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부터),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이 지난 9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 집무실에서 행정명령 일정에 참여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상호관세 부과 품목에서 제외했던 전자제품에 대해 별도의 관세를 부과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미국 ABC 방송 인터뷰에서 스마트폰·컴퓨터 및 기타 일부 전자 제품에 별도의 관세가 부과될 것이라 말했다고 13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러트닉 장관은 스마트폰·컴퓨터 등 전자제품이 “모두 반도체 제품에 속하게 될 것”이라며 “이러한 제품들이 안심하고 사용될 수 있도록 특별하게 집중된 유형의 관세가 적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러트닉 장관은 ‘컴퓨터 노트북이나 스마트폰이 일시적으로 면제되지만, 한 달 정도 후에 다른 형태로 다시 부과될 것이라는 말인가’라는 질의에 “맞다. 반도체와 의약품은 미국 내 생산을 장려하기 위한 관세 모델이 적용될 것”이라고 답했다. 반도체가 활용되는 첨단 전자제품에는 곧 발표될 반도체 품목별 관세가 적용된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러트닉 장관은 반도체 관세는 한 달 정도 후, 의약품 관세는 한두 달 내에 발표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러트닉 장관은 “미국에 반드시 필요한 기본적인 것들, 예를 들어 의약품과 반도체를 중국에 의존해서는 안 된다. 미국 내에서 생산돼야 한다”라 말했다고 AFP통신이 보도했다.
러트닉 장관은 미국이 중국과 중간 경로를 통한 “부드러운 접근”을 해왔다고 전했다. 본격적인 협상에 앞서 양국의 비공식 접촉이 있었음을 시사하는 발언이다.
미 세관국경보호국(CBP)은 지난 11일 ‘특정 물품의 상호관세 제외 안내’라는 문서에서 스마트폰·노트북 컴퓨터 등 20개 전자제품 품목에 대한 상호관세 면제 조치를 발표했다. 전자제품 가격 폭등을 피하려는 조치라는 해석과 함께, 일각에서는 품목별 관세 부과를 위한 사전조치일 수 있다는 관측도 나왔다.
<조형국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