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NYT 비판…"일관되지 않은 외교 메시지로 국제사회 혼란 빠뜨려"
"관세부과하며 동맹에까지 타격…美, 홀로 中과 맞서야 할 수도"


2019년 G20 회의를 계기로 양자 회담한 트럼프(왼쪽)와 시진핑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멕시코시티=연합뉴스) 이재림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대(對)중국 외교 전략의 일관성 상실로 경제 분야를 넘어선 다양한 이슈에서 해법을 찾기 어려워질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미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15일(현지시간) '트럼프의 딜레마, 중국과의 모든 협상을 위협하는 무역 전쟁' 제하 기사에서 중국과의 대화 가능성을 가로막는 관세 정책의 파괴력을 비판했다.

신문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월 취임 당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세계 양대 초강대국을 분열시키는 다양한 이슈에 대해 협상할 의지를 가진 것처럼 보였으나, '적어도 1년 동안은 그런 일은 일어나기 어렵다'고 짚었다.

"중국과의 무역 전쟁에서 승리하는 데 모든 것을 걸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결정이 마약 펜타닐과 대만 문제 등 다른 이슈에 대한 논의를 방해하며 협상 당사자를 테이블에서 떠나게 하고 있다는 것이다.

트럼프 행정부 각료들은 대만 주변에서 커지는 군사적 긴장도를 낮추고 펜타닐 유입을 억제하며 '틱톡' 문제에 대해 원만한 합의를 하고 싶다는 신호를 중국 측에 발신한 바 있다고 NYT는 전했다.

2017년 베이징에서 만난 시진핑과 트럼프
[AP 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그러나 지금까지는 외교 정책 면에서 일관되지 못한 것으로 보이는 메시지 발신으로 국제 사회를 혼란스럽게 하고 있다.

실제 미국의 일부 고위급 관리는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 관세는 시진핑 주석을 협상에 끌어내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또 다른 관리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정학적 경쟁국과의 쌍방향 무역 관계에서 벗어나 자급자족하는 생태계를 만들려고 한다"고 밝혀 일관되지 못한 전략을 노출하기도 했다.

NYT는 전방위 관세 부과 과정에서 미국 정부가 최근 몇 년간 중국의 힘에 대응하기 위해 공동의 접근 방식을 취했던 동맹국까지 소외시켰다면서, 향후 중국과 협상이 시작되더라도 미국은 홀로 중국을 마주해야 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과거에도 미중 양국 간 대립의 이해관계는 있었다는 게 외교가의 시각이다.

그러나 양국을 경기 침체의 벼랑 끝으로 몰고 갈 수 있을 정도의 지금 같은 상황까지는 아니었다고 NYT는 곁들였다.

긴장이 악화할 경우 대만, 남중국해, 필리핀 연안에서의 힘겨루기로 확산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중국 국제박람회장에 전시된 미국 업체 제품
[광저우 AP=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궁극적으로는 양국 정상 또는 최고위급 대화 채널을 열 필요가 있다고 이 신문은 지적했다.

'중국통'으로 알려져 있는 미국 외교협회의 러시 도시는 NYT에 "중국에 대한 트럼프 정부의 큰 그림(grand strategy)은 없으며, 파편화한 전술만 보일 뿐"이라면서도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 일본, 인도, 대만, 유럽연합(EU)과 함께 중국의 무역 관행에 맞서고 안보 관계를 강화할 수 있는 협정을 맺을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을 열어두고는 있다"고 말했다.

지난 1월 주중미국대사직을 떠난 니콜라스 번스는 "1979년 완전한 외교 관계 재개 이후 미·중 관계에서 가장 심각한 위기로 보인다"면서 "이제 과제는 양국 경제의 디커플링(분리·탈동조화)을 피하기 위해 최고 수준의 커뮤니케이션을 복원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NYT는 전직 대통령들과 달리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경제에 깊이 얽혀 있는 나라와의 관계를 망칠 수 있는 대규모의 경제적 대결을 감행했다면서 '불행하게 유지하는 결혼 생활과 갑작스러운 이혼'이라는 선택지 중 하나를 골라야 할 수도 있다고 현재의 난맥을 표현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899 [단독] 인구 비슷한 TK와 호남, 경선 반영은 3배 차이... 국민의힘 여론조사 왜곡? 랭크뉴스 2025.04.17
44898 처자식 죽이고도 집유? 살인피해자의 31%인데 가중처벌 없다 랭크뉴스 2025.04.17
44897 홈플러스·발란·JDX 다음은 누구…기업들 돈줄이 말라붙었다 [돈줄 가뭄] 랭크뉴스 2025.04.17
44896 [이슈 In] '11年 담배소송' 항소심 내달 마지막 변론…누구 손 들어줄까 랭크뉴스 2025.04.17
44895 수업 도중 “싱싱할 때 애 낳아라”…서울시교육청, 성희롱 교사 징계 요구 랭크뉴스 2025.04.17
44894 [오늘의 운세] 4월 17일 목요일 랭크뉴스 2025.04.17
44893 이준석 "계엄 옹호세력과 빅텐트? 이재명 막는데 비효율" [대선주자 릴레이 인터뷰②] 랭크뉴스 2025.04.17
44892 '돈세탁 실형' 페루 前대통령 부인 망명…도피 논란 랭크뉴스 2025.04.17
44891 트럼프, 일본과 관세·방위비 패키지딜 시사…내주 한국에도 꺼내나 랭크뉴스 2025.04.17
44890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 오늘 발표…증원 前 '3천58명' 유력 랭크뉴스 2025.04.17
44889 [사설] 헌법재판관 지명 효력 정지… 한 대행, 국정 안정에 힘쓰길 랭크뉴스 2025.04.17
44888 커져가는 싱크홀 불안에 …서울시, 지하 조사 장비 추가로 들인다 랭크뉴스 2025.04.17
44887 일격 맞은 '한덕수 차출론'... 단일화 외쳤던 김문수 '머쓱' 랭크뉴스 2025.04.17
44886 광주의 우려 “이재명 밀어야제…근디 무조건 파랑은 아니랑께”[진보심장 르포] 랭크뉴스 2025.04.17
44885 美관세대응 보폭 늘리는 현대차…무뇨스 "중장기 사업전략 재검토" 랭크뉴스 2025.04.17
44884 파월 "관세로 물가↑·성장↓…연준 양대 목표 달성 힘들 수도"(종합2보) 랭크뉴스 2025.04.17
44883 지갑 닫은 소비자… 콧대 꺾인 다이슨 랭크뉴스 2025.04.17
44882 "소변 잘 안 나오면 '이 병' 의심해 보세요"…방광에 소변 가득 차 있던 여성의 사연 랭크뉴스 2025.04.17
44881 푸틴, 머스크 극찬 "소련 우주 선구자 코롤료프 같아" 랭크뉴스 2025.04.17
44880 관세전쟁 속 '진짜 금값' 된 금값…국제 현물가격 사상 최고치 랭크뉴스 202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