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헌재 결정 승복·통합 메시지 없어
민주당 “사저정치 꿈도 꾸지 말라”
“탄핵 무효” “즉각 체포” 곳곳 대치
헌법재판소에서 파면 선고를 받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선고 일주일만인 11일 오후 서울 한남동 관저를 떠났다. 윤 전 대통령이 차량에서 지지자들을 향해 손을 들어 인사하고 있다. 옆에 김건희 여사가 앉아있다. 윤 전 대통령은 입장문에서 “저는 대한민국 국민의 한 사람으로 돌아가 나라와 국민을 위한 새로운 길을 찾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윤석열 전 대통령과 부인 김건희 여사가 11일 서울 한남동 관저를 나와 종전 거주지인 서울 서초동 아크로비스타 건물로 돌아갔다. 지난 4일 헌법재판소가 윤 전 대통령의 파면을 결정한 지 일주일 만의 퇴거다. 윤 전 대통령은 “대한민국 국민의 한 사람으로 돌아가 나라와 국민을 위한 새로운 길을 찾겠다”는 메시지를 냈다. 헌재 결정에 대한 겸허한 승복이나 사과, 국민통합의 메시지는 없었다.

윤 전 대통령은 오후 5시10분 한남동 관저를 나와 20분 뒤인 5시30분 서초동 사저에 도착했다. 윤 전 대통령은 경호차량이 관저 철문에 다다르자 오른손을 든 채 걸어나와 응원 집회에 나온 청년들과 포옹했다. 윤 전 대통령은 청년들이 ‘윤석열’을 연호하는 가운데 약 3분간 어깨를 두드리고 악수를 나눴다. 윤 전 대통령 측이 퇴거에 앞서 응원 집회 주최 측에 “청년들을 만나겠다”는 뜻을 전했고, 이에 집회 주최 측은 신분증을 확인해 40세 이하 200명을 따로 추려 관저 앞에 배치했다.

윤 전 대통령은 퇴거 직후 법률대리인단을 통해 “많은 국민들, 그리고 청년들께서 자유와 주권을 수호하겠다는 일념으로 밤낮없이 한남동 관저 앞을 지켜주셨다”며 “추운 날씨까지 녹였던 그 뜨거운 열의를 지금도 가슴 깊이 새기고 있다”는 입장문을 냈다. 경호차량으로 이동할 때는 좌석 창문을 내리고 오른손을 흔들었다. 사저에 도착해서도 내부 주차장으로 바로 들어가는 대신 김 여사와 함께 입구에서 내려 지지자들과 인사를 나눴다.

이날 한남동 관저, 서초동 사저 인근은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응원과 규탄 집회로 혼잡했다. 자유대한국민연대 등은 윤 전 대통령의 대선 재출마를 주장하는 ‘YOON AGAIN(윤 어게인)’ 손팻말을 든 채 “탄핵 무효”를 외쳤다. 반면 촛불승리전환행동(촛불행동)은 기자회견을 열고 “윤석열과 김건희를 즉각 체포하고 구속하는 것이 사회 정의를 바로 세우는 시작”이라고 주장했다.

윤 전 대통령 부부가 돌아온 아크로비스타 건물 1층에는 검색대가 설치됐다. 현관 외벽에는 ‘입주자 동대표 일동’ 명의로 “대통령 내외분 수고하셨습니다”라는 현수막이 붙었으나 일부 주민이 “개인 명의로 붙이라”고 항의했다. 주민들은 집회 소란을 걱정했다. 서울 서초경찰서에 따르면 아크로비스타 일대에는 앞으로 1개월간 윤 전 대통령 응원·규탄 집회가 매일 9건씩 신고돼 있다.

대통령실 수석비서관급 이상 고위 참모진과 비서관, 행정관들은 오후 관저를 찾아 윤 전 대통령이 떠나는 모습을 지켜봤다. 윤 전 대통령은 “임기를 끝내지 못해 아쉽다. 모두 고생이 많았다”고 말했다고 한다. 많은 직원은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승복이나 통합 메시지는 끝내 없었다. 법조계는 윤 전 대통령이 내란우두머리 혐의로 형사재판을 받는 만큼 헌재 결정에 승복한다고 밝히기 어려운 처지라고 본다. 더불어민주당은 “사저정치로 국민의힘 대선 경선에 개입할 생각은 꿈도 꾸지 말고, 권력에 대한 집착도 내려놓으라”는 논평을 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354 ‘광명 공사장 붕괴’ 밤샘 수색 끝에 1명 구조…1명은 실종 랭크뉴스 2025.04.12
47353 "우황청심환 상표 모델 소나무"…'올해의 나무' 10그루 사연 보니 랭크뉴스 2025.04.12
47352 [속보] 트럼프 “일부 예외 있을 수 있지만, 상호관세 10%가 하한선” 랭크뉴스 2025.04.12
47351 비 와서 꽃구경 못 가 시무룩한가요…다음주 여기 어때요 랭크뉴스 2025.04.12
47350 “대통령실 옮긴다” 소문에...‘세종’ 부동산 들썩 랭크뉴스 2025.04.12
47349 흔들리는 반도체 ‘최강자’ 위용...위기의 삼성전자 랭크뉴스 2025.04.12
47348 광명 붕괴사고 현장서 20대 노동자 13시간 만에 극적 구조 랭크뉴스 2025.04.12
47347 “생고기를 저렇게 옮기면 안 되죠”…백종원, 또 식품위생 논란 [잇슈#태그] 랭크뉴스 2025.04.12
47346 尹 자택 앞에서 "윤 어게인" 연호한 지지자들… 곳곳에선 고성 오가며 실랑이도 랭크뉴스 2025.04.12
47345 국힘이 한덕수를 부른다…온건보수 결집 가능성에 민주 ‘경계’ 랭크뉴스 2025.04.12
47344 광명 신안산선 공사현장 밤샘 수색…1명 구조·1명 실종 랭크뉴스 2025.04.12
47343 윤석열 전 대통령과 포옹한 ‘과잠’ 대학생···“대통령실 요청받아” 랭크뉴스 2025.04.12
47342 강풍 동반한 요란한 비…강원산지 등엔 '4월 중순 눈' 랭크뉴스 2025.04.12
47341 "목적지요? 승무원도 몰라요"…4분 만에 완판 '미스터리 항공권' 뭐길래? 랭크뉴스 2025.04.12
47340 이민자의 집밥, 그 뿌리는 어디일까···흔적 찾아 떠나는 여행[오마주] 랭크뉴스 2025.04.12
47339 한 달 뒤 러시아 전승절…모스크바에 김정은 나타날까 [뒷北뉴스] 랭크뉴스 2025.04.12
47338 이재명 "국가의 부는 기업이 창출한다"…新산업정책 예고 랭크뉴스 2025.04.12
47337 책과 '자만추' 해보셨나요... 오프라인 서점 여는 '예스24' [활자예찬] 랭크뉴스 2025.04.12
47336 급변하는 동북아…퍼즐을 맞춰봤다 [창+] 랭크뉴스 2025.04.12
47335 '용산 시대' 열었던 윤 정권‥집무실·관저, 계엄 상징 장소로 전락 랭크뉴스 2025.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