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개헌에 찬성하는 여론이 70%에 육박하고, 개헌을 할 경우 4년 중임 대통령제로 권력 구조를 바꿔야 한다는 여론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가 한국갤럽에 의뢰해 지난 8~9일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개헌 필요성을 물은 결과 ‘필요하다’는 응답은 67%로 집계됐다. ‘필요하지 않다’는 21%였다. 연령대로 보면 50대, 60대, 70세 이상에서의 찬성 비율이 각각 71%, 71%, 68%로 40대 이하에 비해 개헌 찬성 여론이 강했다. 허진재 한국갤럽 여론수석은 “개헌의 필요성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지지 정당별로는 국민의힘 지지층의 70%가 찬성해 더불어민주당 지지층(66%)보다 찬성 비율이 높았다. 이는 지난 1월 22~23일 YTN·엠브레인퍼블릭 조사에서 민주당 지지층(54%)의 찬성 비율이 국민의힘 지지층(30%)보다 높았던 것과 대조적이다. 이재명 전 민주당 대표가 공직선거법 2심 재판에서 무죄를 선고받고, 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된 뒤로 각 정당 지지층의 개헌 관련 선호도가 달라진 셈이다. 허진재 수석은 “이대로 대선 분위기가 흘러가면 이재명 전 대표가 5년 동안 대통령을 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개헌으로 판을 흔들기 싫은 민주당 지지층과 판을 흔들고 싶은 국민의힘 지지층이 상황이 뒤바뀐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정근영 디자이너

선호하는 권력 구조는 현행 대통령 중심제가 41%로 가장 높았다. 대통령이 외치를 맡고 국무총리가 내치를 맡는 분권형 대통령제는 24%, 국회 다수당이 행정부를 구성하는 의원내각제는 19%로 나타났다. 장승진 국민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대통령 중심제가 한국인에게 가장 익숙한 제도고, 87년 민주화 운동의 가장 큰 성과가 대통령 직선제여서 지지 여론이 더 높은 것으로 보인다”며 “의원내각제는 익숙하지 않은 데다가 국회에 대한 불신 때문에 지지도가 낮다”고 설명했다.

대통령 임기는 4년씩 두 번 할 수 있는 4년 중임제(62%)가 현행 5년 단임제(33%)보다 선호도가 높았다.
정근영 디자이너
개헌을 위한 국민투표 시기는 6·3 대선 때 실시(34%)와 내년 6월 지방선거 때 실시(34%)의 응답 비율이 같았다. 2028년 4월 총선 때 함께 해야한다는 의견은 22%였다. 눈에 띄는 점은 지지 정당별 차이였다. 민주당 지지층은 ‘이번 대선 때’가 25%, ‘지방선거 때’가 40%로 조사됐고, 국민의힘 지지층은 ‘이번 대선 때’가 40%, ‘지방선거 때’가 25%로 집계됐다. 국민의힘 지지층이 상대적으로 빠른 개헌을 원하는 셈이다.

윤 전 대통령 파면 결정에 ‘동의한다’는 응답은 73%로 ‘동의하지 않는다’(24%)는 응답의 세 배였다. 특히 ‘매우 동의한다’가 60%에 달했다. 보수세가 강한 대구·경북에서도 ‘동의한다’가 57%로 더 많았고, 70세 이상에서도 50%였다. 다만 국민의힘 지지층에선 ‘동의한다’가 34%로 ‘동의하지 않는다’(63%)보다 적었다.

장윤진 한국갤럽 여론분석실 부장은 “높은 연령대에서도 ‘동의한다’가 절반 나온 것을 보면 윤 전 대통령 파면에 대한 정당성은 확보된 것으로 보인다”며 “대선 국면으로 전환이 빨리 된 것”이라고 평가했다.

신재민 기자
◇여론조사 어떻게 진행했나 이번 조사는 중앙일보가 한국갤럽에 의뢰해 4월 8일~9일 전국의 만 18세 이상 남녀 1004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가상번호) 면접 조사 방식으로 진행했다. 응답률은 14.5%(6915명 중 1004명)이며 3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기준으로 성별·연령별·지역별 가중값을 부여했고,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최대 ±3.1%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www.nesdc.go.kr) 참조.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491 한동훈 최측근이던 장동혁, ‘반탄’ 김문수 캠프 총괄사령관으로 랭크뉴스 2025.04.18
45490 “음료수 줄게 따라올래?”… 서울 강남 초등학교서 학생 유괴 시도 랭크뉴스 2025.04.18
45489 ‘찔끔추경’, 얼어붙은 소비심리 되살릴 수 있나···“취약계층 직접 지원 늘려야” 랭크뉴스 2025.04.18
45488 강남 초교들서 '유괴미수' 의심신고…학부모 불안에 "전화 빗발"(종합2보) 랭크뉴스 2025.04.18
45487 영주시, 숨진 6급 팀장 '직장내 괴롭힘 피해' 조직적 은폐 의혹 랭크뉴스 2025.04.18
45486 정부, 12.2조 원 규모 추경안 국무회의 의결 랭크뉴스 2025.04.18
45485 [속보] 경찰, 문형배 대행 퇴임 맞춰 전담경호 해제 랭크뉴스 2025.04.18
45484 돌려차기 사건 피해자 김진주씨 "살아있다는 것만으로도 벅찬 삶, 행복하다" 랭크뉴스 2025.04.18
45483 "그걸‥ 비비기까지 했어요?" 대반전 판결에 쓰러진 엄마 랭크뉴스 2025.04.18
45482 "이재명 38%로 최고치…홍준표·한덕수·김문수 각각 7%"[한국갤럽](종합) 랭크뉴스 2025.04.18
45481 '윤 어게인' 신당 창당 돌연 보류…"尹이 만류했다"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4.18
45480 [속보]정부, 12조 규모 추경안 국무회의 의결 랭크뉴스 2025.04.18
45479 박정훈 대령 측 "2심에서 외압 근원 윤석열 증인 신청할 것" 랭크뉴스 2025.04.18
45478 "강남역에 누가 살고 있다" 출동하니... '7개월 실종' 중증 지적장애인 랭크뉴스 2025.04.18
45477 문형배, 퇴임사에서 '대인논증' 언급한 이유는 랭크뉴스 2025.04.18
45476 "尹 자진 탈당하라!" 급정색‥상처만 남긴 '3년 전 철수' 랭크뉴스 2025.04.18
45475 김동연 측, 여론조사 공정성 논란에 “심각한 범죄···진상 밝혀야” 랭크뉴스 2025.04.18
45474 이재명 캠프 좌장 윤호중 "어대명? 최대치는 55대 45, 마지막은 박빙" [대선 캠프 브레인 인터뷰] 랭크뉴스 2025.04.18
45473 법원, 尹 다음 주 재판도 지하출입 허용‥차량통제·검색강화 랭크뉴스 2025.04.18
45472 '尹 신당' 꿈틀하자 국힘 내부 비판론…'탈당' 요구도 고개 랭크뉴스 2025.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