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스데스크]
◀ 앵커 ▶

임기 내내 비판적 언론을 적대시했던 윤 전 대통령은 내란을 감행했다가 결국 파면됐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쫓겨난 대통령의 폐단을 답습하며 정치적 갈등을 키우고 사회적 비용을 유발하고 있는 장관급 고위공직자가 있습니다.

바로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인데요.

이러한 고위공직자의 존재가 왜 단순한 논란을 넘어 우리 사회를 위협하는지, 이용주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 리포트 ▶

대통령이 파면된 지난 4일 밤.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이 SNS에 짧은 글 한 줄을 올렸습니다.

'역사에 죄송한 날'.

누가, 왜 죄송한 것인진 모호합니다.

다만 밑에 달린 70여 개의 댓글들은 이 위원장의 속마음을 꿰뚫고 있다는 듯 헌법재판소와 민주당, 언론을 비난합니다.

고도의 중립성을 요구받는 장관급 고위 공직자가 편향된 정치적 발언을 통해 불특정 다수의 시민들과 교감한 겁니다.

이같은 이 위원장의 일탈이 어제오늘의 일은 아닙니다.

국회의 탄핵소추로 직무가 정지된 기간에도 그는 극우 세력의 눈에 들려고 애썼습니다.

[이진숙/방송통신위원장 (작년 9월 10일)]
"<별명이 일단 어떠신지 '보수 여전사'.> '보수의 여전사' 참 감사한 말씀이고요. 가짜 좌파들하고는 우리가 싸우는 전사들이 필요하다…"

[이진숙/방송통신위원장 (작년 9월 20일)]
"<자유 우파 국민이 부여한 자랑스러운 간판입니다. 자, 보수 여전사! 이진숙!> 감사합니다."

어지간한 여당 의원들도 혀를 내두를 만큼 야당과 비판 언론, 노동조합을 헐뜯었습니다.

[이진숙/방송통신위원장 (지난달 5일, 국회 현안질의)]
"윤석열 대통령을 내란 우두머리라고 이야기한다면 이재명 대표에 대해서도 허위사실 유포범 또는 대북 불법송금범 이렇게 부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진숙/방송통신위원장 (작년 10월 7일, 국회 국정감사)]
"(MBC가) 편파적인 보도를 하기 때문에 많은 국민들이 '민노총 방송사' 또는 '민주당 방송사'로 불리고 있다고…"

과거 대통령의 최측근이란 꼬리표를 달고 중립성을 의심받았던 전임 위원장들조차, 적어도 말로는 상대를 존중했습니다.

[최시중/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 (2008년 3월, 국회 인사청문회)]
"저는 만약 위원장에 임명된다면 아마 야당의 기능, 야당의 임무를 수행하는 일꾼이 되리라고 믿습니다."

[이경재/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 (2013년 4월, 국회 인사청문회)]
"특히 야당 위원님들께서 많은 투쟁을 잘해 주셔서 상당히 방송 공공성에 관한 부분을 확보해 주신 것은 저 개인적으로는 높이 평가를 드립니다."

이진숙 위원장은 사법부도 안중에 없습니다.

방통위의 위법적인 '2인 의결'이 법원에서 잇따라 철퇴를 맞았지만, 자신이 '사랑한다'는 후배를 공영방송 사장에 임명하고, 지상파 방송사업자 재허가 심사를 강행합니다.

소송이 불 보듯 뻔한데도 고집을 꺾지 않고, 패소하면 혈세를 쌈짓돈 삼아 2심, 3심까지 법정 다툼을 끌고 갑니다.

왜 이렇게까지 하는 걸까요.

이 위원장은 지난 2019년 '1호 인재'로 자유한국당에 들어갔고, 3년 뒤 지방선거에선 대구광역시장에 도전장을 내밀었습니다.

지금도 지역 정가에선 그가 재도전할 거란 하마평이 상당한 걸로 전해집니다.

누구나 정치에 뜻을 둘 순 있습니다.

그러나 행정부의 주요 기관장으로서 삼권분립의 다른 축인 국회와 법원을 무시하다시피 하는 공직자라면 어떨까요.

대통령 파면 못지않은 우리 정치사의 불행입니다.

MBC뉴스 이용주입니다.

영상편집: 안윤선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

MBC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196 李캠프 "'도봉역 벤츠사건' 허위정보 유포자 고발…엄벌해야" 랭크뉴스 2025.04.17
45195 국회, 반도체특별법·은행법·가맹사업법 패스트트랙 지정 랭크뉴스 2025.04.17
45194 홍준표, 명태균 의혹 질문에 "이재명에 형수 욕설부터 물어보라" 랭크뉴스 2025.04.17
45193 문형배 “비상계엄은 관용과 자제 넘은 것, 통합 담으려 시간 걸려” 랭크뉴스 2025.04.17
45192 韓 대망론 커질까 꺼질까, 국힘 경선 통과자 나오면 보인다 랭크뉴스 2025.04.17
45191 문형배 "尹 탄핵 선고, 모순은 없다" 퇴임 전날 직접 입 열었다 랭크뉴스 2025.04.17
45190 윤석열, 파면 후 일주일간 수돗물 228톤 썼다... "평균치의 75배" 랭크뉴스 2025.04.17
45189 경찰, ‘불법 도박 혐의’ 개그맨 이진호 검찰 송치 랭크뉴스 2025.04.17
45188 이재명 "임기 내 세종 행정수도 완성"... 충청 표심 잡고 대권으로 랭크뉴스 2025.04.17
45187 "잘못했습니다" 봐 달라던 제주도…순대 6개에 '2만 5000원' 먹고 무더기 '식중독' 랭크뉴스 2025.04.17
45186 나경원 "취임 즉시 핵 주권 확보‥1년 안에 핵무장 결단" 랭크뉴스 2025.04.17
45185 "와 한국 진짜 망했네요"…외신도 경악한 '7세 고시' 결국 랭크뉴스 2025.04.17
45184 불닭 잘나가니 개미도 ‘줍줍’…삼양, 1년새 소액주주 80% 증가 랭크뉴스 2025.04.17
45183 “다른 과였다면 진작 유급·제적”…의대 증원 철회에 대학생들 부글부글 랭크뉴스 2025.04.17
45182 집값 오르자 “낮춰서 발표하라”… 文정부, 4년간 102번 통계 조작 랭크뉴스 2025.04.17
45181 내년 의대 증원 폐기에 복지부 '부글부글'··· 전문가도 "정책 신뢰 훼손" 질타 랭크뉴스 2025.04.17
45180 정대철 "이재명, 탄핵 전날엔 개헌하자더니‥일주일도 안 가" 랭크뉴스 2025.04.17
45179 방통위 '의사정족수 3인 이상' 법안, 국회 재표결서 부결 랭크뉴스 2025.04.17
45178 [단독] ​한전 배전망 감시체계 장애…전력 안정성 우려 랭크뉴스 2025.04.17
45177 '피고인석 尹' 법정모습 공개하고 기록 남긴다…"국민 알권리"(종합) 랭크뉴스 202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