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왼쪽 둘째)가 17일 오전 대전시 유성구 국방과학연구소(ADD)를 방문해 개발 중인 무기체계를 둘러보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17일 발표한 “임기 내 국회 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세종 집무실 건립”은 이 후보가 6·3 대선 출마 선언을 한 뒤 처음 낸 ‘지역 공약’이다. 19일 충청권부터 시작되는 당 권역별 순회 경선을 앞두고 중원 공략에 나선 것이다. 하지만 국회 본원과 대통령 집무실의 세종 완전 이전은 ‘사회적 합의’의 영역으로 남겨둬, 실제 행정수도 이전이 이뤄질지는 불투명하다. 국민의힘 후보 다수는 노무현 전 대통령 때 ‘행정수도 이전은 위헌’이라고 한 헌법재판소 결정을 들어, 세종 집무실 이전에 반대했다.

이날 이 후보가 페이스북을 통해 세종 집무실 건립 등 충청권 공약을 발표한 뒤, 이 후보 경선 캠프 강훈식 총괄본부장은 브리핑에 나서 “충청은 매번 모든 대통령 선거에서 ‘바로미터’ 역할을 해왔다. 이 후보 캠프도 대한민국 남부와 지역, 서울을 연결하는 중심지로서 충청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공을 들이겠다는 차원”이라고 말했다. 이날 방위산업 공약도 함께 페이스북에 공개한 이 후보는 대전 국방과학연구소(ADD)를 직접 방문해 관련 설명을 내놓기도 했다.

이 후보가 충청권에 이렇게 “공을 들이”는 건, 2022년 대선 때 0.73%포인트 차로 패배한 주요 원인이 이 지역을 잃은 탓이라는 분석 때문이다. 전국 단위 선거의 캐스팅 보트로 불리는 충청권에서 이 후보는 세종(51.9%)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한테 밀렸다. 박빙으로 전개된 지난 대선과 달리 이번엔 ‘이재명 대세론’이 굳건하다. 한겨레의 대선 지지율 예측 조사 서비스 ‘예측! 6·3 대선’에서 이날 이 후보의 충청권 지지율은 47.1%로 서울(48.3%), 인천·경기(48%)와 비슷한 수준이다. 하지만 이 후보 쪽은 ‘빈틈’을 주지 않으려면 순회 경선 출발점인 충청권 표심부터 다져야 한다는 기류다. 이 후보는 지난 대선 공약인 ‘대통령 제2집무실 설치, 국회 세종의사당 설치’에서 한발 더 나아가, 이번엔 “세종은 명실상부한 행정수도, 대전은 세계적인 과학수도”를 내걸었다.

‘세종 행정수도’ 관련 대선 주자들의 입장

다만, 이 후보는 “명실상부한” “행정수도의 중심”이라는 표현을 쓸 뿐, 행정수도 이전 자체는 사회적 합의 이후로 미뤄뤘다. 그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행정수도 건설은 지금까지 계속 추진해온 정책이지만, 완전한 이전은 헌법 개정과 국민적 공감 과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반대가 거셀 경우 대통령 집무실 등의 세종 완전 이전은 무산될 수도 있단 얘기다. 이 후보는 대통령에 당선될 경우, 세종 집무실이 완성될 때까지 어디를 집무실로 쓸지도 “현실적인 문제를 고려해 지금 당장 최종적 결론을 내기 어렵다”고 했다.

당내 경쟁자인 김동연·김경수 후보는 모두 행정수도 세종 이전을 주장하며 이 후보보다 적극적인 태도다. 대통령 당선 직후 쓸 집무실로 김동연 후보는 “즉시 세종시에서 근무하겠다”고 했고, 김경수 후보는 “(완전 이전 전까지) 서울 청와대와 세종 대통령 집무실을 함께 사용하겠다”고 했다.

국민의힘 주자들은 대체로 세종 집무실 이전에 선을 그었다. 홍준표 후보는 “행정수도 세종 이전은 위헌 결정이 나왔다”며 “전략적으로 주장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위헌 소지가 있는 주장을 이야기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나경원 후보는 “세종으로 대통령 집무실을 옮기는 것은 명백한 헌법 개정 사항”이라고 했고, 안철수 후보도 “헌법재판소에서 관습법에 의해 수도 이전은 가능하지 않다고 했다”고 말했다. 김문수 후보는 “한차례 (청와대에서 용산 대통령실로 집무실이) 바뀌었지만, 의견을 수렴해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한동훈 후보는 “용산에 대한 주민들의 감정이나 효율성, 지역 균형 문제 등을 생각해서 논의해도 되는 문제”라고 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437 정부, 옛 삼성물산 관련 국제투자분쟁 패소에 항소 않기로...메이슨에 860억 지급 예정 랭크뉴스 2025.04.18
45436 "부정선거 007영화에서나 가능"…투표함 봉인지 뜯자 생긴 일 랭크뉴스 2025.04.18
45435 [속보]정부, 삼성 합병 관련 ‘메이슨 ISDS 중재판정 취소 소송’ 항소 포기…지연이자 등 400억원 이상 물어내야 랭크뉴스 2025.04.18
45434 美 릴리 ‘먹는 비만약’ 임상시험 성공… 9개월 복용 7.3kg 감량 랭크뉴스 2025.04.18
45433 이재명 “해수부 부산 이전…부울경 메가시티 해양 수도 만들 것” 랭크뉴스 2025.04.18
45432 외계 생명체 존재 유력 증거 발견 랭크뉴스 2025.04.18
45431 세종시 집값 ‘들썩’…대통령실·국회 정말 옮길까? [잇슈 머니] 랭크뉴스 2025.04.18
45430 “미우나 고우나 충암의 아들”… 尹 모교 동문회 게시판 글 두고 갑론을박 랭크뉴스 2025.04.18
45429 李 “해수부 부산 이전, ‘PK 30분대 생활권’ 실현” 랭크뉴스 2025.04.18
45428 300m 거리도 차 타는 尹재판 검사들…도넘은 신상털기에 떤다 랭크뉴스 2025.04.18
45427 이준석 “국힘, 윤석열 전화 안 받기 시작…배신감에 길길이 뛰고 있을 것” 랭크뉴스 2025.04.18
45426 안철수 “尹 탈당하라”…국힘 대선 주자 중 처음 랭크뉴스 2025.04.18
45425 ‘찬탄’ 안철수, 尹 공세 수위 높여… “탄핵된 전직 대통령 탈당해야” 랭크뉴스 2025.04.18
45424 HMM, 잔여 영구채 전환 후 주가 5%대 급등[이런국장 저런주식] 랭크뉴스 2025.04.18
45423 [단독] '장애인의 날' 행사장 농성 장애인단체 활동가 체포‥"장관 면담 요청" 랭크뉴스 2025.04.18
45422 [공실 폭탄]② “조물주 위에 건물주? 이제 옛말”…전국 상가 10곳 중 1곳은 ‘공실’ 랭크뉴스 2025.04.18
45421 "美 관세로 어두운 터널"…韓銀, 3개월 내 '빅컷' 단행하나 [Pick코노미] 랭크뉴스 2025.04.18
45420 미 테네시 덮친 홍수…나 홀로 멀쩡한 ‘기적의 집’ 화제 [잇슈 SNS] 랭크뉴스 2025.04.18
45419 서점가에도 이재명 돌풍...출간 즉시 1위 랭크뉴스 2025.04.18
45418 DJ 맏손자 김동연 캠프 합류… “민주당 정통성 입증” 랭크뉴스 2025.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