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조류 인플루엔자 확산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습니다.
주로 철새를 통해 닭, 오리 등이 감염돼 왔지만, 최근에는 포유류를 거쳐 사람이 옮는 사례들도 급증하는 추세입니다.
전파력이 강한 H5N1형의 전 세계 확진자는 지난해 81명.
1년 전보다 7배 가까이 늘었고, 미국 등에선 9명의 사망자도 나왔습니다.
향후 '사람 간 전파'도 가능해질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오면서, 전문가들은 제2의 팬데믹이 온다면, 조류 인플루엔자가 그 원인이 될 거라고 경고했습니다.
우리도 백신 비축 등 준비를 서둘러야 하는데, 국내에서 개발된 백신은 아직도 효과가 검증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홍성희 기자가 단독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조류 인플루엔자의 인체 감염으로 인한 사망 사례.
최근 미국과 멕시코에서 잇따라 확인됐습니다.
미국에서는 지난해 확진된 감염자 66명 가운데 한 명이 올해 숨졌고, 멕시코에서도 최근 3살 어린이가 숨졌습니다.
대부분이 젖소 등 접촉이 잦은 포유류를 통해 고병원성 H5N1 바이러스에 감염된 걸로 추정됩니다.
그리고 같은 종류의 바이러스가 최근 고양이, 삵 등 국내 포유류에서도 검출되고 있습니다.
[지영미/질병관리청장/지난 1월 : "언제라도 조류인플루엔자의 인체 감염 전파, 대유행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굉장히 강하게 보여 주고 있습니다."]
제2의 팬데믹 가능성까지 거론되자 지난해 정부는 국내외 백신 비축을 약속했습니다.
국내의 H5N1형 백신은 10년 전 승인받은 한 제약사의 백신이 유일합니다.
그마저 개발 당시엔 2000년대 초 유행한 바이러스를 기초로 만들어진 제품입니다.
질병관리청은 국회 답변 자료를 통해, "현재 해외에서 유행 중인 조류 인플루엔자에 대한 해당 백신의 효과성 입증 결과는 보고된 바 없다"고 밝혔습니다. (김윤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제공)
대안으로 해외 백신도 검토해야 하지만, 예산이 없습니다.
질병청은 지난해 예산 70억 원을 신청했는데 국회에서 전액 삭감됐습니다.
[김우주/고려대학교 백신혁신센터 교수 : "코로나19 팬데믹 시 백신의 중요성을 그렇게 실감하고도 금방 잊어버린 것 같습니다. (백신이) 사회적 거리두기의 폐해 없이도 인명 피해도 줄이고..."]
세계보건기구는 H5N1 바이러스의 인체 감염시 치명률이 50%에 육박한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KBS 뉴스 홍성희입니다.
촬영기자:이상훈/영상편집:유지영/그래픽:고석훈 김지혜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