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하루 한번 먹는 오포글리프론 임상 3상 발표
앞서 암젠, 화이자는 먹는 비만약 임상 중단
먹는 약도 릴리, 노보 노디스크 양강 구도 예상

데이비드 릭스 일라이 릴리 CEO./일라이 릴리


미국 제약사 일라이 릴리(Eli Lilly)가 하루 한번 먹는 비만 치료제가 임상 3상 시험에서 성공했다고 17일(현지 시각) 밝혔다. 현재 비만 치료제는 모두 주사제이다. 앞서 미국 제약사 암젠과 화이자가 잇달아 먹는 비만약의 임상시험을 진행하다 부작용이 나타나 중단을 선언한 만큼, 일라이 릴리가 먹는 비만약 시장을 선점할 가능성이 커졌다.

일라이 릴리는 이날 경구용 당뇨·비만 치료제로 개발 중인 ‘오포글리프론(orforglipron)’ 임상 3상 시험 결과, 36㎎ 용량 약을 하루 한 번 먹은 참여자들이 9개월 동안 평균 7.3kg 체중을 감량했다고 밝혔다.

이번 임상 3상 시험은 미국괴 중국·인도·일본·멕시코에서 제2형 성인 당뇨병을 앓고 있는 비만 환자 559명을 대상으로 40주간 진행됐다. 회사는 이번 임상 3상은 이 약의 안전성과 내약성, 혈당 조절, 체중 감량 측면에서 기대치를 충족했다고 밝혔다. 안전성과 함께 체중을 줄이고 혈당 수치를 낮추는 효과를 확인했다는 얘기다.

발표에 따르면, 3㎎, 12㎎, 36㎎ 복용군 모두에서 혈당이 1.2~1.5% 감소했고, 체중은 각각 평균 4.5%, 5.8%, 7.6% 줄었다. 회사는 “일부 참가자의 경우 혈당 수치가 당뇨병 기준 이하로 떨어지기도 했다”고 밝혔다. 다만 고용량인 36mg을 투약한 환자의 8%는 부작용이 나타나 임상시험에서 중도 탈락했다고 보고했다.

현재 세계 비만 치료제 시장은 덴마크 노보 노디스크의 위고비(성분명 세마글루타이드)와 미국 일라이 릴리의 마운자로(티르제파타이드) 양강 구도다. 두 회사 제품 모두 소화 속도를 늦춰 포만감을 느끼게 하는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GLP)-1 계열 주사제다. 주사제는 환자가 직접 일주일에 한 번 주사를 놓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일라이릴리 비만 치료 주사제 젭바운드(한국 제품명 마운자로). /일라이 릴리

릴리가 개발한 오포글리프론 역시 GLP1 계열 약물인데, 주사제가 아닌 알약 형태로 하루 한 번 복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먹는 비만약을 개발하면 환자 편의성이 커져 수요가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게다가 주사형 치료제에 비해 대량 생산이 용이해 약값도 낮출 수 있다. 기존 비만약 펜 주사기는 일반 주사기보다 단가가 10배 이상 높다. 데이비드 릭스(David Ricks) 일라이 릴리 CEO는 “오포글리프론은 하루 한 번 복용하는 편리한 알약으로, 승인된다면 대규모 생산과 전 세계적 보급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라이 릴리는 이번 오포글리프론 임상 3상 결과를 바탕으로 올해 안에 비만약 승인 신청을 먼저하고, 내년 제2형 당뇨병 치료제로도 승인 신청을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노보 노디스크도 먹는 GLP-1 계열 리벨서스를 개발해 임상 3상 시험에 성공했지만, 당뇨병 치료제로만 허가를 받은 상태다.

시장에선 먹는 비만약 시장 역시 노보 노디스크의 리벨러스와 일라이 릴리의 오포글리프론의 경쟁이 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허혜민 키움증권 연구원은 “오포글리플론의 경쟁약물이 리벨서스가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날 미국 증시에서 일라이 릴리 주가는 전일 대비 14% 오른 반면 노보 노디스크의 주가는 7% 빠졌다. 시장은 릴리가 먹는 비만약 시장을 선점할 가능성이 크다고 본 것이다.

나비드 사타르(Naveed Sattar) 영국 글래스고대 심대사질환 교수는 사이언스미디어센터에 “이번 결과는 매우 중요하다”며 “혈당을 낮추는 동시에 기존 당뇨병 치료제보다 훨씬 효과적으로 체중까지 감량시키는 새로운 경구약이 나온다면, 제2형 당뇨병 치료의 미래에 매우 중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물론 아직 심혈관계 질환에 미치는 영향은 향후 임상시험을 통해 확인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일라이 릴리의 이번 임상 3상 시험 결과는 오는 6월 미국당뇨병학회(ADA) 학술대회에서 발표될 예정이며, 이후 학술지에 게재될 예정이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491 한동훈 최측근이던 장동혁, ‘반탄’ 김문수 캠프 총괄사령관으로 랭크뉴스 2025.04.18
45490 “음료수 줄게 따라올래?”… 서울 강남 초등학교서 학생 유괴 시도 랭크뉴스 2025.04.18
45489 ‘찔끔추경’, 얼어붙은 소비심리 되살릴 수 있나···“취약계층 직접 지원 늘려야” 랭크뉴스 2025.04.18
45488 강남 초교들서 '유괴미수' 의심신고…학부모 불안에 "전화 빗발"(종합2보) 랭크뉴스 2025.04.18
45487 영주시, 숨진 6급 팀장 '직장내 괴롭힘 피해' 조직적 은폐 의혹 랭크뉴스 2025.04.18
45486 정부, 12.2조 원 규모 추경안 국무회의 의결 랭크뉴스 2025.04.18
45485 [속보] 경찰, 문형배 대행 퇴임 맞춰 전담경호 해제 랭크뉴스 2025.04.18
45484 돌려차기 사건 피해자 김진주씨 "살아있다는 것만으로도 벅찬 삶, 행복하다" 랭크뉴스 2025.04.18
45483 "그걸‥ 비비기까지 했어요?" 대반전 판결에 쓰러진 엄마 랭크뉴스 2025.04.18
45482 "이재명 38%로 최고치…홍준표·한덕수·김문수 각각 7%"[한국갤럽](종합) 랭크뉴스 2025.04.18
45481 '윤 어게인' 신당 창당 돌연 보류…"尹이 만류했다"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4.18
45480 [속보]정부, 12조 규모 추경안 국무회의 의결 랭크뉴스 2025.04.18
45479 박정훈 대령 측 "2심에서 외압 근원 윤석열 증인 신청할 것" 랭크뉴스 2025.04.18
45478 "강남역에 누가 살고 있다" 출동하니... '7개월 실종' 중증 지적장애인 랭크뉴스 2025.04.18
45477 문형배, 퇴임사에서 '대인논증' 언급한 이유는 랭크뉴스 2025.04.18
45476 "尹 자진 탈당하라!" 급정색‥상처만 남긴 '3년 전 철수' 랭크뉴스 2025.04.18
45475 김동연 측, 여론조사 공정성 논란에 “심각한 범죄···진상 밝혀야” 랭크뉴스 2025.04.18
45474 이재명 캠프 좌장 윤호중 "어대명? 최대치는 55대 45, 마지막은 박빙" [대선 캠프 브레인 인터뷰] 랭크뉴스 2025.04.18
45473 법원, 尹 다음 주 재판도 지하출입 허용‥차량통제·검색강화 랭크뉴스 2025.04.18
45472 '尹 신당' 꿈틀하자 국힘 내부 비판론…'탈당' 요구도 고개 랭크뉴스 2025.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