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피바라. 이미지투데이
[서울경제]
최근 귀여운 외형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동물 카피바라가 아르헨티나 부촌에서는 골칫거리로 여겨지고 있다.
17일(현지 시간) 뉴욕타임스(NYT)와 아르헨티나 일간 라나시온 등에 따르면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부자 동네로 꼽히는 노르델타는 카피바라 개체수 조절을 위해 '불임 백신' 접종 시범 활동을 시작했다. 카피바라의 출몰이 잦아지자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겪는 주민들이 늘면서다.
현지에서 카르핀초라고도 불리는 카피바라는 남미에서 주로 서식하는 설치류 동물로 성체 몸길이는 1m를 넘고, 몸무게도 60㎏ 넘게까지 나간다. 몸집은 크지만 온순하고 친화력이 좋은 동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카피바라의 외형을 본뜬 열쇠고리, 인형 등이 미국, 멕시코, 한국, 중국, 일본 등지의 어린이와 청소년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고 있다. 최근에는 블랙핑크 제니의 '라이크 제니(like JENNIE)' 뮤직비디오에 등장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하지만 노르델타에서는 카피바라로 인한 민원이 크게 늘었다. 사람을 공격하지는 않지만 카피바라 무리가 개와 싸우거나 교통사고를 유발하면서다. 또 정원을 갉아 먹어 불편을 겪은 경우도 있다.
NYT는 "생물학자들은 지난 2년 동안 노르델타의 카피바라 개체수가 3배나 늘어나 거의 1000마리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며 "이는 인간과 야생 동물이 도시에서 공존할 수 있는지를 가늠하게 할 중요한 사례"라고 전했다.
주민들의 민원을 접수한 노르델타 부동산 개발 업체는 지방정부 승인을 받은 뒤 수의사를 고용해 시범적으로 '불임용 백신 주사'를 놓고 있다. 이 업체는 외부인 출입을 제한하고 있는 이 주택 단지의 관리도 맡고 있다.
그러나 일부 주민들은 불임 백신 투약을 반대하며 카피바라의 서식지였던 노르델타를 개발해 생태계를 파괴한 것이 문제의 원인이라고 주장한다. 파라나강 습지 위에 지어진 노르델타는 퓨마, 재규어, 카이만의 서식지였지만 1990년대 후반부터 이 지역에는 도로, 저택, 쇼핑센터 등이 들어서며 개발됐다.
펠리포 콘티지아니는 NYT에 "카피바라는 도시에 살게 된 야생 동물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개체수 조절을 지지한 반면, 실비아 소토는 "카피바라의 귀여움은 생존을 위한 종 자체의 전략이며, 대체 서식지 마련이 우선"이라고 피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