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다음 달 9일은 러시아 전승절입니다. 2차 세계대전 승리를 기념하는 러시아 최대 국경일로, 올해 80주년을 맞습니다. 우리에겐 조금 생소한 날이지만, 이때 열리는 기념식은 러시아와 우호 관계인 여러 국가 정상들이 모여 반서방 연대를 과시하는 외교 무대로도 평가받습니다.

이번 전승절에 우리가 특히 주목하는 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참석 여부 때문입니다. 러시아는 지난달 29일 "여러 아시아 국가 지도자들을 초대했다"라면서 "누가 참석할 지 곧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김정은, 다자외교무대 데뷔할까

김 위원장이 러시아를 올해 방문하는 건 확정적인 듯합니다. 루덴코 러시아 외무부 차관은 지난달 27일 "김 위원장의 올해 러시아 방문이 준비되고 있다"라고 확인했습니다. '푸틴의 오른팔'로 불리는 쇼이구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서기가 지난달 21일 평양에서 김 위원장을 만난 것도 방러 일정을 더 구체화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해석됩니다.

지난달 21일 북한을 방문해 김정은 위원장을 만난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서기
만약 김 위원장이 전승절 기념식에 참석한다면 다자(多者) 외교 경험이 거의 없는 김 위원장의 ‘글로벌 외교 무대 데뷔’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참석이 유력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하면서 국제 무대에 존재감을 드러낼 수 있습니다.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만나 우크라이나 전쟁 파병에 따른 군사 협력·경제 지원 등을 더 구체적으로 약속받고, 북미 대화 재개 시 협상력도 높일 수 있습니다.

러시아 외교·안보 정책 전문가인 현승수 통일연구원 부원장은 "나치 독일과 싸운 경험이 없는 북한의 지도자가 2차 대전 승전을 기념하는 전승절에 온다는 건 러시아 입장에서도 행사의 역사적 성격을 바꾸는 큰 변화"라면서 "북한을 브릭스(BRICS) 같은 '친러 블록'에 편입시키는 상징적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 열차 타고 모스크바까지?

그러나 그만큼 리스크도 큰 자리입니다. 북한 최고 지도자가 다자 외교 무대에서 여러 정상들 사이에 자연스럽게 섞여 등장한 적은 전무하다시피 합니다. 이 자리에선 김 위원장만을 위한 '특별 의전'이 사실상 어렵습니다. '수령제'인 북한의 통치 스타일을 감안하면, 다른 정상들과 동등한 위치에서 움직여야 하는 상황 자체가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김 위원장의 '최고 존엄' 이미지를 해치지 않으면서도 외교적 존재감도 드러내야 하는, 복잡한 셈법이 요구되는 자리인 겁니다.

2023년 9월 '방탄 열차'를 타고 러시아를 방문했던 김정은 위원장
현실적인 이유도 있습니다. 김 위원장이 평양에서 전승절 행사가 열리는 모스크바까지 어떻게 이동할 거냐는 겁니다. 북한에는 모스크바까지 한 번에 갈 수 있는 전용기가 없는 데다, 김 위원장은 경호 문제 때문에 '방탄 열차'를 선호합니다. 앞서 2019년과 2023년 김 위원장이 러시아를 갈 때도 기차를 탔습니다. 하지만 그때는 블라디보스토크 같은 비교적 가까운 곳이었고, 모스크바까지 기차로 간다면 평양을 최소 보름 이상 비워야 한다는 부담이 생깁니다. 김 위원장은 2018년 싱가포르 북미 회담 때 중국에서 비행기를 빌려 타고 간 적이 있지만, 또 '남의 나라' 비행기를 탈지는 미지수입니다.

■ 관건은 시점·형식…김정은 선택은?

그래서 여러 가능성들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첫 번째 가능성은 전승절 전후에 김 위원장 '혼자' 러시아에 방문하는 겁니다. 양자 회담을 통해 김 위원장과 푸틴 대통령이 대등한 모습처럼 비치는 게 북한 입장에선 체제 선전과 내부 결속엔 유리합니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최근 북한이 조기경보기를 공개하는 등 항공전력을 과시하는 것을 볼 때, 김 위원장이 하늘길을 이용해 모스크바 등 멀리 이동하는 모습을 보여줄 가능성이 크다"라고 전망했습니다.

