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주노동자들이 밥을 지어 먹는 인천 서구 왕길동의 공장 내 식당 모습. 이준희 기자

“여기에서 두 명이 살고 있어요. 믿어지시나요.”

비가 추적추적 내리는 9일 저녁 인천시 서구 왕길동의 한 공단. 방글라데시 출신 이주노동자 지노이(가명·32)가 녹슨 컨테이너 문을 열고 멋쩍게 말했다. 3평이 채 되지 않는 컨테이너에는 냉장고·정수기 등 세간살이가 들어차 있었다. 발 디딜 틈 없는 컨테이너에는 두 사람이 앉아서 이야기할 자리도 마땅치 않았다. 지노이가 말했다. “여름엔 덥고 겨울엔 추워요. 정말 힘들어요.”

방글라데시 출신 이주노동자 지노이가 사는 인천시 서구 왕길동의 컨테이너 기숙사. 이준희 기자

지노이의 일터는 인천에 있는 한 주물공장이다. 방글라데시 출신 노동자는 모두 7명. 이들은 공장 근처 컨테이너, 공장 한편에 남은 공간을 방처럼 꾸미고 살았다. 화장실과 샤워실은 따로 없어 공장까지 가야 한다. 식탁조차 없는 식당에선 의자에 의지해 밥을 먹는다. 곳곳이 그을음과 기름때였고 먼지가 날려 목이 아팠다. 지노이는 “우리는 여기서 밥을 먹고 한국 사람들은 사무실에서 밥을 먹는다”고 했다.

이주노동자들이 밥을 지어 먹는 인천 서구 왕길동의 공장 내 식당의 모습. 지노이는 식당에 식탁조차 마련돼 있지 않아 플라스틱 의자에 의지해 밥을 먹는다고 했다. 이준희 기자

이주노동자들이 밥을 지어 먹는 인천 서구 왕길동의 공장 내 식당 모습. 이준희 기자

이주노동자들이 샤워를 하는 인천 서구 왕길동의 공장 내 샤워실 모습. 지노이는 샤워실에 샤워기 등이 따로 없어 바가지로 물을 퍼서 씻는다고 했다.

지난해 5월 한국에 온 지노이는 “이런 곳에서 살 줄은 꿈에도 몰랐다”고 했다. 지노이는 고용허가제를 통해 정식 비자(E-9)를 받아 한국에 왔다. 방글라데시에서 대학을 졸업한 뒤 경영대학원(MBA)을 다녔고 은행원으로 일한 그는 “한국에서 일도 하면서 공부하고 모은 돈으로 딸(2살)에게 좋은 교육을 해주고 싶어” 한국행을 택했다. 하지만 그가 마주한 현실은 불법 기숙사와 고된 노동으로 망가진 허리였다.

이주노동자 주거권은 2020년 12월 캄보디아 출신 속헹(당시 31살)이 비닐하우스 가건물에서 자다가 한파에 숨지면서 본격적으로 관심을 받았다. 이에 고용노동부는 이듬해 1월 가설건축물을 숙소로 제공하는 사업주의 이주노동자 고용을 불허하기로 했지만, 현장에서는 편법이 만연한다. 기숙사를 제공하지 않는다고 하고 고용허가를 받은 뒤 실제로는 불법 건축물에 살게 하는 식이다. 지노이의 근로계약서에도 기숙사는 ‘미제공’으로 돼 있다.

지노이가 9일 인천 서구 왕길동에 있는 컨테이너 기숙사 문을 열고 있다. 이준희 기자

지노이와 그 동료가 사는 인천 서구 왕길동 컨테이너 기숙사의 모습. 지노이는 냉장고, 전자레인지 등 필수적인 가전도 제공되지 않아 세간살이를 대부분 길에 버려진 것을 주워 와서 이용하고 있다고 했다. 이준희 기자

상황이 이런데도 정부는 관리·감독은커녕 실태 파악도 못 하고 있다. 앞서 지난 3월 고용노동부가 농업 이주노동자 주거환경 실태 조사 결과를 내놨다. 하지만 공장에서 일하는 이주노동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는 아예 없다. 농업 이주노동자 실태 조사는 4265곳 가운데 3980곳(93.3%)이 규정 위반 사항이 없다고 했지만, 이 역시 현장에서는 “믿기 어렵다”(우다야 라이 이주노동자노동조합 위원장)는 반응이 나온다.

이주노동단체는 노동자의 사업장을 옮길 자유가 없는 고용허가제 문제를 지적했다. 포천이주노동자센터 대표 김달성 목사는 “사용자 승인 없이는 사업장을 바꿀 수 없기 때문에 열악한 환경에서 이주노동자들이 살게 되는 것”이라며 “불법 기숙사 관련 꼼수가 공장·농장에 즐비한 만큼 고용허가제에 사업주가 제대로 된 기숙사를 의무적으로 제공해야 한다는 조항을 넣을 필요도 있다”고 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491 상관 폭행하고 “야 이 XX야” 모욕…육군 내 하극상 징역형 랭크뉴스 2025.04.12
47490 이재명 후원회 출범...회장은 '비상계엄 저항한 5·18 유가족' 랭크뉴스 2025.04.12
47489 2030 "얼어 죽어도 미국장"…코스피∙코스닥 '고령화 증시' 랭크뉴스 2025.04.12
47488 강원 고성 DMZ 산불 재발화… 헬기 2대 투입 랭크뉴스 2025.04.12
47487 이재명 캠프 선대본부장에 윤호중…총괄본부장 강훈식 랭크뉴스 2025.04.12
47486 AI가 예측해 본 트럼프 [창+] 랭크뉴스 2025.04.12
47485 이재명 후원회 출범… 후원회장에 ‘비상계엄 저항한 5·18 유가족’ 김송희씨 랭크뉴스 2025.04.12
47484 오세훈 돌연 대선 불출마 선언 “백의종군”…기자회견 풀영상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12
47483 ‘피고인 윤석열’ 법정 촬영 불허…박근혜 때는 허가 랭크뉴스 2025.04.12
47482 '산불 사태' 국민성금 1328억원 모여…세월호 때보다 많아 랭크뉴스 2025.04.12
47481 하룻밤에 세 여자를…'17세 강간범'의 엄마로 산다는 건 랭크뉴스 2025.04.12
47480 부산 덕성원 끌려가 노예처럼 산 아이들…그곳은 지옥이었다 [사건 플러스] 랭크뉴스 2025.04.12
47479 젤렌스키 "우크라 참전 중국인 최소 수백 명"…연일 中참전설 제기 랭크뉴스 2025.04.12
47478 쉬지 않고 관세 때린 ‘최고령’ 트럼프, 건강 검진 결과는…13일 공개 랭크뉴스 2025.04.12
47477 강원 고성 DMZ 산불 재발화에 헬기 2대 투입…진화율 50% 랭크뉴스 2025.04.12
47476 지역주택조합원 자격 취득 못한 자에게 반환하는 부당이득 범위[조주영의 법으로 읽는 부동산] 랭크뉴스 2025.04.12
47475 이재명 후원회장에 김송희씨…계엄에 저항한 5·18 유가족 랭크뉴스 2025.04.12
47474 피고인석 앉은 尹 모습 촬영 안 돼…박근혜·이명박 땐 허가 랭크뉴스 2025.04.12
47473 美외교지 "이재명, '실질적 해결책' 제시해 중도층 설득해야" 랭크뉴스 2025.04.12
47472 '내란죄 피고인 윤석열' 촬영 안 된다...재판부 불허 랭크뉴스 2025.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