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스데스크]
◀ 앵커 ▶

검사 시절 수많은 사람들을 구속하고 법정에 세웠던 윤석열 전 대통령이 오늘 형사재판 피고인 신분으로 처음 법정에 출석했습니다.

무려 82분 동안 셀프변론으로 반성 없이 모든 혐의를 부인한 윤 전 대통령은, 여전히 평화적 계엄이었다는 궤변만 늘어놨는데요.

검찰은 윤 전 대통령의 행위가 국헌문란을 목적으로 폭동을 일으킨, 내란죄에 해당한다고 재확인했습니다.

조희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파면 열흘 만에 윤석열 전 대통령이 내란 우두머리 혐의 피고인 신분으로 형사재판 법정에 나왔습니다.

법원이 지하 주차장을 통한 출석은 허용하고, 재판부가 법정 내부 촬영은 불허하면서 피고인석에 앉은 윤 전 대통령 모습은 언론에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차량만 카메라에 잡혔습니다.

형사재판의 주요 쟁점은 윤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가 국헌문란을 목적으로 한 폭동이었는지 여부입니다.

검찰은 120쪽에 달하는 발표 자료를 통해 "윤 전 대통령의 행위는 형법 87조를 위반한 내란죄에 해당한다"고 재확인했습니다.

군경을 동원해 국회를 봉쇄했고, 국회의원의 계엄 해제 시도를 막으려 했고, 주요 인사와 선관위 관계자 체포·구금 시도는 물론, 영장 없이 선관위를 압수수색 하려 한 혐의 등이 총망라됐습니다.

윤 전 대통령은 발언권을 얻어 직접 반박에 나섰습니다.

검찰 공소장부터 지적했습니다.

윤 전 대통령은 "몇 시간 만에, 비폭력적으로, 국회의 해제 요구를 즉각 수용해 해제했다"는 기존 논리를 반복했습니다.

자신의 26년 검사 경력까지 언급하면서 "도대체 어떤 논리로 계엄이 내란죄가 되는지 도저히 알 수 없다"고 반발했습니다.

"조서를 모자이크식으로 붙인 수준"이라며 검찰을 깎아내렸습니다.

'2024년 봄부터 계엄을 사전 모의했다'는 검찰 공소사실에 대해서도 "코미디 같은 일"이라며 "계엄 선포는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한 것"이라는 주장을 되풀이했습니다.

계엄이 몇 시간 만에 해제됐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대국민 메시지 계엄'이라는 새로운 표현도 들고나왔습니다.

파면당한 전 대통령이 헌법재판소에서 하던 경고성, 호소형 계엄 주장을 형사재판에서도 반복한 겁니다.

지난 11일 한남동 관저를 떠나 서초동 자택으로 향할 때 "다 이기고 돌아왔다"고 했던 '개선장군' 식 행태를 법정에서도 그대로 드러낸 것으로 보입니다.

윤 전 대통령의 '셀프 변론'은 82분 동안 이어졌습니다.

MBC뉴스 조희원입니다.

영상취재: 정인학 / 영상편집: 김정은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

MBC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909 이재명 캠프 “李 타임지 100인 선정, 국가 지켜낸 국민 저력 덕분” 랭크뉴스 2025.04.17
44908 [단독] 신세계센트럴 역세권 활성화 사업 놓고 감사원에 서울시 공익감사 청구 랭크뉴스 2025.04.17
44907 음주운전·불법숙박업 혐의 문다혜씨 오늘 1심 선고 랭크뉴스 2025.04.17
44906 “한화, 삼성 다 막혔는데 여긴 왜?” 이재명 테마株 속전속결 유증심사 통과 논란 랭크뉴스 2025.04.17
44905 파월 "관세로 물가 오르고 성장 둔화…정책목표 달성 힘들 수도" 랭크뉴스 2025.04.17
44904 대전협 박단 “결국 정부가 해결해야···필수의료 동료들 돌아갈 환경 조성이 중요” 랭크뉴스 2025.04.17
44903 불출마 뒤 몸값 뛰는 오세훈… 국힘 경선 주자들 문전성시 랭크뉴스 2025.04.17
44902 국가성평등지수 65.4점…양성평등의식 약화에 첫 '후퇴' 랭크뉴스 2025.04.17
44901 윤석열 11%? 40%? 여론조사 어디까지 믿어야 할까···제대로 보는 법 총정리 랭크뉴스 2025.04.17
44900 "반수 제한" 초강수 전국 로스쿨…'두자릿수 성장' 사교육은 급팽창 랭크뉴스 2025.04.17
44899 [단독] 인구 비슷한 TK와 호남, 경선 반영은 3배 차이... 국민의힘 여론조사 왜곡? 랭크뉴스 2025.04.17
44898 처자식 죽이고도 집유? 살인피해자의 31%인데 가중처벌 없다 랭크뉴스 2025.04.17
44897 홈플러스·발란·JDX 다음은 누구…기업들 돈줄이 말라붙었다 [돈줄 가뭄] 랭크뉴스 2025.04.17
44896 [이슈 In] '11年 담배소송' 항소심 내달 마지막 변론…누구 손 들어줄까 랭크뉴스 2025.04.17
44895 수업 도중 “싱싱할 때 애 낳아라”…서울시교육청, 성희롱 교사 징계 요구 랭크뉴스 2025.04.17
44894 [오늘의 운세] 4월 17일 목요일 랭크뉴스 2025.04.17
44893 이준석 "계엄 옹호세력과 빅텐트? 이재명 막는데 비효율" [대선주자 릴레이 인터뷰②] 랭크뉴스 2025.04.17
44892 '돈세탁 실형' 페루 前대통령 부인 망명…도피 논란 랭크뉴스 2025.04.17
44891 트럼프, 일본과 관세·방위비 패키지딜 시사…내주 한국에도 꺼내나 랭크뉴스 2025.04.17
44890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 오늘 발표…증원 前 '3천58명' 유력 랭크뉴스 202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