지난달 27일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한 공중조기경보통제기에 탑승한 김정은 위원장의 사진
두 번째 가능성은 아예 시점과 장소를 달리해 9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리는 동방경제포럼(EEF)에서 푸틴 대통령과 만나는 겁니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한반도전략센터장은 "북한 입장에서는 올해 10월 노동당 창건 80주년이라는 국가적 기념일을 치러야 하기 때문에 대내외 분위기를 고조시키려는 차원에서 9월 방러 가능성도 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이 시나리오에도 한계는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전쟁 파병을 계기로 발전된 양국 관계를 대내외에 과시하는 효과가 모스크바 방문에 비해 떨어진다는 겁니다. 극동 지역은 이미 김 위원장이 방문한 적이 있기 때문에, 달라진 관계를 보여주려면 새로운 장소를 선택해야 한다는 것이죠.

향후 남북 관계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인 만큼, 통일부도 김정은 위원장이 언제, 어떤 방식으로 러시아에 모습을 드러내느냐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617 '尹 신당' 꿈틀대자…국힘 내부서 "이대론 대선 필패" 성토 new 랭크뉴스 2025.04.18
45616 개헌·AI·중산층… 국민의힘 후보 8인 ‘정책 경쟁’ 본격화 new 랭크뉴스 2025.04.18
45615 "얼굴 말고 마음 봐요"...데이팅 앱, 틴더 지고 '대면 중심' 앱 뜬다 랭크뉴스 2025.04.18
45614 10년 전 이경규 양심냉장고 주인공도 ‘어른 김장하’ 장학생이었다 랭크뉴스 2025.04.18
45613 "어머니가 저 안에"…맨몸에 불길 속 뛰어든 경찰관이 95세 노인 구해 랭크뉴스 2025.04.18
45612 “주사 대신 알약”…일라이릴리 ‘먹는 비만약’ 최종 임상 성공 랭크뉴스 2025.04.18
45611 챗GPT로 ‘사람 된 강아지’… 반려인들 열광하는 트렌드 랭크뉴스 2025.04.18
45610 김두관, 대선 불출마 선언‥"민주당 승리에 힘 보탤 것" 랭크뉴스 2025.04.18
45609 선관위, '중국 해킹 부정선거 주장' 4·2보선 참관인 3명 고발 랭크뉴스 2025.04.18
45608 민주당 첫 TV토론회…국민의힘 비전대회 랭크뉴스 2025.04.18
45607 [영상] 건대 양꼬치 거리 한복판서 혐중 시위한 윤석열 지지 극우 청년들 랭크뉴스 2025.04.18
45606 "이재명 도우미냐"…'윤 어게인' 창당 소식에 국힘 발칵 뒤집혔다 랭크뉴스 2025.04.18
45605 비비고 ‘가는 줄무늬 만두’ 미국서 특허받자…중국이 ‘발끈’ 랭크뉴스 2025.04.18
45604 윤석열은 청년을 앞세울 자격이 있을까 [메아리] 랭크뉴스 2025.04.18
45603 日 '독도는 일본땅' 전시관 재개관…외교부, 대사관 관계자 초치 랭크뉴스 2025.04.18
45602 '채상병 순직 사건' 박정훈 대령 "윤석열 전 대통령 증인 신청" 랭크뉴스 2025.04.18
45601 국힘 후보들 비전대회 연다더니 ‘이재명 성토대회’ 랭크뉴스 2025.04.18
45600 "쿠팡 긴장해라"...컬리까지 품은 '진격의 네이버' 랭크뉴스 2025.04.18
45599 경찰, 용인 일가족 5명 살해범 신상공개 않기로… 유족 의사 고려 랭크뉴스 2025.04.18
45598 미중, 돌아올 수 없는 강 건너나...갈등 격화 랭크뉴스 2025.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