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의학교육 정상화돼야 증원도 효과…의대생 빠른 속도 복귀할 것"
"원칙대로 학칙 적용, 유연화 없다"…"과반만 돌아와도 트리플링 걱정 없어"


질문에 답하는 이주호 부총리
(서울=연합뉴스) 최재구 기자 =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17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 조정 방향 관련 브리핑에서 기자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5.4.17 [email protected]


(서울=연합뉴스) 서혜림 기자 =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17일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증원 이전 규모인 3천58명으로 확정하겠다고 밝히면서 "의학 교육이 정상화돼야 의대 증원 효과도 발휘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부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 조정 방향' 브리핑에서 "정원만 늘리고 교육이 1년 동안 멈춰있으면 증원 효과는 아무것도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아울러 "모집인원 3천58명 동결을 발표하면 (학교에) 돌아온 학생에게는 신뢰를 주고, 망설이는 학생에게는 돌아올 수 있는 용기를 줄 것"이라며 정부의 결단 배경을 설명했다.

다음은 이 부총리 등 교육부 관계자,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 회장단 공동회장인 양오봉 전북대 총장·이해우 동아대 총장,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의대협회) 이종태 이사장, 이진우 대한의학회장과의 일문일답.

-- 2천명 증원할 때는 과학적 근거가 있다고 하지 않았나.

▲ (이 부총리) 2027학년도부터도 과학적 추계에 따라 정해질 것이다. 2026학년도는 정원이 아닌 모집인원이다. 정부는 2천명 증원은 유지한 것이고, 모집인원을 변경한 것이다.

-- 의대생들은 필수의료 패키지 백지화도 요구하는데.

▲ 정책은 전문가나 선배 의사에게 맡기고 학생들은 일단 돌아와야 한다. 정책에 대한 구체적 사안은 전문가나 선배 의사에게 맡겨야 한다.

-- 의대 모집인원 변동으로 혼란을 겪은 수험생과 학부모에게 한 마디 해달라.

▲ 안타깝게 생각한다. 불확실성이 커지면 학부모와 학생들이 피해를 본다. 신속하게 모집인원을 결정한 것도 그러한 부분을 굉장히 중요하게 고려했기 때문이다.

-- 의대생의 수업 참여율을 어떻게 높일 것인가.

▲ (이종태 의대협회 이사장) 오늘 모집인원의 불확실성이 제거됨에 따라 많은 학생이 더 빠른 속도로 복귀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 학장과 교수들도 최선을 다해 학생들을 설득하겠다.

--'트리플링'(내년 1학년에 24∼26학번이 겹치는 현상) 대책은.

▲ (이해우 동아대 총장) 피해를 가장 많이 볼 학생은 24·25학번이 될 것이다. 빨리 학교로 복귀해야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 (양오봉 전북대 총장) 상담 결과 4월 안으로는 학생들 50% 이상은 돌아올 것이라는 공감대가 각 대학 총장, 학장, 교수 사이에 형성돼 있다. 과반만 돌아와도 트리플링 걱정은 없다.

-- 유급된 학생들이 형평성 문제를 제기한다면.

▲ 학칙은 원칙대로 적용해야 한다. 더는 유연하게 대처하지 않는다.

-- 학교별로 복귀율 차이가 나는 이유는.

▲ 정원이 많은 대학의 복귀율이 높은 편이다.

-- 2천명 증원을 가정하고 시설 투자를 했을 텐데 학교가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것 아닌가.

▲ (이 총장) 사립대는 선투자했다. 2027학년도부터는 정원을 추계위가 결정할 것이고 3천58명보다는 증원될 것으로 생각하기에 투자는 계획대로 실행할 것이다.

▲ (양 총장) 국립대도 선투자하고 있다. 정원은 추계위에서 결정되겠지만, 의대 교육 선진화를 위해 선제적 투자를 하는 것도 의미가 있다.

-- 대학 입학전형 시행계획은 언제쯤 완료되나.

▲ (최은희 교육부 인재정책실장) 각 대학이 모집인원을 시행계획에 반영하는 것을 4월에 마무리하고,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승인을 받아 5월 말에 공표할 것이다.

-- 24·25학번이 돌아온다면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

▲ (이 이사장) 이들은 의사 국가시험과 전공의 수련 문제가 맞물려 있어서 졸업 이후에도 문제가 생긴다. 이에 의사 국가시험도 24학번을 위해 한 번 더 응시 기회를 주고 수련 기회도 같이 줄 수 있다. 예과 2년 과정을 1.5년으로 줄이는 건 계절학기를 이용해 보강해서 다른 졸업생들과 같은 수준의 교육을 받게 할 것이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209 한화에어로 유상증자 또 퇴짜… 금감원 “설명 불충분” 랭크뉴스 2025.04.17
45208 국회, 민주당 주도 ‘반도체특별법’ 등 3개 법안 신속처리안건 지정 랭크뉴스 2025.04.17
45207 한동훈만 안 만나는 오세훈···왜? 랭크뉴스 2025.04.17
45206 "'충암의 아들' 尹, 학교 역사에 남을 것"... 충암고 총동문회 게시글 논란 랭크뉴스 2025.04.17
45205 “李, AI기본사회는 모르는 소리… 혁신은 시장에 맡겨야” 랭크뉴스 2025.04.17
45204 이재명, 충청 경선 앞두고 “국회 세종의사당·대통령 세종 집무실 건립” 랭크뉴스 2025.04.17
45203 질문하는 기자 ‘폭행’한 권성동…언론단체, 사과·사퇴 촉구 랭크뉴스 2025.04.17
45202 “가려워서 한숨도 못 잤다”… 삼육대 남자 기숙사, ‘옴’ 환자에 발칵 랭크뉴스 2025.04.17
45201 국토부, “‘신안산선 붕괴사고’ 건설사고조사위 활동 시작” 랭크뉴스 2025.04.17
45200 이재명 "세종에 국회·대통령 집무실"‥행정수도 대선 쟁점 급부상 랭크뉴스 2025.04.17
45199 윤석열·김건희, 관저서 7일간 물 228t 썼다…“수도요금 미납” 랭크뉴스 2025.04.17
45198 현대차 임원들 뉴욕 집결… 관세전쟁 속 美 시장 정면 돌파 모색 랭크뉴스 2025.04.17
45197 문형배 "비상계엄은 관용·자제 넘었다‥통합 위해 선고에 시간 걸려" 랭크뉴스 2025.04.17
45196 李캠프 "'도봉역 벤츠사건' 허위정보 유포자 고발…엄벌해야" 랭크뉴스 2025.04.17
45195 국회, 반도체특별법·은행법·가맹사업법 패스트트랙 지정 랭크뉴스 2025.04.17
45194 홍준표, 명태균 의혹 질문에 "이재명에 형수 욕설부터 물어보라" 랭크뉴스 2025.04.17
45193 문형배 “비상계엄은 관용과 자제 넘은 것, 통합 담으려 시간 걸려” 랭크뉴스 2025.04.17
45192 韓 대망론 커질까 꺼질까, 국힘 경선 통과자 나오면 보인다 랭크뉴스 2025.04.17
45191 문형배 "尹 탄핵 선고, 모순은 없다" 퇴임 전날 직접 입 열었다 랭크뉴스 2025.04.17
45190 윤석열, 파면 후 일주일간 수돗물 228톤 썼다... "평균치의 75배" 랭크뉴스 202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