 초등생…法 "학생과 부모, 2200만 원 배상하라" 랭크뉴스 2025.04.20
46251 수도권 지하철 요금 6월 150원 인상…‘왕복 3000원’ 넘어 랭크뉴스 2025.04.20
46250 ‘외출 때 뽑아야’…中서 충전기 과열 화재 잇달아 랭크뉴스 2025.04.20
46249 이재명 “발달·정신장애인 돌봄 국가책임제 실시할 것” 랭크뉴스 2025.04.20
46248 "왕은 없다, 파시즘 안돼"…美 700여곳 50만명, 반트럼프 시위 랭크뉴스 2025.04.20
46247 숨진 아버지 장애인 주차표지 부정 사용…아들부부 ‘집행유예’ 랭크뉴스 2025.04.20
46246 “돈 좀 빌려줘”···여성 7명 상대 4억6000만원 뜯어낸 30대 랭크뉴스 2025.04.20
46245 그래서 트럼프는 제조업을 살릴 수 있을까? 랭크뉴스 2025.04.20
46244 이재명 부활절 메시지…“정치도 어려움 인내하고 도전 포기말아야” 랭크뉴스 2025.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