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전자제품 후퇴’ 논란 다시 뒤집어
품목·상호·표적 중구난방 정책에
계속되는 트럼프 변덕 경제 혼란
플로리다에서 주말을 보내고 13일(현지시간) 전용기 편으로 워싱턴DC 인근 앤드루스 합동기지에 도착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14일 베트남 하노이 노이바이 국제공항에 도착해 손을 흔드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트럼프 대통령은 기내에서 취재진에게 반도체 관세율을 다음 주 중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시 주석은 미국의 관세 폭탄에 맞서 공동 대응을 모색하기 위해 베트남을 국빈방문했다. AP, 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스마트폰 등 전자제품을 둘러싼 ‘관세 후퇴’ 논란을 직접 뒤집으며 관세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을 다시 키웠다. 품목·상호·표적 등 얽히고설킨 미국의 관세 정책과 이를 번복하는 트럼프 행정부의 변덕이 전 세계 경제를 혼란에 빠뜨린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13일(현지시간) 자신의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 “(반도체·스마트폰 등 전자제품은) 관세 예외가 아니다. 이들 제품에는 기존의 펜타닐 관세 20%가 적용되고 단지 다른 관세 범주로 옮기는 것”이라고 밝혔다. 대신 트럼프 대통령은 이들 제품에도 추후 철강·자동차 등과 마찬가지로 별도의 품목별 관세를 매기겠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가짜뉴스’는 이 같은 사실을 알고도 보도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이는 11일 미국 세관국경보호국(CBP)이 스마트폰 등 일부 전자제품에 대중국 상호·보복 관세 125%를 적용하지 않기로 한 결정에 대한 해명이었다. 현지 언론은 대부분 이를 미국 내 소비자물가 상승을 우려한 ‘일보 후퇴’로 해석했는데, 트럼프 대통령은 언론들이 사실을 왜곡했다고 비판한 것이다.

하지만 이 같은 혼선은 트럼프 행정부의 책임이 크다. 트럼프 행정부는 현재 품목별 관세, 국가별 상호관세, 일부 국가를 향한 표적 관세와 보복 관세를 복잡하게 뒤섞고 있다. 여기에 관세 정책 유예도 반복되면서 혼란을 부추겼다.


우선 미국은 철강·자동차 등 일부 품목에 대해 25%의 품목별 관세율을 적용 중이다. 상호관세 적용 대상에서 제외된 의약품·구리·반도체 등 품목도 조만간 품목별 관세율을 확정해 적용할 전망이다.

여타 품목은 국가별 상호관세 적용을 받는다. 지난 5일 발효된 상호관세에는 멕시코·캐나다를 제외한 모든 국가에 기본 관세율 10%를 매긴다는 내용이 담겼다. 추가로 ‘문제 교역국’에는 최대 49%(캄보디아)에 이르는 별도 관세율을 적용한다고 예고했다. 이는 9일 발효를 앞두고 90일간 부과가 유예됐다.

일부 국가를 겨냥한 ‘표적 관세’도 혼란을 더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2월과 3월 두 차례에 걸쳐 중국의 펜타닐 대응 미흡을 질타하고 10%씩 20%의 관세율을 부과했다. 아울러 중국에 대한 국가별 관세율도 중국의 ‘맞불 관세’에 대응해 34%에서 125%까지 치솟았다. 캐나다·멕시코에 대한 25%의 표적 관세도 취임 직후 발표됐다가 두 번의 유예를 거쳐 지난 2일 발효됐다.

관세 정책에 대한 시장의 우려도 커지고 있다. 토비아스 마이어 DHL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기업들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표 및 철회 반복에 피로감을 느끼는 상태”라고 말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899 [단독] 인구 비슷한 TK와 호남, 경선 반영은 3배 차이... 국민의힘 여론조사 왜곡? 랭크뉴스 2025.04.17
44898 처자식 죽이고도 집유? 살인피해자의 31%인데 가중처벌 없다 랭크뉴스 2025.04.17
44897 홈플러스·발란·JDX 다음은 누구…기업들 돈줄이 말라붙었다 [돈줄 가뭄] 랭크뉴스 2025.04.17
44896 [이슈 In] '11年 담배소송' 항소심 내달 마지막 변론…누구 손 들어줄까 랭크뉴스 2025.04.17
44895 수업 도중 “싱싱할 때 애 낳아라”…서울시교육청, 성희롱 교사 징계 요구 랭크뉴스 2025.04.17
44894 [오늘의 운세] 4월 17일 목요일 랭크뉴스 2025.04.17
44893 이준석 "계엄 옹호세력과 빅텐트? 이재명 막는데 비효율" [대선주자 릴레이 인터뷰②] 랭크뉴스 2025.04.17
44892 '돈세탁 실형' 페루 前대통령 부인 망명…도피 논란 랭크뉴스 2025.04.17
44891 트럼프, 일본과 관세·방위비 패키지딜 시사…내주 한국에도 꺼내나 랭크뉴스 2025.04.17
44890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 오늘 발표…증원 前 '3천58명' 유력 랭크뉴스 2025.04.17
44889 [사설] 헌법재판관 지명 효력 정지… 한 대행, 국정 안정에 힘쓰길 랭크뉴스 2025.04.17
44888 커져가는 싱크홀 불안에 …서울시, 지하 조사 장비 추가로 들인다 랭크뉴스 2025.04.17
44887 일격 맞은 '한덕수 차출론'... 단일화 외쳤던 김문수 '머쓱' 랭크뉴스 2025.04.17
44886 광주의 우려 “이재명 밀어야제…근디 무조건 파랑은 아니랑께”[진보심장 르포] 랭크뉴스 2025.04.17
44885 美관세대응 보폭 늘리는 현대차…무뇨스 "중장기 사업전략 재검토" 랭크뉴스 2025.04.17
44884 파월 "관세로 물가↑·성장↓…연준 양대 목표 달성 힘들 수도"(종합2보) 랭크뉴스 2025.04.17
44883 지갑 닫은 소비자… 콧대 꺾인 다이슨 랭크뉴스 2025.04.17
44882 "소변 잘 안 나오면 '이 병' 의심해 보세요"…방광에 소변 가득 차 있던 여성의 사연 랭크뉴스 2025.04.17
44881 푸틴, 머스크 극찬 "소련 우주 선구자 코롤료프 같아" 랭크뉴스 2025.04.17
44880 관세전쟁 속 '진짜 금값' 된 금값…국제 현물가격 사상 최고치 랭크뉴스 202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