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지난달 발생한 경북 산불은 시속 8km가 넘는 속도로 빠르게 번지면서 인명 피해가 컸습니다.
하지만, 주민들이 선제적으로 대피해 인명 피해를 막은 지역도 있습니다.
정부가 바로 이런 신속 대피를 핵심으로 한 산불 대피 체계 개선책을 내놨습니다.
먼저 김세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달 22일 경북 의성에서 시작된 산불.
사흘 뒤 순간 풍속 초속 27미터의 강풍이 불면서, 이웃 청송을 지나 영덕군까지 빠르게 번졌습니다.
화마가 덮치면서 영덕군에서만 10명이 숨졌습니다.
하지만, 영덕군 지품면은 산불이 가장 먼저 번졌는데도 상황이 달랐습니다.
이곳 지품면은 주택과 창고 수백 채가 불에 탔지만 인명 피해는 한 명도 없었습니다.
산불이 심상치 않다고 본 주민들이 신속하게 대피했기 때문입니다.
[김상덕/경북 영덕군 지품면장 : "진보(면) 불을 확인하고 불과 30분 뒤에 황장재에 불이 붙었을 때 저희는 긴박하게 움직였죠. 노인 분들이 움직임이 늦다 보니까 빨리 안 하면은 진짜 큰일이 생길 수도…"]
영덕군이 긴급재난문자를 보내기도 전인 오후 4시 반부터 대피가 시작됐습니다.
군청에도 대피를 도와달라고 먼저 요청했습니다.
[황성순/경북 영덕군 지품면 주민 : "5시 반 6시 가까이 됐지. 전기 다 나가버리고 군(청)에서 버스를 대놓고 우리를 손목을 끌고 나갔지. (나오니까) 불이 뺑 둘러싸고 있어."]
천8백여 명의 주민이 전부 몸을 피하는 데는 3시간가량 걸렸습니다.
그 사이 산불은 지품면을 덮쳤고, 위성 사진에서도 저녁 7시에서 8시 사이 지품면 대부분이 불길에 휩싸인 게 확인됩니다.
조금만 늦었어도 대규모 인명 피해로 이어질 수 있던 아찔한 상황이었습니다.
앞서 보신 것처럼 산불이 급속도로 번질 땐 빠른 대피가 인명 피해를 줄이는 핵심입니다.
정부도 이에 맞춰 대피 체계를 개선하기로 했습니다.
우선, 대피 구역부터 늘립니다.
현행 마을 단위의 '구역' 대피에서, 앞으로는 '지역' 대피, '권역' 대피까지 내리기로 했습니다.
대피 기준도 강화합니다.
정부는 산불 피해가 컸던 이유 중 하나로 예측 실패, 그러니까 불이 얼마나 번질지 몰랐던 걸 꼽았습니다.
기상 악화로 드론이나 헬기를 못 띄워 화선 측정이 곤란했기 때문인데, 앞으로는 화선 정보가 없는 경우 경북 산불의 확산 속도인 시간당 8.2km를 기준으로 대피령을 내리기로 했습니다.
산불이 5시간 안에 닥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 즉, 확산 방향으로 41km 떨어진 곳까지 '위험구역'으로 설정해 주민들을 즉시 대피시킨다는 겁니다.
새 기준을 경북 산불에 대입해보면, 발화지인 의성부터 청송군 서쪽 지역 대부분이 즉시 대피해야 하는 위험구역이 됩니다.
정부는 산불이 8시간 안에 번질 것으로 예상되는 곳은 '잠재적 위험구역'으로 설정해, 대피 준비와 함께 이동 속도가 늦은 노약자는 미리 대피시키기로 했습니다.
화선 정보가 있는 경우에도 평균 풍속이 아닌 최대 순간 풍속을 기준으로 산불 확산 거리를 계산하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대피 지역이 광범위하더라도 인명 피해를 줄이는 데 중점을 두고 대피령을 내릴 거라고 강조했습니다.
KBS 뉴스 김세현입니다.
촬영기자:서원철/영상편집:이현모/그래픽:김지훈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