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정부, 외교 지평 넓히고 북한 우회 압박 효과
조태열, 시리아 방문해 관계 발전 방향 협의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지난 10일 시리아 다마스커스에서 아스아드 알샤이바니 시리아 외교장관과 ‘대한민국과 시리아 간 외교관계 수립에 관한 공동성명’에 서명했다. 외교부 제공


한국과 시리아와 수교를 체결했다. 한국은 북한을 제외한 191개 모든 유엔국과 수교를 맺게 됐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지난 10일(현지시간) 시리아의 수도 다마스쿠스에서 아스아드 알샤이바니 시리아 외교장관과 ‘대한민국과 시리아 간 외교관계 수립에 관한 공동성명’에 서명했다고 외교부가 11일 밝혔다. 시리아와 공식 외교 관계를 수립한 것이다.

두 장관은 수교 이후 양국 관계 발전 방향 등을 두고 협의를 진행했다. 조 장관은 “시리아의 안정과 번영이 중동 평화, 더 나아가 글로벌 평화에 긴요하다”라며 “수교를 바탕으로 한 양측 간 협력이 시리아 발전과 중동의 안정에 기여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조 장관은 또 시리아의 국가 재건 과정에서 한국의 개발 경험을 전수할 의사를 밝히고, 제반 여건 개선 시 한국 기업의 재건 활동 참여 가능성도 타진했다고 외교부는 전했다. 조 장관은 아울러 의약품, 의료기기 및 쌀 등 인도적 물품을 제공해 시리아가 직면한 인도적 위기 대응을 지원할 의사도 밝혔다.

알샤이바니 장관은 한국의 개발 경험 공유 의사 및 인도적 지원 계획에 사의를 표했다. 그는 “대시리아 제재 완화를 위한 한국의 지원을 기대한다”라며 “향후 시리아 재건에 있어 한국의 기여 방안에 대해서도 지속 논의해 나가자”고 했다.

조 장관은 이어 아흐메드 알샤라아 대통령도 예방했다. 조 장관은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 축출 이후 포용적인 정부 구성을 통해 신정부가 성공적으로 출범한 것을 축하했다. 시리아 과도정부는 지난달 내각 명단을 발표한 바 있다. 조 장관은 “시리아가 포용적 정치 프로세스 지속, 극단주의에 대한 단호한 대응 및 화학무기 제거 등 국제사회의 요구에 부응해 나간다면 시리아 재건 및 지속적 경제 발전을 위한 우호적 환경이 조성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신정부의 노력을 지원하기 위해 한국도 필요한 역할을 하겠다”고 했다.

알샤라아 대통령은 한·시리아 외교관계 수립을 환영하고 “새로운 시리아의 출발에 한국의 지지가 긴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수교를 통해 한국과 시리아가 국제평화에 기여하는 우호 협력 관계를 발전시켜 나가자”고 했다.

시리아는 ‘아랍의 봄’ 이후 13년에 걸친 내전 끝에 반군 하야트타흐리르알샴(HTS)이 지난해 12월 알아사드 독재 정권을 몰아내면서 과도정부를 수립했다. HTS의 수장이던 아흐메드 알샤라가 과도정부의 임시 대통령을 맡고 있다. 시리아는 1966년 북한과 수교하고 친선관계를 맺어왔다. 그러나 주시리아 북한대사관은 지난해 알아사드 정권이 무너질 당시 철수했다.

알샤라 대통령은 시리아를 ‘정상 국가’ 궤도로 올리기 위해 외교전과 내치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서방 국가들은 13년간 이어진 내전 기간 시리아에 부과했던 제재를 부분적으로 완화하거나 해제하고 있다.

한국이 지난해 북한의 ‘형제국가’로 불렸던 쿠바와 수교한 데 이어 북한의 우방국인 시리아와도 국교를 수립하면서 외교의 지평을 넓힐 수 있게 됐다. 동시에 북한을 우회적으로 압박할 수 있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외교부는 “북한과의 밀착으로 관계가 두절됐던 시리아와의 관계에 새로운 협력의 장이 열리게 됐다”고 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 2월 시리아 다마스쿠스로 사절단을 보내 한국과의 수교 의사를 확인한 뒤 이를 추진해왔다. 정부는 지난 3월 국무회의에서 시리아와의 수교 체결 안건을 의결했다. 헌법 89조는 중요한 대외 정책이나 외국과의 조약안 등은 국무회의 심의를 거치도록 규정한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202 “가려워서 한숨도 못 잤다”… 삼육대 남자 기숙사, ‘옴’ 환자에 발칵 랭크뉴스 2025.04.17
45201 국토부, “‘신안산선 붕괴사고’ 건설사고조사위 활동 시작” 랭크뉴스 2025.04.17
45200 이재명 "세종에 국회·대통령 집무실"‥행정수도 대선 쟁점 급부상 랭크뉴스 2025.04.17
45199 윤석열·김건희, 관저서 7일간 물 228t 썼다…“수도요금 미납” 랭크뉴스 2025.04.17
45198 현대차 임원들 뉴욕 집결… 관세전쟁 속 美 시장 정면 돌파 모색 랭크뉴스 2025.04.17
45197 문형배 "비상계엄은 관용·자제 넘었다‥통합 위해 선고에 시간 걸려" 랭크뉴스 2025.04.17
45196 李캠프 "'도봉역 벤츠사건' 허위정보 유포자 고발…엄벌해야" 랭크뉴스 2025.04.17
45195 국회, 반도체특별법·은행법·가맹사업법 패스트트랙 지정 랭크뉴스 2025.04.17
45194 홍준표, 명태균 의혹 질문에 "이재명에 형수 욕설부터 물어보라" 랭크뉴스 2025.04.17
45193 문형배 “비상계엄은 관용과 자제 넘은 것, 통합 담으려 시간 걸려” 랭크뉴스 2025.04.17
45192 韓 대망론 커질까 꺼질까, 국힘 경선 통과자 나오면 보인다 랭크뉴스 2025.04.17
45191 문형배 "尹 탄핵 선고, 모순은 없다" 퇴임 전날 직접 입 열었다 랭크뉴스 2025.04.17
45190 윤석열, 파면 후 일주일간 수돗물 228톤 썼다... "평균치의 75배" 랭크뉴스 2025.04.17
45189 경찰, ‘불법 도박 혐의’ 개그맨 이진호 검찰 송치 랭크뉴스 2025.04.17
45188 이재명 "임기 내 세종 행정수도 완성"... 충청 표심 잡고 대권으로 랭크뉴스 2025.04.17
45187 "잘못했습니다" 봐 달라던 제주도…순대 6개에 '2만 5000원' 먹고 무더기 '식중독' 랭크뉴스 2025.04.17
45186 나경원 "취임 즉시 핵 주권 확보‥1년 안에 핵무장 결단" 랭크뉴스 2025.04.17
45185 "와 한국 진짜 망했네요"…외신도 경악한 '7세 고시' 결국 랭크뉴스 2025.04.17
45184 불닭 잘나가니 개미도 ‘줍줍’…삼양, 1년새 소액주주 80% 증가 랭크뉴스 2025.04.17
45183 “다른 과였다면 진작 유급·제적”…의대 증원 철회에 대학생들 부글부글 랭크뉴스 202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