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치와 대화 없이 막 내린 윤석열 정부
"반대 위한 반대만" 임기 내내 적대·불만
야당 향한 속내 드러난 4가지 장면
"반대 위한 반대만" 임기 내내 적대·불만
야당 향한 속내 드러난 4가지 장면
편집자주
여의'도'와 용'산'의 '공'복들이 '원'래 이래? 한국 정치의 중심인 국회와 대통령실에서 벌어지는 주요 이슈의 뒷얘기를 쉽게 풀어드립니다. "피청구인(윤석열 전 대통령) 역시 국민의 대표인 국회를 협치의 대상으로 존중했어야 합니다."헌법재판소헌법재판소가 재판관 8명 만장일치 의견으로 윤석열 대통령을 파면하며 적시한 결정문입니다. 결정문에 “국민 모두의 대통령으로서 자신을 지지하는 국민을 초월하여 사회공동체를 통합시켜야 할 책무를 위반했다”는 쓴소리도 담겼습니다. 제20대 대선부터 대통령 취임, 탄핵까지 윤 전 대통령을 취재한 기자의 시선에서 그에게 국회와 야당이란 존재는 어떠했는지, 협치와 통합을 위한 노력이 있었는지 되짚어봤습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해 4월 2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만나 인사하고 있다. 서재훈 기자
#1. 취임 1년 만에 돌변… 정권 퇴진 외친 야당, 적이었다
“헌법 정신을 존중하고 의회를 존중하고 야당과 협치하면서 국민을 잘 모시도록 하겠다.”
2022년 3월 10일 당선 인사에서 윤 전 대통령은 이렇게 말합니다. 그러나 취임 후 윤 전 대통령은 야당을 적으로 봤습니다. 취임 1년이 갓 지나 대통령 입에서 “반국가세력”이라는 분열의 언어가 쏟아지기 시작하더니, 급기야 통합의 정신이 깃들어야 할 광복절 경축사는 그야 말로 분열의 언어로 점철했습니다.왜 그랬을까요. 상식과는 너무나 다른 대통령의 거친 언사였습니다. 그래서 광복절 즈음 그의 주변 인사에게 윤 전 대통령의 속내를 물었습니다.
“국민통합도 협치도 헌법적 가치라는 전제 위해 논할 수 있는 겁니다.” 윤 전 대통령의 뜻을 전한 한 인사는
“자유민주주의, 인권, 법치, 삼권분립, 글로벌 규범을 지켜야 한다는 게 대통령의 생각
”이라고 힘줘 말했습니다. 문제의 원인이 민주당에 있다는 뜻으로 이해했습니다. “정권이 출범한 지 한 1년도 안 됐는데, 정권 퇴진을 외치고 탄핵을 한다고 해요? 법을 어긴 것도 없는데?” 민주당의 정권퇴진 구호를 “대선 불복 행태”로 받아들이고
있었습니다.아무리 그렇더라도 대통령이 먼저 야당,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대화를 나누거나 국정운영의 협조를 구하는 게 먼저라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그러나 윤 전 대통령은 시도하지 않았습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2023년 10월 31일 국회에서 열린 2024년 예산안 시정연설을 마친 후 본회의장 나서자 강성희 진보당 의원이 손피켓을 들고 있다. 고영권 기자
#2. “이재명은 범법 혐의자... 대화가 되겠느냐”
윤 전 대통령은 이 전 대표와 대화할 생각이 없었던 것 같습니다. 취임 2년차 당시 또 다른 윤 전 대통령 측 인사는 단적으로 이렇게 표현했습니다. “
대통령으로서 범법 혐의를 받고 있는 사람과 허심탄회하게 만나서 얘기하는 것에 어려운 문제가 있습니다.
(만나는 모습을) 국민이나 사법부에 어떻게 비춰지는가의 문제도 대통령으로서 고려하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취임 1주년쯤 한 핵심 참모에게도 '야당과 대화가 왜 안되느냐'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언론에서 야당 대표를 만나라고 지적하는데, 그것만이 정치입니까. 대통령이 정치를 안하고 있는 게 아닙니다." 윤 전 대통령은 탄핵 소추로 직무정지가 되기까지 2년 7개월 동안 이 전 대표와 단 한차례 마주 앉았습니다. 그것도 2024년 총선에서 국민의힘이 참패를 하고 나서였습니다.
조 바이든 전 미국 대통령이 2023년 4월 26일 백악관에서 열린 국빈만찬을 마친 후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돈 맥클린의 '아메리칸 파이'를 부른 윤석열 전 대통령과 어깨동무를 하고 있다. 워싱턴=AP/뉴시스
#3. 골치 아픈 국내 정치... 해외 순방과의 온도차
대신 윤 전 대통령은 외교에 열중했습니다. 취임 직후 조 바이든 전 미국 대통령이 방한했고, 2023년 4월 미국을 국빈방문해 한미동맹을 격상시켰을 뿐 아니라 바이든과 끈끈한 '캐미'를 보여줬습니다. 일본 언론이 이를 대서특필하고 부러운 시선을 보낼 정도였으니 외교적 성과가 있었다는 점은 분명해 보입니다. 또 방미 한달 전에는 강제징용 문제 해법으로 ‘제3자 변제’를 결단해 한일 관계를 전환시켰습니다.
그리고 맞은 취임 1주년 즈음, 한 여권 관계자는 이런 분위기를 전했습니다. "역대 모든 대통령이 골치 아픈 국내에 있기보다 해외 순방을 선호했지만, 윤 대통령 입장에선 특히나 온도차가 큽니다.
해외에서 이룬 성과는 대우를 안해주고, 국내 정치 문제로 유독 비판이 많아요.
" 내치와 외치는 분명 따로 분리해 평가해야 하지만, 그러나 윤 전 대통령은 지나치게 내치에 거리를 뒀습니다. 윤 전 대통령의 국정 운영의 컨셉이기도 했습니다. 취임 1주년 즈음 만난 한 참모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국정이란 게 국제정치와 무관하지 않아요. 경제와 안보가 국내 생활에 직결되는 문제이고 그래서 외교가 다른 어떤 것보다 비중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 대표를 만나는 것만이 정치는 아닙니다
." #4. "간첩들이 가짜뉴스, 여론조작, 선전선동"
윤 전 대통령은 늘 주변에 "
야당은 반대를 위한 반대를 한다"
는 토로를 했다고 합니다. 위에 서술한 장면들에서 볼 수 있듯 야당 대표에 대한 반감, 국정 운영에 반대하고 자신을 비판하는 야당에 대한 적개심이 가득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윤 전 대통령 측 관계자는 "계엄에 대한 평가를 떠나 2년 7개월간 정말 국익을 위한다고 일에 전념을 했는데, 야당은 늘 자신을 비난하고 부정하고 깎아내리기만 한다고 생각 했던 것 같다
"고 말했다. 적개심으로 가득 찬 윤 전 대통령은 군대를 동원해 국회 점거를 시도 했습니다. 그리고는 헌재 최후 진술에서까지 "간첩들이 가짜뉴스, 여론조작, 선전선동으로 우리 사회를 갈등과 혼란으로 몰아넣고 있다"고 야당을 겨눴습니다. 헌재는 윤 전 대통령에게 이렇게 꾸짖었습니다. "국회는 소수의견을 존중하고 정부와의 관계에서 관용과 자제를 전제로 대화와 타협을 통해 결론을 도출하도록 노력했어야 한다. 피청구인(윤 전 대통령) 역시 국민의 대표인 국회를 협치의 대상으로 존중하였어야 한다."정치 도산공원 연재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