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학년도 의과대학 정원을 증원 이전 수준인 3058명으로 동결된 가운데 중증질환 환자단체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정부의 의료개혁을 믿고 고통을 감내해왔던 환자들은 “대국민 사기극”이라며 정부의 책임 있는 해명을 요구했다.
17일 한국췌장암환우회, 한국루게릭연맹회, 한국폐암환우회, 한국뇌전증환우회 등이 속한 한국중증질환연합회는 성명을 내고 “교육부의 의대 정원 원점 회귀 발표는 국민을 상대로 한 희대의 사기극”이라고 규탄했다.
연합회는 “우리는 정부의 의료개혁을 믿고 참고 견디며 기다려왔지만 그 고통이 물거품이 됐다”며 “이 사태로 이미 생명을 잃은 이들의 희생만 강요한 정부는 응당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교육부는 지금까지 환자와 국민을 기만해왔다는 것을 스스로 증명했다”며 “이번 결정으로 중증질환 환자들은 더 이상 정부의 의료 정책에 대해 신뢰할 수 없게 됐다. 이는 단순한 정책 실패를 넘어, 생명을 두고 벌인 정치적 기만”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연합회는 이번 사태에 책임이 있는 관계자의 즉각 사퇴와 정원 축소 철회를 촉구했다.
연합회는 “정권이 바뀌자마자 개혁의 방향이 바뀌고, 환자의 생명이 정쟁의 도구로 전락한 현실에 분노한다”며 “정부는 더 이상 국민을 속이지 말고 정직하게 사과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부의 의료개혁을 믿고 고통을 감내해왔던 환자들은 “대국민 사기극”이라며 정부의 책임 있는 해명을 요구했다.
17일 한국췌장암환우회, 한국루게릭연맹회, 한국폐암환우회, 한국뇌전증환우회 등이 속한 한국중증질환연합회는 성명을 내고 “교육부의 의대 정원 원점 회귀 발표는 국민을 상대로 한 희대의 사기극”이라고 규탄했다.
연합회는 “우리는 정부의 의료개혁을 믿고 참고 견디며 기다려왔지만 그 고통이 물거품이 됐다”며 “이 사태로 이미 생명을 잃은 이들의 희생만 강요한 정부는 응당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교육부는 지금까지 환자와 국민을 기만해왔다는 것을 스스로 증명했다”며 “이번 결정으로 중증질환 환자들은 더 이상 정부의 의료 정책에 대해 신뢰할 수 없게 됐다. 이는 단순한 정책 실패를 넘어, 생명을 두고 벌인 정치적 기만”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연합회는 이번 사태에 책임이 있는 관계자의 즉각 사퇴와 정원 축소 철회를 촉구했다.
연합회는 “정권이 바뀌자마자 개혁의 방향이 바뀌고, 환자의 생명이 정쟁의 도구로 전락한 현실에 분노한다”며 “정부는 더 이상 국민을 속이지 말고 정직하게 사과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