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한국은행이 올해 1분기 한국의 마이너스 성장 가능성을 열어뒀다. 1분기 수치가 연간 성장률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을 고려하면 올해 1%대 초반 성장률도 장담하기 어렵다. 한은은 이달 기준금리를 동결했지만 다음 달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란 전망에 무게가 실린다.

17일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통화정책 방향 회의를 열어 기준금리를 연 2.75%로 유지하기로 했다. 물가나 경기 상황만 보면 금리를 낮추는 게 맞지만 한은은 ‘일단 멈춤’을 선택했다. 최근 달러당 원화가치가 큰 폭으로 오르내리는 등 변동성이 커졌고,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 해제·지정 여파에 따른 가계대출 흐름도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번 결정은 이창용 한은 총재를 제외한 금통위원 6명 중 5명이 찬성했다. 신성환 금통위원은 0.25%포인트 인하해 경기 둔화에 적절히 대응해야 한다는 소수의견을 냈다.

한은은 5월 수정 경제전망 발표를 앞두고 이례적으로 중간평가 성격의 경제 진단을 내놨다. 한은은 이날 경제상황 평가 보고서에서 “1분기 성장률(전기 대비)은 2월 전망치인 0.2%를 밑돈 것으로 추정되며, 소폭의 마이너스 성장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그 근거로는 12·3 비상계엄 이후 국내 정치 불확실성이 예상보다 장기화했고, 미 관세정책에 대한 우려로 경제 심리 회복이 지연됐다는 점을 들었다. 여기에 3월 대형 산불, 일부 건설 현장의 공사 중단, 고성능 반도체(HBM) 수요 이연 등 일시적 요인도 경기 하방 위험을 키웠다.



이창용 “미 관세로 어두운 터널”올 성장률 1.2% 그칠수도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7일 열린 통화정책 방향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한은은 이날 기준금리(연 2.75%)를 동결했다. [뉴스1]
1분기 일시적 침체 후 2분기에 반등할 가능성도 현재로선 크지 않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한은은 미 관세정책 등의 영향으로 상품수지가 축소되고, 상품교역 감소로 운송수지 흑자가 줄면서 올해 경상수지 흑자 규모도 2월 전망치인 750억 달러를 하회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이날 금통위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2월 전망은 너무 낙관적이었다”면서 “1분기 성장 부진을 고려하면 올해 성장률도 지난 2월 전망치인 1.5%를 하회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한은 관계자는 “1분기 성장률이 -0.1%고, 올해 내내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할 경우 연간 성장률 전망치도 0.3%포인트 하향 조정한 1.2%에 그칠 수 있다”면서도 “관세정책의 영향 등 불확실성이 매우 커서 예단하기는 어렵다”고 부연했다.

주요 전망 기관도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줄줄이 낮추고 있다. 이 총재는 “다음 주 국제통화기금(IMF)이 발표할 한국 성장률 전망치도 상당 폭 낮아질 것”이라고 했다.

김주원 기자
이처럼 경기 하강 신호가 뚜렷한데도 한은이 금리를 동결한 건 여전히 경기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큰 데다 환율 변동성도 심화하는 추세라서다. 이 총재는 “미 관세정책 변화 이후 한국 경제가 어두운 터널로 확 들어온 느낌”이라며 “(금리 인하) 스피드를 조정하면서 밝아질 때까지 기다리는 게 좋지 않겠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다음 주부터 미국과의 관세 협상이 본격화하는 만큼 이를 지켜본 후 대응하겠다는 판단이 깔려 있다.

물가 재상승 우려에 미국의 금리 인하가 더 늦어질 수 있다는 점도 금리 인하에 걸림돌이다.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은 16일(현지시간) “관세는 인플레이션의 증가를 유발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물가 안정을 위한 금리 동결에 더 무게를 둘 수밖에 없다는 의미다. 한·미 기준금리 격차는 현재 최대 1.75%포인트로, 더 벌어질 경우 외국인 자금 유출이 가속화할 우려가 있다.

다만 5월에는 한은이 하향 조정한 성장률 전망치를 내놓으면서 금리를 인하할 수밖에 없을 거란 관측이 우세하다. 금통위원 6명 모두 향후 3개월 내 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뒀다. 김진일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지금처럼 경기가 안 좋은 상황에선 금리 인하 시그널을 주는 것만으로 시장을 안정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며 “환율 변동성이 완화한다면 1400원대의 다소 높은 수준이 유지되더라도 감내하면서 금리 인하로 경기에 대응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715 공군 KA-1, 훈련 중 연료탱크·기관총 떨어트려…"피해 없어" 랭크뉴스 2025.04.18
45714 이재명·김경수 “중도보수 아울러야”…김동연 “진보가치 지켜야” 랭크뉴스 2025.04.18
45713 [속보] 공군 "야간훈련 항공기 연료탱크 등 탈락 사고... 민간 피해는 없어" 랭크뉴스 2025.04.18
45712 훈련 중 공군 경공격기서 연료탱크 등 떨어져… “민간 피해 없어“ 랭크뉴스 2025.04.18
45711 아시아나 ‘연차 불허’ 잇따라…“워킹맘은 퇴사 고려” [제보K] 랭크뉴스 2025.04.18
45710 훈련중 공군 항공기서 연료탱크 등 떨어져…"피해 없어" 랭크뉴스 2025.04.18
45709 김해공항 착륙 포기한 중국 여객기, 김포로 회항…남풍 때문? 왜 랭크뉴스 2025.04.18
45708 ‘감세’ 우클릭에… 李 “지출 조정하면 돼” 金 “국민 기만” 랭크뉴스 2025.04.18
45707 [2보] 훈련중 공군 항공기서 연료탱크 등 떨어져…"피해 없어" 랭크뉴스 2025.04.18
45706 이재명·김동연 "내란 일으키면 사면 금지"... 김경수 "평시 계엄 삭제" 랭크뉴스 2025.04.18
45705 내일 전국 흐리고 비… 낮 최고기온 27도 랭크뉴스 2025.04.18
45704 이재명, ‘칼은 죄가 없다’ 두고 “검찰 폐지 대책 안 된다···운영 주체 잘 뽑자는 뜻” 랭크뉴스 2025.04.18
45703 이재명 “당선되면 일단 용산 대통령실 쓰겠다… 이후 청와대 보수” 랭크뉴스 2025.04.18
45702 대선 경선 첫 토론회…“내란 세력 단죄” “계엄 요건 강화” 랭크뉴스 2025.04.18
45701 경찰, 이상민 전 행안부 장관 소환…‘내란 혐의’ 조사 랭크뉴스 2025.04.18
45700 "내란은 사면금지""공감""공감"…김 빠진 민주당 첫 경선 토론 랭크뉴스 2025.04.18
45699 [속보] 훈련중 공군 항공기서 연료탱크 등 떨어져…"피해 없어" 랭크뉴스 2025.04.18
45698 이재명 “경제는 보수당이란 신화 깨야” 김동연 “진보 가치 변함 없어”···당 정체성 논쟁 랭크뉴스 2025.04.18
45697 국힘 주자 지지율 정체… 커지는 ‘尹 결별’ 목소리 랭크뉴스 2025.04.18
45696 하늘 날던 드론들 '우수수' 떨어졌다…"1회 발사 비용 189원" 신무기 '천적'될까 랭크뉴스 2025.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