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정부, 외교 지평 넓히고 북한 우회 압박 효과
조태열, 시리아 방문해 관계 발전 방향 협의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지난 10일 시리아 다마스커스에서 아스아드 알샤이바니 시리아 외교장관과 ‘대한민국과 시리아 간 외교관계 수립에 관한 공동성명’에 서명했다. 외교부 제공


한국과 시리아와 수교를 체결했다. 한국은 북한을 제외한 191개 모든 유엔국과 수교를 맺게 됐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지난 10일(현지시간) 시리아의 수도 다마스쿠스에서 아스아드 알샤이바니 시리아 외교장관과 ‘대한민국과 시리아 간 외교관계 수립에 관한 공동성명’에 서명했다고 외교부가 11일 밝혔다. 시리아와 공식 외교 관계를 수립한 것이다.

두 장관은 수교 이후 양국 관계 발전 방향 등을 두고 협의를 진행했다. 조 장관은 “시리아의 안정과 번영이 중동 평화, 더 나아가 글로벌 평화에 긴요하다”라며 “수교를 바탕으로 한 양측 간 협력이 시리아 발전과 중동의 안정에 기여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조 장관은 또 시리아의 국가 재건 과정에서 한국의 개발 경험을 전수할 의사를 밝히고, 제반 여건 개선 시 한국 기업의 재건 활동 참여 가능성도 타진했다고 외교부는 전했다. 조 장관은 아울러 의약품, 의료기기 및 쌀 등 인도적 물품을 제공해 시리아가 직면한 인도적 위기 대응을 지원할 의사도 밝혔다.

알샤이바니 장관은 한국의 개발 경험 공유 의사 및 인도적 지원 계획에 사의를 표했다. 그는 “대시리아 제재 완화를 위한 한국의 지원을 기대한다”라며 “향후 시리아 재건에 있어 한국의 기여 방안에 대해서도 지속 논의해 나가자”고 했다.

조 장관은 이어 아흐메드 알샤라아 대통령도 예방했다. 조 장관은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 축출 이후 포용적인 정부 구성을 통해 신정부가 성공적으로 출범한 것을 축하했다. 시리아 과도정부는 지난달 내각 명단을 발표한 바 있다. 조 장관은 “시리아가 포용적 정치 프로세스 지속, 극단주의에 대한 단호한 대응 및 화학무기 제거 등 국제사회의 요구에 부응해 나간다면 시리아 재건 및 지속적 경제 발전을 위한 우호적 환경이 조성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신정부의 노력을 지원하기 위해 한국도 필요한 역할을 하겠다”고 했다.

알샤라아 대통령은 한·시리아 외교관계 수립을 환영하고 “새로운 시리아의 출발에 한국의 지지가 긴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수교를 통해 한국과 시리아가 국제평화에 기여하는 우호 협력 관계를 발전시켜 나가자”고 했다.

시리아는 ‘아랍의 봄’ 이후 13년에 걸친 내전 끝에 반군 하야트타흐리르알샴(HTS)이 지난해 12월 알아사드 독재 정권을 몰아내면서 과도정부를 수립했다. HTS의 수장이던 아흐메드 알샤라가 과도정부의 임시 대통령을 맡고 있다. 시리아는 1966년 북한과 수교하고 친선관계를 맺어왔다. 그러나 주시리아 북한대사관은 지난해 알아사드 정권이 무너질 당시 철수했다.

알샤라 대통령은 시리아를 ‘정상 국가’ 궤도로 올리기 위해 외교전과 내치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서방 국가들은 13년간 이어진 내전 기간 시리아에 부과했던 제재를 부분적으로 완화하거나 해제하고 있다.

한국이 지난해 북한의 ‘형제국가’로 불렸던 쿠바와 수교한 데 이어 북한의 우방국인 시리아와도 국교를 수립하면서 외교의 지평을 넓힐 수 있게 됐다. 동시에 북한을 우회적으로 압박할 수 있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외교부는 “북한과의 밀착으로 관계가 두절됐던 시리아와의 관계에 새로운 협력의 장이 열리게 됐다”고 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 2월 시리아 다마스쿠스로 사절단을 보내 한국과의 수교 의사를 확인한 뒤 이를 추진해왔다. 정부는 지난 3월 국무회의에서 시리아와의 수교 체결 안건을 의결했다. 헌법 89조는 중요한 대외 정책이나 외국과의 조약안 등은 국무회의 심의를 거치도록 규정한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 »»»»» 정부, 시리아와 수료 체결…북한 제외 모든 유엔 국가와 수교 랭크뉴스 2025.04.11
46790 달러 약세에 유로화 1년 9개월 만에 최고치(종합) 랭크뉴스 2025.04.11
46789 "기갑차에 김여사 태우고 드라이브"…55경비단 출신 병사 주장 랭크뉴스 2025.04.11
46788 [단독] 잇따른 헌법소원, 주심에 마은혁…‘지명 타당?’ 논란 계속 랭크뉴스 2025.04.11
46787 백악관 “중국에 대한 합계 관세 125%가 아닌 145%” 랭크뉴스 2025.04.11
46786 기록적 폭등 뉴욕증시 하루만에 3대지수 동반 급락세(종합) 랭크뉴스 2025.04.11
46785 [사설] 이재명, '국민 통합' 주도로 리더십 우려 불식하길 랭크뉴스 2025.04.11
46784 한국의 194번째 수교국 된 北 혈맹 시리아… 외교 지도 마지막 퍼즐 맞췄다 랭크뉴스 2025.04.11
46783 백악관 "中 합계관세 125% 아닌 145%"…보복관세 다시 정정 랭크뉴스 2025.04.11
46782 백악관 "대중국 관세 합계, 125% 아니라 145%" 펜타닐 관세 20% 랭크뉴스 2025.04.11
46781 백악관 “대중국 합계 관세 125% 아닌 145%”…미 매체들 보도 랭크뉴스 2025.04.11
46780 미러 외교공관 정상화 2차 회동 "직항·은행 서비스 논의"(종합) 랭크뉴스 2025.04.11
46779 트럼프 관세에 돈 푸는 日…전국민에 현금 50만원 지급 추진 [지금 일본에선] 랭크뉴스 2025.04.11
46778 한국, 시리아와 수교…191개 유엔 회원국과 수교 완결 랭크뉴스 2025.04.11
46777 애플 주가, 미·중 관세전쟁 격화로 5% 급락…테슬라 8%↓ 랭크뉴스 2025.04.11
46776 만취 승객 토한 것처럼 꾸며 돈 뜯은 택시기사…피해자 160명 랭크뉴스 2025.04.11
46775 “왜 게임 못 하게 해” 휴대전화로 교사 얼굴 가격한 고3 랭크뉴스 2025.04.11
46774 EU, 대미 보복관세 90일간 보류···“협상 안 되면 발효” 랭크뉴스 2025.04.11
46773 미국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2.4%···예상치 하회 랭크뉴스 2025.04.11
46772 美인태사령관 "주한미군 철수·감축시 北 남침 가능성 커져"(종합) 랭크뉴스 2025.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