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국힘 유승민, 무소속 출마 결심
민주 김부겸, 김두관도 경선 거부
이재명 독주 저지 반명 빅텐트 거론
범보수 단일화, 제3지대 연대설 등
국민의힘 유승민 전 의원이 11일 대구 북구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에서 열린 청년 토크쇼에서 '청년은 어떤 미래를 원하는가'를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연합뉴스


6·3 대선을 50일 앞두고
이재명 독주에 맞설 '반명(반이재명) 빅텐트론'이 급부상
하고 있다.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의
'무늬만 경선'에 반발한 대선주자들이 경선 보이콧 이후 뛰쳐나와
제3지대에서 새로운 정치 활로를 도모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이들 주자들 사이에서도 윤석열 전 대통령 불법 계엄과 탄핵에 대한 온도 차가 커 시너지를 한데 모으는 데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는 평가도 적지 않다.

국민의힘과 민주당은 14일 경선 룰과 일정을 확정하며 대선 레이스의 닻을 올렸지만, 출발부터 김이 샜다. 당장 국민의힘에선 오세훈 서울시장과 유승민 전 의원이 이른바 한덕수 차출론 등에 반발해 경선 대열에서 이탈했고, 민주당에서도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에게 유리하게 짜인 경선 룰에 항의하며 김두관 전 의원이 경선 거부를 선언했다. 사실상 '추대 경선'에 들러리 서지 않겠다는 것이다. 앞서 김부겸 전 국무총리도 오픈프라이머리 요구가 좌절되자 경선 출마를 포기했었다.

이처럼 양당 공히 경선 무용론이 불거지면서 정치권에선 '반명 빅텐트' 가능성을 점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양당 경선 판에서 이탈한 이들이 합종연횡을 이뤄 대선 도전의 재기를 노려볼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 국민의힘 경선을 보이콧한 유승민 전 의원은 본보 취재 결과, 무소속 출마 결심을 굳힌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보수 진영에서는 유 전 의원과 차출론이 불거진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 등이 연대하는 구상이 나온다. 진보 진영에서는 경선 거부를 선언한 김두관 전 의원, 김부겸 전 총리와 지난 총선 때부터 반명 선봉에 선 이낙연 전 국무총리 등의 제3지대 합류 가능성이 거론된다.

'반명 빅텐트 깃발'의 갈래는 크게 두 가지
다. 먼저
범보수 후보 간 단일화 시나리오와
국민의힘과 민주 진영의 중도 주자들이 연대한 제3지대 후보 띄우기
다. 가장 활발히 논의되는 것은 범보수 후보들의 단일화 연대다.
국민의힘 대선 후보를 일단 뽑되, 그 바깥에서 무소속으로 뛴 범보수
주자 간의 재대결로 이재명과 맞설 진짜 상대를 가려보자는 것
이다.

국민의힘 반탄(탄핵반대) 주자들로만으로는 지지율에 한계가 있으니
경선 이후 범보수 주자들
의 '원샷 단일화'로 막판 세몰이에 나서야 한다는 전략
이다.
2002년 노무현-정몽준 단일화
모델
을 벤치마킹한 것으로 이른바
한덕수 옹립론도 이 같은 구상의 일환이다. 최근 여론조사에서
이준석 후보의 지지율이 두 자릿수로 높게 나오는 것도 범보수 단일화의 흥행 기대를 높이는 대목
이다. 최근 한국갤럽 차기 주자 삼자대결 조사에서 이 전 대표는 45%, 김문수 전 장관은 29%, 이 후보는 14%의 지지를 받으며
'캐스팅보터'로서의 존재감
을 드러냈다.

익명을 요구한 국민의힘 의원은 "
2002년 당시 노무현 새천년민주당 후보와 정몽준 국민통합
21 후보가 단일화를 통해 당시 대세론이었던 이회창 한나라당 후보를 꺾지 않았느냐
"며 "이 전
대표만은 안 된다는 여론이 있는 만큼 단일화가 이뤄지면 보수에게도 승산이 있을 것"이라고 했다.

