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중기 이어 중견기업 자금난 확산
올해 중견·중소기업의 신용위기 우려가 커지고 있다. 기업의 자금조달 창구인 채권과 은행권의 대출 ‘문턱’이 동시에 높아지면서 자금난을 겪는 기업이 급증해서다. 내수 부진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트럼프발 관세 폭탄까지 겹친 후폭풍이다.

상대적으로 신용등급이 낮은 기업들은 ‘미매각’ 우려에 회사채 발행을 미룬다. 대내외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자금이 신용등급 AA급 이상인 우량 채권으로만 쏠리기 때문이다. 지난 15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신용등급 ‘AA-’인 CJ대한통운은 이날 2500억원 규모의 회사채 수요 예측에서 5배가 넘는 1조3700억원의 매수 주문을 받았다. ‘큰손’인 주요 연기금 참여로 흥행했다. 이와 달리 ‘A-’ 등급의 하림지주는 이달 초 수요 예측에서 목표액을 일부 채우지 못했다.

회사채의 금리 격차(신용 스프레드)에서도 온도 차가 드러난다. AA- 등급과 A+ 등급 간 신용 스프레드는 연초 0.373%포인트에서 이달 15일 0.418%포인트로 더 벌어졌다. 신용평가 업계 관계자는 “위험 회피 심리로 우량물에만 수요가 몰려 AA급은 가격이 올랐는데(채권 금리는 하락), 비우량물 가격은 떨어지고 있다”며 “A급 이하 시장에선 냉기가 흐른다”고 말했다. 윤여삼 메리츠증권 연구위원은 “최근 A급 이하인 기업들은 흥행 실패 우려에 채권 발행 일정을 연기하고 있다”며 “미매각 꼬리표가 생기면 기업의 신용도에 영향을 준다”고 덧붙였다.

상당수 중견기업이 이른바 ‘돈맥경화’에 시달리는 것은 단기 자금조달 시장이 ‘홈플러스 사태’의 직격탄을 맞은 영향이 크다. 만기가 1년 미만인 기업어음(CP)과 전자단기사채(이하 전단채) 등 단기 채권 가운데 A3 등급 이하 채권 발행이 막히고 있다. 홈플러스가 기업회생(법정관리)을 신청하기 직전 CP 신용등급이 A3였다. A3 등급은 회사채 기준으로 BBB급으로, 5~6% 이상 고수익을 기대하는 일반 법인과 개인투자자가 투자해 왔다.

서울 강남의 한 증권사 PB센터에선 홈플러스가 지난달 초 기업회생 절차에 들어서자 5% 후반대로 꾸준히 발행했던 일부 전단채 판매를 중단했다.



‘홈플러스 사태’ 이후 전단채 판매 중단“신용등급 조금만 낮아도 투자심리 위축”
해당 증권사의 PB센터장은 “요즘 고액 자산가들은 아무리 금리가 높아도 신용등급이 낮은 채권 투자를 꺼려 판매를 보류했다”고 말했다. 익명을 요구한 또 다른 증권사 관계자는 “일부 증권사가 A3 등급 이하 단기채를 개인에게 과도하게 판매했다는 논란에 금융당국이 시장 상황을 살펴보는 것도 (채권 발행에) 부담이 된다”며 “실제 단기 채권을 개인에게 판매했던 중소형 증권사는 줄줄이 비우량 채권의 판매 가이드라인을 강화하는 등 발행 문턱을 높였다”고 전했다.

김경진 기자
문제는 은행 대출 문도 좁아지면서 ‘빚내기’(기업 대출)도 쉽지 않다는 점이다. 지난달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기업대출 잔액은 한 달 사이 2조4937억원(0.3%) 감소했다. 지난해 12월을 제외하면 코로나19 충격이 닥쳤던 2020년 6월(-8840억원) 이후 처음이다. 기업 대출 둔화세는 이어진다. 지난 14일 기준 은행의 기업 대출은 보름여간 5104억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특히 이달 대기업 대출은 8362억원 늘었지만 중소기업 대출이 3258억원 감소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환율 등 글로벌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건전성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며 “신용등급이 낮은 기업에 대한 대출은 위험가중자산을 높이는 요인이다 보니 대출을 꺼리게 된다. 담보도 까다롭게 설정해 신용이 안 좋거나 담보가 명확하지 않은 회사는 대출 문턱이 확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김경진 기자
또 다른 자금조달 수단인 기업공개(IPO) 시장에도 찬 바람이 분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부터 이달 15일까지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를 청구한 기업은 8곳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 25곳(스팩 포함)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3분의 1 수준으로 급감했다.

