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에서 대형산불이 발생한 지난달 24일 의성군 의성종합운동장에서 진화헬기들이 이륙을 준비하고 있다. 문재원 기자
지난달 발생한 경북지역 대형산불에 투입됐던 진화헬기 수가 울진·삼척산불(2022년) 당시 동원된 헬기 수보다도 적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경북 산불은 결국 울진·삼척산불의 3배 수준에 달하는 산림·인명 등 피해를 냈다.
15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송옥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산림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지난달 22∼28일 경북 산불 현장에 누적 투입된 진화헬기는 모두 665대다. 이는 2022년 울진·삼척 산불(3월4∼13일) 의 누적 헬기 투입대수(683대)보다 적다.
경북 산불의 피해규모는 울진·삼척 산불보다 3배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의성에서 시작된 산불이 안동·청송·영양·영덕 등 인근 4개 시군으로 퍼지면서 산불영향구역만 4만5157㏊에 이르렀다. 울진·삼척 산불 피해면적은 1만6302㏊였다. 울진·삼척 산불은 인명피해가 발생하지 않았지만 경북 산불은 사망자만 27명이다.
산불 피해규모에 비해 투입된 진화인력도 상대적으로 많지 않았다. 지난달 경북지역 산불 현장에 투입된 진화인력은 모두 1만5672명으로, 울진·삼척 산불(1만2863명)의 1.2배 수준이었다. 진화차량은 경북 산불이 4384대로, 울진·삼척 산불(2854대)보다 1.5배 정도 많았다.
진화 장비·인력 동원이 부족했다는 지적에 대해 산림당국은 올해 동시다발적으로 대형산불이 발생한 점을 이유로 들고 있다. 임상섭 산림청장은 지난 10일 국회 농해수위 전체회의에 출석해 “올해 경북 북부 산불의 경우 경남 산청·하동, 김해, 울산 울주 등의 동시다발적 산불로 인해 인력과 장비를 집중해서 투입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송 의원은 “2022년 울진·삼척 산불 당시에도 강원 강릉·동해·영월에서 산불이 발생했었기 때문에 동시다발적인 산불로 인력과 장비를 집중하지 못했다는 것은 설득력이 떨어진다”며 “헬기 활용도가 떨어지고, 조종사 운영과 충원에도 문제가 노출되는 등 산불 대응 역량이 위축되고 있는 것 아닌지 우려된다”고 말했다.
송 의원은 “올해 헬기 도입과 운영 예산 삭감 시에도 농림축산식품부와 산림청은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못했다”면서 “동시다발 대형산불에 대비한 인력과 장비 확충에 적극 나설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산림청이 보유한 진화헬기는 모두 50대지만, 러시아산 헬기 등 10대는 부품 조달과 정비 문제로 지난달 대형산불 현장에 출동하지 못했다. 이런 상황에서 올해는 산림청 헬기 도입·운영 예산(938억5800만원)도 지난해(1123억4400만원)보다 19.7% 삭감됐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12조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안 편성 방침을 설명하면서 “중·대형급 산림헬기 6대와 인공지능(AI) 감시카메라 30대, 드론 45대, 다목적 산불진화차 48대 등을 추가 도입해 산불 대응 역량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