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윤석열 전 대통령과 부인 김건희 여사가 11일 오후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를 떠나 서초동 사저로 이동하며 지지자들과 인사를 하고 있다. 뉴스1
국민의힘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 결별론이 점차 고개 들고 있다.

당 조직부총장인 김재섭 의원은 16일 페이스북에서 “불덩이를 움켜쥐고 뜨겁다고 하는데, 방법은 간단하다. 불덩이를 손에서 내려놓으면 된다”며 “조기 대선에서 이기는 방법도 간단하다. 파면당한 전임 대통령과 결별하면 된다”고 주장했다. 대선 경선에 출마한 유정복 후보도 같은 날 “일각에서 ‘윤 어게인’이라고 자위하며 과거 속에 살고 있는데, 언제까지 자해행위를 할 것이냐”며 “윤 전 대통령을 집으로 보내드리고, 이재명을 정치권에서 퇴출시키자”고 했다.

일부 후보 캠프에서도 윤 전 대통령과 선 긋기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커지고 있다. 익명을 원한 캠프 인사는 “캠프 내부에 탄핵에 반대한 이들이 많지만, 이들 사이에서도 대선 선거 운동 때 윤 전 대통령과 거리 둬야 승산이 생긴다는 현실론이 강하다”고 말했다.

탄핵심판 선고 전만 해도 국민의힘 내에는 윤 전 대통령을 ‘손절’하는 것에 대해 신중론이 적잖았다. 하지만 윤 전 대통령이 파면 뒤 연일 강경 발언을 이어가자, 당내 기류도 서늘해졌다. 윤 전 대통령은 11일 관저 퇴거 후 서울 서초동 사저로 복귀하면서 “다 이기고 돌아왔다”고 발언한 것으로 전해졌고, 14일 내란 우두머리 혐의 1차 공판에서는 12·3 비상계엄에 대해 “평화적 대국민 메시지 계엄”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영남 지역 국민의힘 의원은 “윤 전 대통령이 대선이 끝날 때까지는 민감한 발언을 자제해야 한다. 대선 시즌에 저런 발언은 득이 아니라 독”이라고 지적했다. 이준한 인천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국민의힘 주요 후보 중 누가 최종 후보가 돼도 윤 전 대통령과의 거리를 더 벌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2016년 10월 9일 오후 국회 본회의에서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가결된 뒤 의원들이 본회의장을 나서다. 중앙포토
과거 탄핵 혹은 정권 교체 국면에서 전직 대통령과 소속 정당 사이에는 정도의 차이는 있어도 껄끄러운 결별 과정이 있었다. 2016년 10월 9일 국회 본회의에서 새누리당(현 국민의힘) 의원 128명 중 62명이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소추안 찬성표를 던진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보수 진영은 분열했고, 새누리당 탈당파는 바른정당 등 제3지대로 이탈했다. 2017년 대선 선거운동 때 당시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선 후보는 “나는 박근혜 정부 2기가 아니다”라고 선을 분명하게 그었다. 대선 패배 뒤인 2017년 9월에는 자유한국당 혁신위원회(위원장 류석춘)가 박 전 대통령 탈당 권유 카드를 내놓았고, 김태흠·이장우 의원 등 친박계가 “왜 당을 둘로 나누냐”고 반발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은 탄핵당하지 않았고, 퇴임 당시 지지율도 낮지 않았지만, 정권 교체 뒤 내부 비난 화살을 피하지 못했다. 2022년 대선 직후 진보 진영에서는 “(대선 패배 원인 중) 가장 큰 것은 부동산 정책 실패”(김두관 당시 민주당 의원), “청와대와 민주당은 지난 5년간 내로남불, 독선, 편 가르기 등 나쁜 정치를 했다”(채이배 당시 민주당 비대위원)는 비판이 확산했다.

민주당 주류가 친문계에서 친명계로 바뀐 뒤엔 문 전 대통령을 향한 내부 비판이 더 강해졌다. 김남국 전 의원은 지난해 11월 문 전 대통령이 페이스북에 책을 추천하자 “책 장사 그만하고 촛불 선봉에서 국민의 방패가 되라”며 “윤석열 정권을 탄생시킨 원죄가 있는 문 전 대통령이 반성 없이 한가롭게 신선놀음하는 것은 당원과 국민을 분노케 한다”고 비난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254 토허제 확대 지정 한 달···“가격상승폭 둔화·거래량 감소” new 랭크뉴스 2025.04.20
46253 “문과 수험생 이례적 증가…사탐 응시율 통합수능 이래 최고” new 랭크뉴스 2025.04.20
46252 친구 얼굴에 돌 던진 9살 초등생…法 "학생과 부모, 2200만 원 배상하라" new 랭크뉴스 2025.04.20
46251 수도권 지하철 요금 6월 150원 인상…‘왕복 3000원’ 넘어 new 랭크뉴스 2025.04.20
46250 ‘외출 때 뽑아야’…中서 충전기 과열 화재 잇달아 new 랭크뉴스 2025.04.20
46249 이재명 “발달·정신장애인 돌봄 국가책임제 실시할 것” new 랭크뉴스 2025.04.20
46248 "왕은 없다, 파시즘 안돼"…美 700여곳 50만명, 반트럼프 시위 new 랭크뉴스 2025.04.20
46247 숨진 아버지 장애인 주차표지 부정 사용…아들부부 ‘집행유예’ new 랭크뉴스 2025.04.20
46246 “돈 좀 빌려줘”···여성 7명 상대 4억6000만원 뜯어낸 30대 new 랭크뉴스 2025.04.20
46245 그래서 트럼프는 제조업을 살릴 수 있을까? new 랭크뉴스 2025.04.20
46244 이재명 부활절 메시지…“정치도 어려움 인내하고 도전 포기말아야” new 랭크뉴스 2025.04.20
46243 산업장관 “韓美 통상협상, 섣부른 타결보단 신중한 접근" new 랭크뉴스 2025.04.20
46242 29억짜리 집 사는데 28억 '아빠 찬스'…서울시, 불법·편법 거래 59건 포착[집슐랭] new 랭크뉴스 2025.04.20
46241 한국증시 밸류업 발목잡는 중복상장…대기업 논란에 파열음 계속 new 랭크뉴스 2025.04.20
46240 '백종원 착취설'에 '연돈' 사장 "지금도 큰 도움 받고 있어" 직접 부인 new 랭크뉴스 2025.04.20
46239 김문수 "65세 이상, 오전 9시~오후 5시 버스도 무료탑승" 공약 new 랭크뉴스 2025.04.20
46238 한미 관세협상, 재무·통상 '2+2' 형식 진행 추진…"곧 발표" new 랭크뉴스 2025.04.20
46237 윤석열, '윤어게인 신당' 시도했던 변호사들과 식사 new 랭크뉴스 2025.04.20
46236 1만원 욕심으로 1억2000만원 날렸다…29년 경력 버스기사 최후 new 랭크뉴스 2025.04.20
46235 "난 아직 안들었는데"…가입자 ‘깜짝 증가’ 청약통장, 무용지물 오명 벗을까[집슐랭] new 랭크뉴스 2025.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