'보수 빅텐트' 군불 때기엔 국민의힘 경선 주자들도 호응하는 모습
이다. 이날 출마 선언에 나선 홍준표 전 대구시장은 "우리 당 경선에서 승리하신 분이 보수와 중도를 아우르는 빅텐트를 만들어야지 이재명 정권을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나경원 의원도 "반명계와도 이야기를 상상하고, 준비해야 한다"며 가능성을 열어뒀다. 다만 이들이 국민의힘 후보로 확정되고 나서도, 실제 범보수 단일화에 나설지는 의문이다.

국민의힘도, 민주당도 아닌 제3지대에서 보수와 민주 진영이 합세해 후보를 내는 방안도
거론
된다.
유 전 의원이 김 전 총리나 김 전 의원 등과 연대할 가능성
이다. 실제
유 전 의원 측과 김 전
총리 측은 제3지대 구축을 두고 서로 러브콜을 보내며 최근까지 물밑 조율이 오간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양측 공히 '아직은 무르익지 않았다'는 입장이라 실현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중도 스펙트럼을 넘어 범보수 주자들과 민주 진영 주자들이 한데 '반명 연대'로 묶일 가능성은 더욱 희박하다. 민주당 관계자는 "이낙연 전 총리 정도만 저쪽으로 넘어가지 않겠느냐"고 일축했다.

정치권에선
'반명 연대' 파괴력 자체에 대해 회의적 시선도
적지 않다. 한 국민의힘 의원은 "범보수 후보들 사이에서도 윤 전 대통령 탄핵과 계엄 입장에 대한 교통 정리가 이뤄진 후 뭉쳐야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비전과 정책의 공통분모 없이, 단순히 1등 후보 저지를 목적으로
'묻지마 단일화'에 나서는 것을 두고는 정치 문화를 후퇴시킨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609 [속보] 권성동 "韓대행, 경선 출마 안해…출마설 언급, 도움 안돼" 랭크뉴스 2025.04.15
48608 [단독] 제주서 이륙하려던 항공기서 승객이 비상구 열어 회항 랭크뉴스 2025.04.15
48607 “10년 경력 단절이 연기의 힘”… 마약 두목 된 ‘폭싹’ 제니 엄마 랭크뉴스 2025.04.15
48606 트럼프 자동차 관세 일시 유예 시사… "미국서 만들려면 시간 필요" 랭크뉴스 2025.04.15
48605 권성동 “한덕수, 국민의힘 대선 경선 출마 안 한다…출마설 언급 그만” 랭크뉴스 2025.04.15
48604 권성동 “韓대행, 경선 출마 안해" 랭크뉴스 2025.04.15
48603 최상목 "당초 발표보다 2조 늘어난 12조 원 필수추경안 마련" 랭크뉴스 2025.04.15
48602 권성동 "韓대행, 경선 출마 않는다…출마설 언급, 도움 안 돼" 랭크뉴스 2025.04.15
48601 “치킨 55만 원·믹스 만두”…‘바가지’에 외국인도 화났다 [잇슈 키워드] 랭크뉴스 2025.04.15
48600 최상목 “추경 12조 원대…산불·통상·소상공인 집중” 랭크뉴스 2025.04.15
48599 "얼마나 급하다고‥" 톨게이트서 추월 랭크뉴스 2025.04.15
48598 한날 한 손님 태운 부부 택시기사의 직감…보이스피싱범 잡았다 랭크뉴스 2025.04.15
48597 정부 추경안 10조→12조대 증액…최상목 "초당적 처리해달라"(종합) 랭크뉴스 2025.04.15
48596 한화금융 ‘김동원 사업’ 난기류…승계 기반 다지다 부진 키웠나 랭크뉴스 2025.04.15
48595 "이완규 지명, 윤석열 입김 강하게 의심" [모닝콜] 랭크뉴스 2025.04.15
48594 '경선' 발 뺀 한덕수‥'반탄' 일색 국민의힘 랭크뉴스 2025.04.15
48593 트럼프, 자동차 부품 관세 유예 시사…“회사들 시간 필요” 랭크뉴스 2025.04.15
48592 유승민 14→3%…'역선택 방지룰' 적용하니 지지율 요동쳤다 랭크뉴스 2025.04.15
48591 트럼프 또 오락가락…"안 봐준다"더니 하루 만에 "車업계 돕겠다" 랭크뉴스 2025.04.15
48590 국민의힘 해산은 왜 논의하지 않는가 [왜냐면] 랭크뉴스 2025.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