기업의 부실 징후도 수면 위로 떠올랐다. 연초 이후 유동성 부족으로 법정관리 절차를 밟는 기업이 늘고 있다. 유통 업계에선 홈플러스에 이어 온라인 명품 플랫폼 발란과 골프웨어 브랜드 JDX를 운영하는 신한코리아가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부동산 침체가 길어지면서 시공 능력 순위 300위 이내 종합건설사의 법정관리 신청 개수는 연초 이후 11곳으로 증가했다. 줄도산에 대한 공포가 커지는 이유다. 이윤수 서강대 경제학과 교수는 “트럼프발 관세전쟁 등으로 국내 경기 침체가 심해지면 자금난으로 어려움을 겪는 기업이 크게 늘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정부가 일시적으로 자금 경색에 빠진 기업에 대해 적극적으로 지원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홈플러스 사태와 최근 미국 관세 충격의 후폭풍으로 시장에서 신용도가 조금만 낮아도 투자 심리가 위축된다. 회사채 시장의 양극화가 극심해졌다”며 “단기적으론 정부가 나서서 불안을 잠재우기 위해 정책금융 확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정부가 대출을 늘리는 방식으로 기업을 지원하는 데는 한계에 다다랐다”며 “업종별로 지원이 필요한 곳을 명확히 구분하고, 국책은행이 적극적으로 투자에 나설 필요가 있다. 이번 추가경정예산안(추경)에도 관련 재원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670 검찰, ‘곽노현 비판’ 한동훈 무혐의 불기소 처분 랭크뉴스 2025.04.18
45669 주차타워 2층 뚫고 돌진했다…난건 걸친 SUV '깜짝' 무슨일 랭크뉴스 2025.04.18
45668 임영웅 "건물 좀 빌립시다"…엄마팬 화장실 못가자 생긴 일 랭크뉴스 2025.04.18
45667 8인 8색 국민의힘 비전대회‥"이재명 꺾을 적임자는 나" 랭크뉴스 2025.04.18
45666 “포퓰리즘 반대” 여론에...일본, 전 국민 현금 지급 취소 랭크뉴스 2025.04.18
45665 스벅 벤치마킹한 93년생 CEO, 3조원 '돈방석' 앉았다 랭크뉴스 2025.04.18
45664 "요리할 때 매일 넣는데, 암 유발한다고?"…'이것' 사용, 전문가 경고 나왔다 랭크뉴스 2025.04.18
45663 가수 이하늘, 명예훼손 혐의로 검찰 송치 랭크뉴스 2025.04.18
45662 "무료급식 33년…노숙인 사라져 문닫는 게 꿈이죠” 랭크뉴스 2025.04.18
45661 이재명 "해수부 부산 이전" 김동연도 영남권 공략‥오늘 첫 TV 토론 랭크뉴스 2025.04.18
45660 '윤석열 신당' 예고했다 돌연 보류‥"도움 안 돼" "역풍 불 것" 랭크뉴스 2025.04.18
45659 이상민 전 장관, 경향신문 등 언론사 ‘단전·단수’ 혐의 경찰 출석 조사 랭크뉴스 2025.04.18
45658 2층 주차장 밖으로 돌진한 SUV…운전자 구조 랭크뉴스 2025.04.18
45657 [속보] 경찰, 이상민 전 장관 소환… 단전·단수 의혹 조사 랭크뉴스 2025.04.18
45656 나경원 “대통령에 국회 해산권을···탄핵 시 직무정지도 바꿔야” 극우에 ‘러브콜’ 랭크뉴스 2025.04.18
45655 "내가 이재명 대항마"… '기승전 이재명 때리기'로 끝난 국힘 비전 대회 랭크뉴스 2025.04.18
45654 대행 체제 사상 첫 추경, 경기·통상 대응엔 부족한 규모 랭크뉴스 2025.04.18
45653 경찰, 이상민 전 장관 피의자 소환…단전·단수 의혹 조사 랭크뉴스 2025.04.18
45652 [단독] 새벽, 의문의 무리들‥선관위에 '붉은 천' 묻었다. VICtORY? 랭크뉴스 2025.04.18
45651 "할머니 빨리 나와요" 어르신 업고 질주…'산불의인' 상 받았다 랭크뉴스 2025.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