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전자제품 후퇴’ 논란 다시 뒤집어
품목·상호·표적 중구난방 정책에
계속되는 트럼프 변덕 경제 혼란
플로리다에서 주말을 보내고 13일(현지시간) 전용기 편으로 워싱턴DC 인근 앤드루스 합동기지에 도착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14일 베트남 하노이 노이바이 국제공항에 도착해 손을 흔드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트럼프 대통령은 기내에서 취재진에게 반도체 관세율을 다음 주 중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시 주석은 미국의 관세 폭탄에 맞서 공동 대응을 모색하기 위해 베트남을 국빈방문했다. AP, 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스마트폰 등 전자제품을 둘러싼 ‘관세 후퇴’ 논란을 직접 뒤집으며 관세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을 다시 키웠다. 품목·상호·표적 등 얽히고설킨 미국의 관세 정책과 이를 번복하는 트럼프 행정부의 변덕이 전 세계 경제를 혼란에 빠뜨린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13일(현지시간) 자신의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 “(반도체·스마트폰 등 전자제품은) 관세 예외가 아니다. 이들 제품에는 기존의 펜타닐 관세 20%가 적용되고 단지 다른 관세 범주로 옮기는 것”이라고 밝혔다. 대신 트럼프 대통령은 이들 제품에도 추후 철강·자동차 등과 마찬가지로 별도의 품목별 관세를 매기겠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가짜뉴스’는 이 같은 사실을 알고도 보도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이는 11일 미국 세관국경보호국(CBP)이 스마트폰 등 일부 전자제품에 대중국 상호·보복 관세 125%를 적용하지 않기로 한 결정에 대한 해명이었다. 현지 언론은 대부분 이를 미국 내 소비자물가 상승을 우려한 ‘일보 후퇴’로 해석했는데, 트럼프 대통령은 언론들이 사실을 왜곡했다고 비판한 것이다.

하지만 이 같은 혼선은 트럼프 행정부의 책임이 크다. 트럼프 행정부는 현재 품목별 관세, 국가별 상호관세, 일부 국가를 향한 표적 관세와 보복 관세를 복잡하게 뒤섞고 있다. 여기에 관세 정책 유예도 반복되면서 혼란을 부추겼다.


우선 미국은 철강·자동차 등 일부 품목에 대해 25%의 품목별 관세율을 적용 중이다. 상호관세 적용 대상에서 제외된 의약품·구리·반도체 등 품목도 조만간 품목별 관세율을 확정해 적용할 전망이다.

여타 품목은 국가별 상호관세 적용을 받는다. 지난 5일 발효된 상호관세에는 멕시코·캐나다를 제외한 모든 국가에 기본 관세율 10%를 매긴다는 내용이 담겼다. 추가로 ‘문제 교역국’에는 최대 49%(캄보디아)에 이르는 별도 관세율을 적용한다고 예고했다. 이는 9일 발효를 앞두고 90일간 부과가 유예됐다.

일부 국가를 겨냥한 ‘표적 관세’도 혼란을 더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2월과 3월 두 차례에 걸쳐 중국의 펜타닐 대응 미흡을 질타하고 10%씩 20%의 관세율을 부과했다. 아울러 중국에 대한 국가별 관세율도 중국의 ‘맞불 관세’에 대응해 34%에서 125%까지 치솟았다. 캐나다·멕시코에 대한 25%의 표적 관세도 취임 직후 발표됐다가 두 번의 유예를 거쳐 지난 2일 발효됐다.

관세 정책에 대한 시장의 우려도 커지고 있다. 토비아스 마이어 DHL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기업들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표 및 철회 반복에 피로감을 느끼는 상태”라고 말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528 [이희옥 칼럼] 美, 중국의 수를 잘못 읽었다 랭크뉴스 2025.04.15
48527 이재명 “조국혁신당은 동지…통 큰 단합으로 정권교체 이룰 것” 랭크뉴스 2025.04.15
48526 李, 유시민·도올과 '차기정부 과제' 대담…영상으로 공개 랭크뉴스 2025.04.15
48525 트럼프 "美서 만들려면 시간 필요"…車부품 관세 추가 면제 시사(종합) 랭크뉴스 2025.04.15
48524 트럼프, 자칭 '쿨한 독재자' 엘살바도르 대통령에 "환상적" 랭크뉴스 2025.04.15
48523 트럼프 "우크라戰, 푸틴·바이든·젤렌스키 책임…곧 좋은 제안" 랭크뉴스 2025.04.15
48522 경기도 법카 유용 혐의 김혜경, 2심도 벌금 300만원 구형 랭크뉴스 2025.04.15
48521 "내 반려견 지켰을 뿐인데"…퓨마 죽인 남성, 이웃들이 경찰에 신고한 이유 랭크뉴스 2025.04.15
48520 ‘한국 IT 대부’ 이용태 전 삼보컴퓨터 회장 별세 랭크뉴스 2025.04.15
48519 이재명 “한국형 챗GPT 무료 보급”…AI 기본사회론 꺼냈다 랭크뉴스 2025.04.15
48518 윤 “평화적 대국민 메시지 계엄” 93분 항변 랭크뉴스 2025.04.15
48517 엔비디아 "美서 4년간 700조원 규모 AI 인프라 생산 계획" 랭크뉴스 2025.04.15
48516 "애인 있는데 왜 결혼 안 해?" 묻자…男 "돈 없어서", 女 "조건이 별로" 랭크뉴스 2025.04.15
48515 ‘3000원 영양제 대란’ 다이소, 이번엔 르까프·스케쳐스 ‘이것’ 출시 랭크뉴스 2025.04.15
48514 남 “결혼비용 부담돼서”… 여 “기대 맞는 상대 없어” 랭크뉴스 2025.04.15
48513 트럼프 “자동차 업체 돕기 위해 검토 중”… 관세 추가 면제 시사 랭크뉴스 2025.04.15
48512 "쥐가 고양이만 해요"…쓰레기 1만7000t에 파묻힌 英도시, 뭔일 랭크뉴스 2025.04.15
48511 ‘투자의 정석’… 또 그가 옳았다 랭크뉴스 2025.04.15
48510 “물로만 머리 감기“ 허리띠 졸라 매는 프랑스인들…세제 없이 세탁도 랭크뉴스 2025.04.15
48509 백악관, 중국의 희토류 통제에 "모든 대응 옵션 검토 중" 랭크뉴스 2025.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