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13일 경기 광명시 일직동 신안산선 복선전철 붕괴 사고 현장이 추가 붕괴 우려와 기상악화로 실종자 수색 작업이 중단돼 있다. 지난 11일 이곳에선 지하터널 내부 기둥에 균열이 발생하면서 지하 공사 현장과 상부 도로 50m가량이 붕괴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준헌 기자


경기 광명시 신안산선 공사 현장에서 지하터널·상부도로 붕괴 사고가 발생하기 17시간 전 이미 붕괴 전 단계인 기둥 파손이 확인돼 보고까지 된 사실이 확인됐다. 시행사 등이 붕괴 위험을 사전에 인지한 만큼 작업자 대피 등 후속 조치가 적절했는지 등에 대한 정부 조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3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문진석 의원이 입수한 공사 시행사 포스코이앤씨 컨소시엄 넥스트레인의 최초 상황보고서를 보면, 사고 발생 하루 전인 지난 10일 오후 9시50분 ‘투아치(2arch) 터널 중앙 기둥 파손’이 확인돼 작업자들이 대피한 사실이 적혀 있다. 다음날인 11일 오후 3시13분쯤 지하터널과 상부도로가 함께 무너지는 사고가 발생하기 17시간 전 이미 터널을 떠받치는 중앙 기둥 파손이 확인된 것이다. 해당 보고서는 국가철도공단을 거쳐 국토부에 제출됐다.

경기 광명시 신안산선 지하터널 붕괴 사고가 발생하기 17시간 전인 지난 10일 오후 지하터널 중앙 기둥이 이미 파손돼 있다. 문진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실·국토교통부 제공


전문가들은 터널 중앙 기둥 파손을 붕괴 전조를 넘어선 붕괴 시작 단계로 볼 수 있는 만큼 현장 작업자 투입을 막지 않은 이유를 조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광명경찰서 등은 기둥 파손이 확인된 지 약 3시간 뒤인 11일 0시40분부터 상부도로 차선을 전면 통제했다. 그러나 지하터널과 상부도로에서는 안전 진단과 보강 공사를 위한 작업이 지속됐다. 결국 지상작업을 하던 굴착기 기사 등 2명이 지하에 매몰되는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굴착기 기사 1명은 13시간 만에 구조됐으나 다른 작업자 1명은 여전히 실종 상태다.

이송규 한국안전전문가협회장은 “터널 기둥 파손은 이미 붕괴가 시작됐다는 의미”라면서 “지하 상황을 알 수 없어 특히 위험한 상부 작업을 지속한 이유를 규명해야 한다”고 말했다.

터널을 떠받친 기둥이 파손에 이르기까지 붕괴 전조 증상을 미리 포착하지 못한 이유는 무엇인지 밝히는 조사도 필요하다. 상황보고서를 보면 터널 중앙 기둥이 파손되면서 내부 철근까지 노출된 모습이 선명하게 담겨 있다. 이 협회장은 “기둥 파손·균열이 발생하기 전 전조 증상인 지면 경사 혹은 지반 일부 침하 등이 나타났을 텐데 미리 파악하지 못한 이유가 무엇인지 의문”이라며 “설계·시공뿐 아니라 감리 단계에서의 업무 소홀이 있었는지 살펴야 한다”고 말했다.

2년 전 감사원이 지적한 사고 구간의 연약한 지반 문제가 이번 사고와 연관돼 있는지에 대한 조사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감사원은 2023년 1월 신안산선 제5공구(시흥시청~광명) 터널에서 약 19㎞ 떨어진 구간이 암반이 부스러지는 등 지반 상태가 ‘매우 불량’한 5등급인데도 터널 설계에 인버트(지반 융기를 막는 콘크리트 시설물) 설치가 반영돼 있지 않다고 지적한 바 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683 ‘강제추행 혐의’ 김명곤 전 문화부 장관, 항소심도 징역형 집행유예 랭크뉴스 2025.04.16
44682 '서부지법 난입 혐의' 다큐멘터리 감독 "촬영 목적"‥영화인들 '무죄' 탄원 랭크뉴스 2025.04.16
44681 머리에 총상 입고 결국 숨졌다…'임용 1년' 순경 총기훈련 참극 랭크뉴스 2025.04.16
44680 취업-퇴사 반복하며 실업급여 수령…20차례 걸쳐 1억?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4.16
44679 “미 국채, 추천하길래…난 재산 많은 사람 아냐” 최상목(44억)의 유체이탈 랭크뉴스 2025.04.16
44678 한덕수, 재판관 지명해놓고 “발표일 뿐…공권력 행사 아냐” 말장난 랭크뉴스 2025.04.16
44677 "어떻게 오셨죠?" "면허증‥" 공소시효 끝난 줄 알았나 랭크뉴스 2025.04.16
44676 [단독] ‘MBC 자회사 주식’ 이진숙, 이해충돌 심사 중 재허가 관여 랭크뉴스 2025.04.16
44675 “이복현 월권 논란이 불 지폈다”… 금감원 쪼개기 카드 꺼낸 민주당 랭크뉴스 2025.04.16
44674 한덕수의 “재판관 지명은 내부 의사 결정” 주장에···“전 국민이 아는데” 반박 랭크뉴스 2025.04.16
44673 법원, 뉴진스 이의신청 기각…'독자활동 금지' 결정 유지 랭크뉴스 2025.04.16
44672 사시 수석이 학원가 '1타 강사'…수천만원 사교육비에 '둠강'도 유행[길잃은 로스쿨] 랭크뉴스 2025.04.16
44671 수천만 구독자 보유 유명 인플루언서, 성폭행 혐의 징역형 확정 랭크뉴스 2025.04.16
44670 방첩사 과장 "계엄 당일 국수본에 체포 대상 '이재명·한동훈' 말해" 랭크뉴스 2025.04.16
44669 “누구 체포하냐 묻자 ‘이재명·한동훈’ 답했다”…방첩사 증언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16
44668 [속보] 정부, 18일 임시 국무회의서 '12조 추경안' 심의 랭크뉴스 2025.04.16
44667 최상목, 마은혁 미임명에 한덕수 탓···“전임자가 여야 합의 요구했기 때문” 랭크뉴스 2025.04.16
44666 "극히 이례적 사건"…50대 가장은 왜 가족 5명을 모두 살해했을까 랭크뉴스 2025.04.16
44665 국힘 경선 4위 자리 놓고…‘반탄’ 나경원-‘찬탄’ 안철수 각축 랭크뉴스 2025.04.16
44664 최상목, 계엄 직후 폰 안 바꿨다더니…5분 만에 ‘위증’ 들통 랭크뉴스 2025.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