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다발골수종, 국내서 빈발하는 혈액암
20년간 치료 성과 가장 발전한 질환
10년 이상 장기 생존 환자 크게 늘어
최근 인기리에 방영된 넷플릭스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에서 양관식(아래 사진)은 56세의 나이에 다발골수종으로 세상을 떠난다. 극중에선 시대상을 반영해 여러 차례의 항암치료에도 끝내 사망하는 것으로 묘사됐지만 현재는 치료 성과가 빠르게 향상되면서 장기 생존하는 환자도 늘고 있으므로 희망을 놓지 말라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다발골수종은 국내에서 림프종 다음으로 많이 생기는 혈액암이다. 골수 안에 있는 형질세포는 바이러스나 세균 등으로부터 인체를 지키는 항체를 만드는데, 이 형질세포가 암세포로 바뀌어 비정상적으로 증식하면 정상적인 항체 기능이 없는 ‘M단백’이 많이 만들어져 여러 장기를 망가뜨리게 된다. 정확한 발병 원인이 알려져 있지 않으므로 사실상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없지만 증상이 없는 단계에서도 건강검진을 통해 M단백을 조기에 발견했다면 치료 예후가 훨씬 좋아질 수 있다. 병이 진행되는 단계에선 일반적으로 고칼슘혈증 때문에 졸음과 의식저하, 오심,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빈혈과 신장기능 저하로 인한 피로, 부종 등의 증상도 동반될 수 있다. 특히 뼈의 통증이나 골절로 병원을 찾았다가 다발골수종 진단을 받는 비율이 약 70%에 달할 정도로 뼈에 병변이 생기는 경우도 많다.

다발골수종은 완치가 어려운 질환으로 인식돼왔다. 하지만 지난 20년간 항암치료 성과가 가장 발전한 질환이어서 2000년대 초반에는 환자들의 생존기간이 통상 3년 안팎이었던 데 비해 최근에는 10년 이상 장기 생존하는 환자들도 크게 늘었다. 항암치료 등 다발골수종을 관리하는 치료법을 이어가면서 삶의 질을 높이고 생존기간도 늘리는 것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여러 기전을 가진 다양한 항암제를 사용하는 항암치료를 4~6차례 시행하는 한편 조혈모세포 이식과 방사선 치료 등 보조요법을 함께 진행해 재발 여부 등을 면밀히 살펴보는 과정이 필요하다.

조혈모세포 이식은 환자의 신체 활력 상태를 고려해 보통 70세 이하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하지만 최근에는 고령 환자도 신체 상태에 따라 이식을 받는 경우가 있다. 고령에 당뇨·고혈압·만성신장병 등 기저질환을 동반하면 이식에 필요한 항암제를 사용하기 어려울 수도 있으므로 적절한 관리는 물론 환자와 의료진 간의 소통이 중요하다.

이재훈 가천대 길병원 혈액내과 교수는 “국내 치료 성적은 미국 등과 비교했을 때 세계 수준에 근접하고 있고 세계적인 임상시험도 국내에서 많이 진행되고 있다”며 “항암제의 부작용 또한 과거와 달리 크게 개선되었기 때문에 치료를 포기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911 배민, 포장 주문 수수료 부과···업주들 “고객에 사정 알리려 해도 ‘수수료’ 금지어라 못 써” 랭크뉴스 2025.04.13
47910 오세훈·유승민 이탈… 국힘 찬탄·반탄 합종연횡 가속화하나 랭크뉴스 2025.04.13
47909 하루 전 위험신호 있었는데…‘광명 신안산선 공사장 붕괴’ 인재 가능성 랭크뉴스 2025.04.13
47908 사저 온 尹 "대통령 5년 하나 3년 하나…다 이기고 돌아왔다" 랭크뉴스 2025.04.13
47907 하루 12.74원 널뛰는 환율… 달러 위상도 ‘휘청’ 랭크뉴스 2025.04.13
47906 국힘 주자들, 유승민 경선 불참에 "뜻 공감" "룰 반발 안타까워" 랭크뉴스 2025.04.13
47905 "1년치 한국산 선크림 주문했다"…美 사재기 열풍 진짜 이유 랭크뉴스 2025.04.13
47904 "한덕수 양심 있나" 욕하면서, 탄핵엔 주저하는 민주당…왜 랭크뉴스 2025.04.13
47903 반성 없는 윤석열, 내일 첫 ‘내란 형사재판’…국헌 문란 쟁점 랭크뉴스 2025.04.13
47902 배민, 14일 포장 수수료 부과 시작…‘포장 종료’ 고민 업주들 “‘수수료’는 금지단어, 공지도 못 해” 랭크뉴스 2025.04.13
47901 붕괴 17시간 전 이미 파손된 기둥···‘광명 신안산선 사고’ 의문 세 가지 랭크뉴스 2025.04.13
47900 “의·정갈등 반드시 4월 중에 해결돼야, 6월까지 가면 늦어”···정부·국회 만나는 의협 랭크뉴스 2025.04.13
47899 '한덕수 대망론'에 경종… 오세훈 대선 출마 전날 돌연 접은 이유는 랭크뉴스 2025.04.13
47898 김동연, 김경수 대선 도전에 “경쟁자이자 동반자… 함께해 뜻깊다” 랭크뉴스 2025.04.13
47897 오세훈 이어 유승민도 불출마···‘반탄’ 중심으로 가는 국힘 경선 랭크뉴스 2025.04.13
47896 [르포] 국내 최대 고랭지 채소 주산지 안반데기 폭설…농가 허탈 랭크뉴스 2025.04.13
47895 吳 대선 불출마·劉 경선 불참…'빅4' 한자리 놓고 安·羅 각축전 랭크뉴스 2025.04.13
47894 국민의힘 주자들 일제히 "한덕수, 대통령 대행 집중할 때" 랭크뉴스 2025.04.13
47893 윤석열 14일 피고인석 앉는다… 비공개 출석에 촬영도 불허 랭크뉴스 2025.04.13
47892 한덕수 ‘재판관 월권 지명’에 헌재도 속도전…이번주 내 가처분 결정 가능성 랭크뉴스 2025.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