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윤석열, 자연인 신분으로 첫 재판 출석
수사·탄핵심판으로 뚜렷해진 내란 혐의
궤변으로 부인하며 재판에 불만 표출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지난 11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관저에서 나와 서초동 집으로 향하고 있다.공동취재사진

14일 자연인 신분으로 처음 형사 재판에 출석한 윤석열 전 대통령은 79분의 모두진술과 재판 관련 의견진술 14분 등 모두 93분 동안 자유롭고 거침없이 자신의 의견을 나타냈다. 검찰 수사와 헌법재판소의 판단을 깡그리 부정했고 재판 진행과 관련된 불만도 감추지 않았다.

수사와 탄핵심판으로 내란 사건의 윤곽이 뚜렷해졌지만 윤 전 대통령은 안간힘을 쓰며 이를 부정했다. 윤 전 대통령은 “탄핵심판 과정에서도 수사기관(에서 한 관계자) 진술이 많이 탄핵당하고 실체가 밝혀졌다”며 “초기 ‘내란 몰이’ 과정에서 겁을 먹은 사람들이 수사기관의 유도에 따라서 진술한 게 검증 없이 (공소사실에) 반영이 많이 됐다”고 했다. 또 지난해 3월부터 윤 전 대통령이 비상대권을 언급했다는 군 사령관들의 진술이 확보됐지만 윤 전 대통령은 “계엄 사전 모의라고 해서 2024년부터 봄부터 그림을 그려왔단 자체가 정말 코미디 같은 얘기”라고 강변했다. “빨리 국회 문을 부수고 들어가 인원들을 끄집어내라”고 지시했다는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의 증언에 대해서도 윤 전 대통령은 “‘인원’은 군인들이 쓰는 말이고, 대통령이 어떻게 인원을 빼내라는 말을 하겠느냐”며 “민주당 의원들에 의해 왜곡·조작된 것이 (곽 전 사령관의) 입에 배어서 법정에서도 그대로 나와서 많은 사람들의 웃음을 사기도 했다”고 주장했다.

윤 전 대통령은 비상계엄 당일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에게 정치인 체포 지시가 아니라 격려 차원으로 전화했다는 주장을 형사재판에서도 반복했다. 그는 “늘 국정원에 이야기하는 방첩사를 도와주라는 차원의 이야기를 한 것이고, 누구를 체포하라고 이야기했단 것은 전부 새빨간 거짓말”이라며 “제가 누구를 체포 지시한 것처럼 일을 만든 것이고 이 거짓말은 헌재에서 자세하게 드러난 바 있다”고도 했다. “계엄 선포 직후의 급박한 상황에서 단순한 격려 차원 또는 간첩 수사업무와 관련된 일반적 지시를 하고자 했다는 피청구인(윤석열)의 주장은 믿기 어렵다”는 헌재의 판단까지 부정한 셈이다.

윤 전 대통령은 비상계엄의 비선으로 꼽히는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에 대해서 “전혀 아는 바가 없다”고 했고 군을 동원한 선관위 압수수색이 영장주의 위반이라는 공소사실에 대해서는 “국가공공기관은 영장 없이 들어갈 수 있다”고 강변했다. 윤 전 대통령은 “국민 눈높이에 맞는 전시·사변이 아니면 계엄선포가 전부 내란이란 말이냐”고 되물으며 “(공소장은) 그냥 조서들을 모자이크식으로 붙인 것”이라고 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25부 재판장인 지귀연 부장판사는 윤 전 대통령의 발언이 길어지자 “검찰 쪽에서 발언에 사용한 시간만큼 드릴 수 있으니 (시간 조절을) 염두에 둬달라”고 했으나 윤 전 대통령은 발언권을 얻어 발언을 이어갔다. 이날 재판에 조성현 수방사 제1경비단장과 김형기 특전사 특전대대장 등 자신에게 불리한 진술이 예상되는 영관급 군인들이 증인으로 나오자 윤 전 대통령은 “헌재에서 이미 다 심문한 사람을 (검찰이) 자기들에게 유리하다고 해서 오늘 굳이 나오게 한 것은 증인신청 순서에 있어서 다분히 정치적인 의도가 있지 않나”라며 불만을 드러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469 “10년 내 세상 바꿀 양자컴퓨팅 리더 찾아라” 미 DARPA, 옥석 가리기 프로젝트 랭크뉴스 2025.04.15
48468 쿠르스크 주민들 "우린 지옥에 살았다"...조국 러시아 원망 랭크뉴스 2025.04.15
48467 블루 오리진, 여성만 탑승한 우주선 발사…1963년 이후 처음 랭크뉴스 2025.04.15
48466 누적 부채 21조에 'KTX 교체' 임박…적자구조 개선 논의 필요 랭크뉴스 2025.04.15
48465 비상계엄 당시 ‘상관 지시 거부’한 군 지휘관 “항명죄로 징역형 구형 박정훈 대령 떠올랐다” 랭크뉴스 2025.04.14
48464 지하 공사장 인근 땅이 꺼진다…서울·부산 계속되는 '발밑 공포' 랭크뉴스 2025.04.14
48463 오늘·바로·지금…‘새벽’으론 부족한 배달 경쟁 랭크뉴스 2025.04.14
48462 [Who] 트럼프 관세 정책 핵심… 경제 책사 ‘스티븐 미란’ 랭크뉴스 2025.04.14
48461 폐기될 샌드위치 노숙자 나눠줬다가 해고된 프랑스인 랭크뉴스 2025.04.14
48460 "2년 전 지반 불량 지적했는데‥" 위험 신호 무시했다가 피해 커졌나? 랭크뉴스 2025.04.14
48459 가짜 신분증으로 전자담배 구매…규제 빈틈 노린 학교 앞 ‘무인 판매점’ 랭크뉴스 2025.04.14
48458 中의존의 덫…삼성은 제조기지 이전했는데 탈중국 못한 애플, 왜 랭크뉴스 2025.04.14
48457 尹, 93분간 셀프 변론… “공소장 난잡” 검찰 직격 랭크뉴스 2025.04.14
48456 [단독] "한국무용은 술도 잘 마셔" 무용학과 교수님의 '술 접대'와 '갑질' 랭크뉴스 2025.04.14
48455 일본은 하루에 60명씩 ‘고독사’…대부분 남성 랭크뉴스 2025.04.14
48454 오아시스, 티몬 인수예정자 선정… “실질 인수대금 181억원 수준” 랭크뉴스 2025.04.14
48453 뇌물 155억 약속 받고 62억 챙긴 정하영 전 김포시장 기소 랭크뉴스 2025.04.14
48452 "지금 비트코인 사야할때"…역대급 경제 대공황 경고한 '부자아빠' 기요사키 랭크뉴스 2025.04.14
48451 김경수, 文 예방 “정권교체에 힘 모아달라는 당부받아” 랭크뉴스 2025.04.14
48450 배민 ‘포장 수수료 6.8%’ 첫날…“포장 안 받아” 반발도 랭크뉴스 2025.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