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전쟁을 내부 결속 수단으로 활용…경기 둔화 책임 외부로 돌릴 수 있어
견고한 정치기반 토대로 ‘단호한 대처’ 가능
‘불통’ 속 불만 누적된 국민 지지 이어질지는 지켜봐야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폭탄’에도 시진핑 국가주석은 아랑곳하지 않고 강경 대응 입장을 밝혔다. 앞서 중국은 대중(對中) 관세율 145%를 적용한 미국에 대해 관세율을 125%로 높이며 맞불을 놨다. 시 주석은 최근 중국 베이징을 방문한 페드로 산체스 스페인 총리와의 회담에서 “어떤 부당한 억압도 두렵지 않다”며 미국을 겨냥한 발언을 쏟아냈다.
11일(현지 시각) 뉴욕타임스(NYT)는 중국 정치에 정통한 복수의 전문가를 인용해 시진핑 주석이 그간 고수해온 강경·자주 노선을 앞으로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NYT에 따르면 시진핑 주석은 이번 관세 전쟁을 ‘서방의 적대적 압박’ 프레임으로 전환, 내부 결속을 다지는 데 활용하고 있다.
중국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10일 논평에서 “미국의 상호관세는 현대판 해적 행위”라며 “중국은 ‘공정 경쟁’이라는 명분 아래 상대를 억눌러온 조직적 압박에 맞서 싸워왔다”고 비판했다. 그런가 하면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같은날 소셜미디어 X(구 트위터)에 마오쩌둥의 연설 영상을 게시하며 “완전한 승리를 거둘 때까지 싸울 것”이라는 메시지로 항미(抗美) 정서를 자극했다.
시 주석이 이처럼 강경한 노선을 고수하는 것이 가능한 이유는 미국과 달리 1인에게 권력이 집중된 중국 정치 체제 때문이다. 시 주석은 2018년 3월 개헌을 통해 국가주석직 3연임 제한 규정을 철폐하며 장기 집권의 토대를 마련했다. 아울러 2022년 출범한 3기 지도부의 최고지도부 7명을 전원 ‘충성파’로만 구성, 강력한 정책 추진력을 확보했다.
요셉 토리지언 미국 아메리칸대 교수는 “시진핑은 중국 체제를 미국보다 우월하다고 믿으며 국가적 시련을 감내할 준비가 됐다고 생각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일각에선 이번 갈등이 오히려 시진핑 주석에게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중국 정치 전문가인 제시카 티츠 미들베리칼리지 교수는 “미국이 중국에만 관세를 부과한 이번 조치는, 시 주석에게 경기 둔화의 책임을 외부로 돌릴 수 있는 명분을 줬다”며 “막대한 군사비 지출에 대한 국내 불만도 잠재울 수 있을 것”이라 내다봤다.
하지만 중장기적으로도 시 주석의 지지도가 유지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NYT는 “중국은 현재 부동산 침체, 소비 위축, 실업률 증가 등 복합적 경기 침체에 시달리고 있으며 국민들의 불만이 누적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코로나19 발발 당시 시진핑 주석은 대규모 방역과 봉쇄 정책을 강행하며 대규모 시위를 촉발하기도 했다.
토리지언 교수는 “단호한 조치는 단기적으로 시진핑 주석의 입지를 강화할 수 있다”면서도 “(이러한 대처가) 심각한 경제적 충격으로 이어질 경우 국민들이 묵묵히 희생을 감내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라고 덧붙였다.
견고한 정치기반 토대로 ‘단호한 대처’ 가능
‘불통’ 속 불만 누적된 국민 지지 이어질지는 지켜봐야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폭탄’에도 시진핑 국가주석은 아랑곳하지 않고 강경 대응 입장을 밝혔다. 앞서 중국은 대중(對中) 관세율 145%를 적용한 미국에 대해 관세율을 125%로 높이며 맞불을 놨다. 시 주석은 최근 중국 베이징을 방문한 페드로 산체스 스페인 총리와의 회담에서 “어떤 부당한 억압도 두렵지 않다”며 미국을 겨냥한 발언을 쏟아냈다.
연합뉴스
11일(현지 시각) 뉴욕타임스(NYT)는 중국 정치에 정통한 복수의 전문가를 인용해 시진핑 주석이 그간 고수해온 강경·자주 노선을 앞으로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NYT에 따르면 시진핑 주석은 이번 관세 전쟁을 ‘서방의 적대적 압박’ 프레임으로 전환, 내부 결속을 다지는 데 활용하고 있다.
중국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10일 논평에서 “미국의 상호관세는 현대판 해적 행위”라며 “중국은 ‘공정 경쟁’이라는 명분 아래 상대를 억눌러온 조직적 압박에 맞서 싸워왔다”고 비판했다. 그런가 하면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같은날 소셜미디어 X(구 트위터)에 마오쩌둥의 연설 영상을 게시하며 “완전한 승리를 거둘 때까지 싸울 것”이라는 메시지로 항미(抗美) 정서를 자극했다.
시 주석이 이처럼 강경한 노선을 고수하는 것이 가능한 이유는 미국과 달리 1인에게 권력이 집중된 중국 정치 체제 때문이다. 시 주석은 2018년 3월 개헌을 통해 국가주석직 3연임 제한 규정을 철폐하며 장기 집권의 토대를 마련했다. 아울러 2022년 출범한 3기 지도부의 최고지도부 7명을 전원 ‘충성파’로만 구성, 강력한 정책 추진력을 확보했다.
요셉 토리지언 미국 아메리칸대 교수는 “시진핑은 중국 체제를 미국보다 우월하다고 믿으며 국가적 시련을 감내할 준비가 됐다고 생각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일각에선 이번 갈등이 오히려 시진핑 주석에게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중국 정치 전문가인 제시카 티츠 미들베리칼리지 교수는 “미국이 중국에만 관세를 부과한 이번 조치는, 시 주석에게 경기 둔화의 책임을 외부로 돌릴 수 있는 명분을 줬다”며 “막대한 군사비 지출에 대한 국내 불만도 잠재울 수 있을 것”이라 내다봤다.
하지만 중장기적으로도 시 주석의 지지도가 유지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NYT는 “중국은 현재 부동산 침체, 소비 위축, 실업률 증가 등 복합적 경기 침체에 시달리고 있으며 국민들의 불만이 누적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코로나19 발발 당시 시진핑 주석은 대규모 방역과 봉쇄 정책을 강행하며 대규모 시위를 촉발하기도 했다.
토리지언 교수는 “단호한 조치는 단기적으로 시진핑 주석의 입지를 강화할 수 있다”면서도 “(이러한 대처가) 심각한 경제적 충격으로 이어질 경우 국민들이 묵묵히 희생을 감내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