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대통령 직속 국가인공지능위원회 재편”
국가 주도 AI 전문 인재 양성…STEM 도입
규제 완화 시사 “불합리한 규제 점검해야”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 11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집권 청사진 등을 소개하는 '비전 선포식 및 캠프 일정 발표'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4일 “인공지능(AI) 투자 100조원 시대를 열겠다”며 AI 관련 예산을 대폭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AI 관련 대통령 직속 기구인 국가인공지능위원회를 재편하고, 공공 데이터를 민간에 개방하겠다고 했다.

이 전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에 ‘AI 세계 3대 강국으로 우뚝 서겠다’는 제목의 글을 올려 “AI는 동시대 세계 경제의 판도를 바꿀 게임 체인저”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정부가 민간 투자의 마중물이 돼 AI 관련 예산을 선진국을 넘어서는 수준까지 증액하겠다”고 말했다.

이 전 대표는 “유명무실했던 대통령 직속 기구 ‘국가인공지능위원회’를 내실 있게 강화할 것”이라며 “기술자, 연구자, 투자기업과 정부의 협력을 대통령인 위원장이 직접 살피는 명실상부한 중심 기구로 재편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가 AI 데이터 집적 클러스터를 조성해 글로벌 AI 허브의 기반을 만들겠다”고 덧붙였다.

이 전 대표는 “AI 핵심 자산인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최소 5만개 이상 확보하고, AI 전용 신경망처리장치(NPU) 개발과 실증을 적극 지원해 기술 주권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기업의 연구‧개발 지원을 위한 공공 데이터도 민간에 적극 개방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 전 대표는 또 “국가가 AI 인재 양성을 책임지겠다”며 “AI의 성패는 결국 AI를 설계하고 학습시키는 사람의 역량에 달려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창의력과 문제 해결력을 바탕으로 혁신적이고 개방적인 사고를 하는 인재를 키워내겠다”고 덧붙였다.

이 전 대표는 “AI를 위한 STEM(Science·Technology·Engineering·Mathematics) 프로그램을 도입하겠다”고 했다. AI와 관련된 과학·기술·공학·수학 교육을 체계적으로 구축하겠다는 의미다. 그는 구체적으로 “지역별 거점대학에 AI 단과대학을 설립하고, 석박사급 전문 인재를 더 양성할 것”이라며 “AI 분야 우수 인재의 병역특례를 확대해 과학기술 연구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이 전 대표는 AI 규제 합리화의 필요성도 언급했다. 그는 “우리 기업이 기술을 개발하고 제대로 투자받기도 전에 불합리한 규제로 위축된 바는 없는지 면밀히 점검해야 한다”며 “기업이 불필요한 규제에 시달리지 않고 온전히 기술 개발에 몰두할 수 있도록 관련 규제를 합리화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AI 산업 생태계 조성 관련법을 정비하고 특허법, 출입국관리법 등 규제 특례가 적용될 AI 특구도 과감하게 확대해 가겠다”고 부연했다.

이 전 대표는 “국민 모두가 AI를 무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면서 “‘모두의 AI’ 프로젝트를 추진하겠다”고 했다. 그는 또 “사람의 생명을 담보로 성장하지 않아도 되는 AI를 통한 ‘안전 사회’를 실현할 수 있다”며 “AI로 금융·건강·식량·재난 리스크를 분석해 국민의 삶을 지키는 ‘AI 기본사회’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231 윤석열 “계엄은 평화적 대국민 메시지”…모든 혐의 부인하며 궤변 랭크뉴스 2025.04.14
48230 尹 “6시간 만에 해제한 비폭력 사건... 내란 아냐” 랭크뉴스 2025.04.14
48229 [속보]윤석열 “몇 시간 사건이 내란? 법리에 안 맞아”···논리 되풀이 랭크뉴스 2025.04.14
48228 [속보]윤석열 “계엄과 쿠데타는 달라…감사원장 탄핵 그냥 넘어갈 수 없었다” 주장 랭크뉴스 2025.04.14
48227 재판장 “직업은 전직 대통령이고요”… 尹 고개 ‘끄덕’ 랭크뉴스 2025.04.14
48226 국힘, 주 4.5일 근무제 도입·주52시간제 폐지 공약 추진 랭크뉴스 2025.04.14
48225 경찰 "윤석열 전 대통령 '체포 저지' 혐의 피의자 조사 필요" 랭크뉴스 2025.04.14
48224 의협 “윤 정부 의료개혁특위 해체하라”…‘대선기획본부’ 출범 랭크뉴스 2025.04.14
48223 트럼프, 스마트폰 관세 또 번복…“일부 품목 유연해야” 랭크뉴스 2025.04.14
48222 경찰 “尹,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 입건…피의자 조사 필요” 랭크뉴스 2025.04.14
48221 불소추 특권 잃은 윤석열…경찰, 체포영장 집행 방해 수사 본격화 랭크뉴스 2025.04.14
48220 “몇 시간 사건을 내란으로 구성…법리 맞지 않아”… 尹 법정 발언 랭크뉴스 2025.04.14
48219 [단독] 유승민, 대선 출마 결심 굳혀… 무소속 또는 3지대 랭크뉴스 2025.04.14
48218 대선 출마 김경수 “내란 소굴 용산 대통령실, 하루도 사용 말아야” 랭크뉴스 2025.04.14
48217 끝까지 '뒤끝'?‥트럼프, 악수 청하는 장관 부인 뿌리쳐 [World Now] 랭크뉴스 2025.04.14
48216 경찰, 박나래 자택 절도범 검거…“외부에서 침입해 범행” 랭크뉴스 2025.04.14
48215 경찰, 박나래 자택서 수천만 원 금품 쓸어간 절도범 구속 랭크뉴스 2025.04.14
48214 싱크홀은 이제 일상? 서울시민 95%가 "불안하다"[양철민의 서울 이야기] 랭크뉴스 2025.04.14
48213 김동연 "경선룰, 민주당 원칙 파괴"‥김두관은 거취 고심 랭크뉴스 2025.04.14
48212 "中마트에 '관식이' 양배추"... '폭싹' 아이유·박보검 초상권 도용 논란 랭크뉴스 2025.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