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사실상 ‘연 2% 파킹통장’ 기능 제공
은행권 주요 파킹통장 금리보다 유리
예치금 한도 없고 안전…출금 수수료 고려해야

일러스트=챗GPT 달리3

올해 초 가상자산 투자를 결심한 30대 이씨는 300만원가량을 케이뱅크에 입금해 업비트에 넣었습니다. 하지만 막상 투자하려다 보니 가상자산의 변동성이 너무 커 망설이기만 하다 4월이 됐는데요, 갑작스럽게 1만5000원가량이 입금되었습니다. 지난해부터 상향된 가상자산 예치금 이용료 덕분이었습니다.

4월은 원화 가상자산거래소들의 예치금 이용료 정기 지급 기간입니다. 지난 9일 업비트가 예치금 이용료 지급을 시작했고, 앞서 지난 1일 코인원이 지급을 완료했죠. 빗썸은 10일 이용료를 지급했습니다. 통상 가상자산거래소들은 매 분기 예치금 이용료를 지급하는데, 일부 월별로 지급하는 경우(코빗)도 있습니다.

가상자산 예치금 이용료란,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에 따라, 가상자산거래소 회원의 계정에 예치된 원화 잔고를 은행 등 관리 기관에 예치함으로써 발생하는 운용 수익 중 직·간접비용 등을 차감한 후 회원에게 지급되는 금액입니다. 다시 말해 가상자산거래소와 연결된 은행이 고객 예치금을 활용하는 데에 대한 이자 같은 성격의 금액이죠.

거래소와 실명계좌 제휴를 맺은 은행이 예치금을 운용하고 수익률 일부를 거래소에 지급하면 다시 고객에게 반환하는 식입니다. 원래 기존의 가상자산 예치금 이용료는 0.1~0.2%대에 불과했습니다. 하지만 지난해 7월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이 시행되면서 예치금 이용료율이 상향조정됐습니다. 업체별로 보면 빗썸이 2.2%로 가장 높고, 업비트와 코빗이 2.1%, 코인원 2%, 고팍스 1.3% 수준입니다.

그런데 최근 은행권의 금리가 워낙 낮아 2%대의 가상자산 예치율이 차라리 은행 예금상품보다 낫다는 말이 나옵니다. 특히 거래소의 예치금은 수시입출금통장인 파킹통장과 비교가 되는데요. 파킹통장처럼 예치금을 원하는 때에 마음대로 넣었다 뺐다 할 수 있으면서 이자와 동일한 이용료를 자동으로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서울 서초구 빗썸라운지 전광판. /연합뉴스

​최근 은행권의 주요 파킹통장 금리를 살펴보면, 우리은행의 ‘머니클립 지갑’은 금리를 올해 연 1.5%에서 1.25%로 인하했고, IBK기업은행 ‘머니박스’도 현재 최대 1.5%의 금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시중은행보다 비교적 금리가 높다고 알려진 인터넷전문은행들도 케이뱅크가 2%의 금리를 제공하고 있을 뿐, 카카오뱅크가 1.8%, 토스뱅크가 1.2%에 불과합니다.

예를 들어 업비트에 300만원을 예치한 경우, 일 이용료 계산식(일 마감잔고x2.1%/365일)에 따라 1분기에 받는 이용료는 1만5534원입니다. 반면 같은 기간 동안 머니클립 지갑에 넣어놨다면 이자 계산식(일별 머니클립 지갑 최종 잔액×머니클립 지갑 적용이율÷365일)에 따라 9246원에 불과하죠. 만약 예치금이 1억원이었다면 업비트가 51만7808원, 머니클립이 30만8219원으로 무려 20만원 이상 차이가 납니다.

가상자산거래소 예치금은 예금자 보호 대상은 아닙니다. 하지만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제6조 예치금 보호에 관한 규정을 보면, 예치금은 고유재산과 분리해 은행 등 관리기관에 예치 신탁해야 합니다. 또한 제8조에 따라 거래소들은 해킹, 전산장애 등 사고에 대비해 보험이나 공제에 가입하거나 준비금을 적립해야 하므로 예치금이 상당히 안전하게 보관된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은행권의 파킹통장은 5000만원, 1억원 등의 입금 한도가 있는 경우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반면 가상자산거래소 예치금에는 한도가 없죠. 다만 일부 파킹통장 중에는 매일 접속해 이자를 받고, 재예치해 ‘일 복리’를 누릴 수 있는 상품도 있습니다. 또한 가상자산거래소는 입금 시에는 수수료가 없지만 출금하는 경우에는 1000원의 수수료가 붙기 때문에 자주 출금하는 경우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도 고려해야 합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548 '윤 어게인 신당' 보류 소동‥갑자기 단톡 파더니 '망신' new 랭크뉴스 2025.04.18
45547 제주 벚꽃축제, 바가지 요금 논란 이어 집단 식중독까지 new 랭크뉴스 2025.04.18
45546 “강남역에 누가 살고 있다” 제보…지적장애인 7개월만 가족 품으로 new 랭크뉴스 2025.04.18
45545 국방부, 김현태 전 707단장 등 7명 기소휴직 new 랭크뉴스 2025.04.18
45544 홍준표, '尹 탈당 요구' 안철수에 "시체에 난도질…사람 도리 아냐" new 랭크뉴스 2025.04.18
45543 80대女 돌연 구토·발열 알고보니…치명률 18.5%, 치료제도 없다 new 랭크뉴스 2025.04.18
45542 이준석 "'윤어게인' 창당은 간 보기…尹, 국힘에 배신감 느낀 듯" new 랭크뉴스 2025.04.18
45541 서울고법, 윤석열 21일 공판도 ‘지하 출입’ 허용…특혜 논란 new 랭크뉴스 2025.04.18
45540 네이버, 컬리와 손잡았다…쿠팡 맞설 ‘신선식품 동맹’ 출격 new 랭크뉴스 2025.04.18
45539 Z세대 취업 불안 확산… 69% “장기전 준비 중” new 랭크뉴스 2025.04.18
45538 ‘K-엔비디아’ 키운다더니 현실은 주 52시간 족쇄… 반도체업계 “K-반도체 하향 평준화” 비판 new 랭크뉴스 2025.04.18
45537 초등생 붙잡고 "음료수 사줄까"…강남 한복판서 '유괴 불안' 확산 new 랭크뉴스 2025.04.18
45536 중국은 동남아로, 미국은 남미로...외교전으로 번지는 관세 전쟁 new 랭크뉴스 2025.04.18
45535 용인 일가족 살해 부른 사업은 ‘민간 임대 협동조합’… 부동산 광풍의 비극 new 랭크뉴스 2025.04.18
45534 안철수 “윤석열 탈당” 주장에 홍준표 “시체 난도질”···장외 설전 new 랭크뉴스 2025.04.18
45533 “윤석열에 꽃다발 준 입주민, 김태효 모친이었다” new 랭크뉴스 2025.04.18
45532 제주은행, 더존비즈온 손잡자 주가 21%대 급등[이런국장 저런주식] new 랭크뉴스 2025.04.18
45531 홍준표 “흉악범 사형…차별금지법 반대, 페미니즘 대신 패밀리즘” new 랭크뉴스 2025.04.18
45530 12.2조 추경 ‘쏠쏠한’ 소비자 활용법 총정리 new 랭크뉴스 2025.04.18
45529 땅꺼짐 공포에…서울시, 굴착 공사장 5주간 감찰 new 랭크뉴스 2025.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