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서울 집합상가 공실률 9.08%
인구 감소 직면한 지방, 빈 상가 문제 심각
경북 공실률은 26.54% 달해
고물가 장기화로 자영업자 폐업 증가
온라인 쇼핑 확대·상가 과잉 공급 영향

서울 종각역 인근 상가 건물에 임대문의 현수막이 붙어있다. /뉴스1

전국적으로 상가 공실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대학가, 시청 등 번화가로 꼽히던 지역마저 공실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전국 10곳의 상가 중 1곳은 비어있는 상황이다.

고물가 여파로 소비가 침체되면서 자영업자의 폐업이 증가하자 상가 공실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온라인에서 비대면으로 이뤄지는 소비가 늘어난 점도 상가 임차 수요가 줄어든 이유다.

18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전국 중대형상가 공실률은 13.03%로 집계됐다. 집합상가와 소규모 상가의 공실률은 각각 10.09%, 6.74%를 기록했다. 평균적으로 전국 상가 10곳 중 1곳이 임차인을 찾지 못한 공실인 상태인 것이다.

서울 도심도 ‘공실’ 심각…지방 상가는 인구 감소 ‘직격탄’
인구가 1000만에 가까운 서울도 상가 공실 문제는 심각하다. 집합상가 기준 서울의 공실률은 지난해 4분기 9.08%에 달한다. 그중에서도 용산역의 공실률이 가장 높다. 용산역에 위치한 상가의 공실률은 37.61%에 달한다. 이어 청량리의 공실률이 27.59%​로 높았고, 영등포도 23.90%의 공실률을 기록했다.

강남도 상가 공실 문제를 피해갈 수 없었다. 논현역 소재 집합상가의 공실률은 16.76%를 기록했다. 청담동의 소규모 상가 공실률은 14.44%였다.

그래픽=정서희

경기권은 서울에 비해 상황이 나았다. 경기의 공실률은 5.42%를 기록했다. 그러나 경기도에 위치한 신도시는 사정이 달랐다. 남양주 다산신도시의 공실률은 13.58%를 기록했다. 김포 한강신도시인 구래 지역의 공실률은 11.36%였으며, 배곧신도시도 7.38%의 상가가 공실 상태였다.

인구 감소를 직면하고 있는 지방은 수도권보다 공실 문제가 더욱 심각한 상황이다. 전국에서 공실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경북으로, 이곳의 공실률은 26.54%였다. 상가 3곳 중 1곳이 비어 있는 꼴이었다.

경북에 이어 ▲전남 23.97% ▲울산 20.65% ▲강원 17.01% ▲제주 16.35% ▲전북 15.93% ▲충북 15.16% ▲세종 14.52% 등의 순으로 공실률이 높았다. 전국 공실률보다 낮은 지역은 ▲대전 9.18%▲부산 8.48% ▲인천 8.01% ▲광주 7.53%였다.

비수도권 지역에서는 과거 번화가로 꼽히던 대학가나 시청, 터미널 인근의 상가가 많이 비어 있는 상황이다. 중대형상가를 기준으로 광주 전남대 앞 상가 공실률은 37.7%에 달한다. 부산대 앞 소규모 상가도 23.37%가 비어 있다. 충남 당진시청 인근 상가의 경우 공실률이 14.61%이며, 경남 마산역버스터미널의 공실률은 28.01%다.

특히 지방 혁신도시의 경우 공실 문제가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았다. 경북김천혁신도시와 광주전남혁신도시의 공실률은 각각 42.13%, 42.08%를 기록했다. 충북혁신도시와 전북혁신도시 역시 각각 29.24%, 25.87%의 공실률을 보였다.

온라인 쇼핑 확대·상가 과잉공급 영향…건물주도 ‘골치’
상가가 비어 있는 것은 코로나19 이후 온라인 쇼핑이 확대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또, 경기 불황으로 인해 자영업자의 폐업이 증가하면서 상가 공실도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숙박·음식업이 비중이 높은 상권은 공실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부동산원의 ‘상가 공실요인 및 정책방안’을 통해 “공실이 많은 상권일수록 음식업의 구성비율이 높고, 교육서비스 및 보건·복지업의 구성비율이 낮은 경향을 확인했다”며 “숙박·음식업의 높은 비율은 공실 증가의 현상 또는 결과일 수 있다”고 했다.

