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17일(현지시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동남아 순방 마지막 일정인 캄보디아 도착했다. / 사진=연합뉴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18일(현지시간) 동남아시아 3국 순방 일정이 마무리됐다. 이번 순방은 14일 베트남에서 시작해 말레이시아를 거쳐 캄보디아에서 끝났다. 중국 외교부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 방문”이라고 평가했고, 로이터통신은 “중국의 매력 공세가 시작됐다”고 보도했다.

시 주석은 캄보디아에서 “패권주의와 보호주의에 반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16일(현지시간) 말레이시아 안와르 이브라힘 총리와의 회담 후 “세계 질서는 충격에 직면했다"며 "중국은 아세안 국가들과 함께 지정학적 진영 대립, 일방주의, 보호주의에 맞서 싸워야 한다”고 말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미·중 갈등이 격화하는 가운데, 중국은 역내 경제 협력을 강화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신화통신에 따르면 시 주석은 베트남에서는 45건, 말레이시아에서 31건, 캄보디아에서 37건의 협정을 체결했다.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철도 인프라와 운하 건설 등 대규모 사업이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외교전은 미국의 고관세 정책과 맞물려 있다. 베트남과 캄보디아는 대미 수출 의존도가 높은 국가다. 로이터는 베트남은 GDP의 약 30%가 미국 수출에 기반하고 있다고 추산한다. 캄보디아의 의류·신발 산업 역시 미국 시장과 직결돼있다. 미국은 베트남과 캄보디아에 각각 46%, 49%의 관세가 예고됐다가 유예된 상태다.

전문가들은 중국이 전략적 불확실성을 기회로 활용하고 있다고 분석한다. 이안 총 싱가포르국립대 교수는 “워싱턴의 동맹 정책이 신뢰를 무너뜨리고 있으며, 시진핑은 이 공백을 공략하고 있다”고 밝혔다. 스티븐 올슨 ISEAS 연구원도 “중국은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로 자신을 강조하는 반면, 미국은 무역 관계를 파괴하는 무례한 국가로 그려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백악관은 중국의 아세안 공동전선 구축에 개의치 않는다는 입장이다. 17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의 외교적 움직임을 우려하느냐’라는 질문에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시진핑 주석이 베트남을 방문한 14일, 미국은 아르헨티나를 찾았다. 아르헨티나가 11일 IMF로부터 200억 달러 구제금융을 승인받은 직후였다.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은 하비에르 밀레이 아르헨티나 대통령과 회담을 가졌다. 로이터는 이번 방문을 두고 “아르헨티나의 대중 의존도를 줄이고, 미국과의 호혜적 무역 관계로 방향을 트는 전략적 행보”라고 평가했다. 세계 3위 리튬 생산국으로, 미국 전기차 배터리 공급망의 핵심 거점이다.

베센트 장관은 중국의 자금 의존도를 줄여야 한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회담 뒤 진행된 블룸버그 인터뷰에서 그는 “아르헨티나가 경제 개혁을 지속한다면 중국과 맺은 통화스와프 (50억 달러 인출분)을 상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중국은 아프리카에서 광물권을 확보하고 국가 부채를 키우는 약탈적 협정을 체결해 왔다”며 “이 방식이 라틴아메리카에서 반복되지 않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블룸버그는 "미국이 자국의 ‘뒷마당’이라 여기는 중남미에서 중국의 영향력을 밀어내기 위한 외교전에 돌입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지난 8일 피트 헤그세스 미 국방장관은 파나마 운하를 방문했고, 14일에는 엘사바도르 나이브 부켈레 대통령이 백악관을 찾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회담을 가졌다.

한경비즈니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656 나경원 “대통령에 국회 해산권을···탄핵 시 직무정지도 바꿔야” 극우에 ‘러브콜’ 랭크뉴스 2025.04.18
45655 "내가 이재명 대항마"… '기승전 이재명 때리기'로 끝난 국힘 비전 대회 랭크뉴스 2025.04.18
45654 대행 체제 사상 첫 추경, 경기·통상 대응엔 부족한 규모 랭크뉴스 2025.04.18
45653 경찰, 이상민 전 장관 피의자 소환…단전·단수 의혹 조사 랭크뉴스 2025.04.18
45652 [단독] 새벽, 의문의 무리들‥선관위에 '붉은 천' 묻었다. VICtORY? 랭크뉴스 2025.04.18
45651 "할머니 빨리 나와요" 어르신 업고 질주…'산불의인' 상 받았다 랭크뉴스 2025.04.18
45650 美, 中해운사·중국산 선박에 입항료… 트럼프 “中과 관세 대화 중” 랭크뉴스 2025.04.18
45649 지역화폐 발행 고집…민주당, 추경 15조로 증액 또 압박 랭크뉴스 2025.04.18
45648 폐쇄 요구했는데…‘독도는 일본 땅’ 日 정부 전시관 재개관 랭크뉴스 2025.04.18
45647 [단독] 경찰, '언론사 단전·단수 지시 의혹' 이상민 전 장관 조사 랭크뉴스 2025.04.18
45646 강남 초교 '유괴미수' 해프닝으로…"범죄 혐의점 없어"(종합) 랭크뉴스 2025.04.18
45645 “어쩐지 덥더라니”… 올들어 낮 기온 첫 30도 돌파 랭크뉴스 2025.04.18
45644 대통령실 “캣타워 170만원에 구매했지만 이사 때 가져간 건 기존 쓰던 것” 랭크뉴스 2025.04.18
45643 韓대행, 내주 국회서 시정연설…추경안 협조 요청할 듯 랭크뉴스 2025.04.18
45642 홍준표 "흉악범 사형집행" 김문수 "핵잠수함"…국힘 8인 비전은 랭크뉴스 2025.04.18
45641 백두혈통 주애 폭풍성장… 하이힐 신고 김정은과 눈높이 랭크뉴스 2025.04.18
45640 경찰, 유튜버 쯔양 '가로세로연구소 김세의 고소' 수사팀 재배당 랭크뉴스 2025.04.18
45639 이재명 38% 선두 질주…한덕수·홍준표·김문수 나란히 7% 랭크뉴스 2025.04.18
45638 울산 한 장애인시설서 5년간 16명 질병사…돌봄 문제없었나 랭크뉴스 2025.04.18
45637 美, 중국산 선박에 입항료 물리자…中 "결국 美소비자 손해" 랭크뉴스 2025.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