특히 신도시의 경우 상가 공급 과잉과 용도 규제가 상가 공실의 원인으로 꼽힌다. 신도시의 상업용지는 지구단위 계획에 의해 결정돼 평균 10개 내외의 용도만 허용된다. 건물 층별 규제도 존재한다. 일부 신도시의 상가의 경우 음식점의 용도로만 상가를 쓸 수 있어 공실률이 높은 상황이다.

그래픽=정서희

이 같은 상가 공실률 증가는 결국 상가 주인들의 임대 수익률을 떨어뜨리고 있다. 상가 임대가격지수는 작년 4분기 중대형 상가의 경우 99.8포인트, 소규모 상가와 집합상가는 99.7포인트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중대형 상가 0.16%, 소규모 상가 0.50%, 집합 상가 0.44% 하락한 수치다. 임대수익을 나타내는 소득 수익률 역시 중대형 상가 0.81%, 소규모 상가 0.74%, 집합 상가 0.99%에 ​그쳤다.

수도권에 상가를 소유하고 있는 A씨(68세)는 “온라인으로 상권이 다 옮겨가면서 임대료로 노후 생활하기도 만만치 않다”며 “지금 건물에 1층에 있는 임차인이 대기업이어서 안정적일 거라고 생각했는데 대기업도 오프라인 판매가 어려우니 임대료라도 더 싼 곳으로 가겠다고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임차인 구하기가 어려워 한동안 공실이 될 것 같은데 건물 대출 이자를 오롯이 감당해야 해 걱정이 된다”고 덧붙였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629 원래대로 돌아간 의대 정원…황금돼지띠 입시 “예측 불가” 랭크뉴스 2025.04.18
45628 국힘 8룡 “내가 이재명 대항마” 랭크뉴스 2025.04.18
45627 파면후 일주일간 수돗물 228t 쓴 尹관저…대통령실 "통상적 수준" 랭크뉴스 2025.04.18
45626 순대 6개에 2만5000원 '그 축제', 이번엔 식중독까지… 80명 신고 랭크뉴스 2025.04.18
45625 민주, 국민참여경선 여론조사 방식 ‘잡음’… “투표 교란 가능성”vs. “李만 유리” 랭크뉴스 2025.04.18
45624 잠실대교 밑 ‘폭발물 의심 물체’ 소동… 확인 결과 “오인 신고” 랭크뉴스 2025.04.18
45623 "부자들은 결혼할 때 '이것'까지 본다고?"…고려사항 봤더니 '깜짝' 랭크뉴스 2025.04.18
45622 국회에 온 2명의 EBS 사장?…“누가 사장이냐” 묻자 “접니다” [포토] 랭크뉴스 2025.04.18
45621 "1000원으로 한끼 해결할 수 있다고요?"…고물가 시대 이용자 크게 늘어난 '이곳' 랭크뉴스 2025.04.18
45620 [정치콕] 빅텐트?‥"아직 국힘 텐트도 못 쳐" "바람도 못 막는 천 쪼가리" 랭크뉴스 2025.04.18
45619 "독도는 일본 땅" 망언을 5면 스크린으로 감상?‥황당한 '역사 왜곡 전시관' [World Now] 랭크뉴스 2025.04.18
45618 강남 덮친 '유괴 공포'…"음료 사줄까" 초등생 접근男, 경찰에 한 말 랭크뉴스 2025.04.18
45617 '尹 신당' 꿈틀대자…국힘 내부서 "이대론 대선 필패" 성토 랭크뉴스 2025.04.18
45616 개헌·AI·중산층… 국민의힘 후보 8인 ‘정책 경쟁’ 본격화 랭크뉴스 2025.04.18
45615 "얼굴 말고 마음 봐요"...데이팅 앱, 틴더 지고 '대면 중심' 앱 뜬다 랭크뉴스 2025.04.18
45614 10년 전 이경규 양심냉장고 주인공도 ‘어른 김장하’ 장학생이었다 랭크뉴스 2025.04.18
45613 "어머니가 저 안에"…맨몸에 불길 속 뛰어든 경찰관이 95세 노인 구해 랭크뉴스 2025.04.18
45612 “주사 대신 알약”…일라이릴리 ‘먹는 비만약’ 최종 임상 성공 랭크뉴스 2025.04.18
45611 챗GPT로 ‘사람 된 강아지’… 반려인들 열광하는 트렌드 랭크뉴스 2025.04.18
45610 김두관, 대선 불출마 선언‥"민주당 승리에 힘 보탤 것" 랭크뉴스 2025.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