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박근혜 탄핵 때는 1달 내내 격론 끝에 합의
이번에는 이틀 만에 격론 없이 마무리 방침
"당원 주권 강화 방안 도입 방법이 핵심"
김두관 측 공개 반발 "민주적 방법 아냐"
"이재명 독주 아니었으면 조용했겠나"
박찬대(가운데) 더불어민주당 대표 직무대행이 10일 국회에서 이재명 전 대표의 대선 출마선언 영상을 지켜보고 있다. 고영권 기자


6·3 대선 후보 선출을 위한 더불어민주당의 당내 경선 룰 제정이 '초고속 모드'다. 회의는 단 두 번만 거쳤고, 이재명 전 대표를 제외한 나머지 주자들의 의견수렴 절차도 당일에서야 서둘러 진행됐다. 민주당은 대선 타임라인이 촉박하다는 점을 내세웠지만, '어대명(어차피 대통령은 이재명)' 분위기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상징적 장면이란 평가다.
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특별당규위)는 10일 대선 후보 경선 규칙 초안을 두고 회의를 벌였다. 위원회 관계자는 "최종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경선 규칙 초안은 이르면 이튿날 최고위원회의와 당무위원회를 거쳐 다음 주 초 최종 확정될 가능성이 높다.
과거와 비교해도 엄청난 속도전이다. 민주당은 지금과 같은 탄핵 정국이었던 2017년에는 박근혜 전 대통령이 파면되기 전 약 한 달 동안 무려 8차례 격론이 오고가는 회의를 거친 끝에 경선 규칙을 만들었다. 하지만 이번에는 특별당규위가 전날 이재명 전 민주당 대표가 사퇴한 후 이틀 만에 단 두 번의 회의만을 거쳐 경선 규칙을 확정하기로 했다.
문제는 속도에 집중하다보니, 이 전 대표를 제외한 나머지 주자들의 의견 수렴 과정은 미흡했다는 점이다. 실제 특별당규위는 이날 오전 김동연 경기지사와 김두관 후보 측에 대선 경선 규칙과 관련한 입장을 내라고 '통지'했다. 이를 두고 일부 후보 진영에선 '요식행위'라는 불만이 터져 나왔다. 김두관 후보 측은 논평을 내고 "대선 경선 후보자가 지정한 책임자 간의 합의 과정 없이 당이 일방적으로 경선 규칙을 정하는 건 민주적 절차와 과정이 아니다"라고 공개 반발했다.
그러나 특별당규위도 별다른 동요 없이 시간관계상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민주당은 그간 "벌써 정권을 잡았다는 거냐"는 역풍과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전선이 흐릿해질 가능성을 우려해 당내 경선의 시작점인 경선 규칙 제정 절차를 밟지 않았다. 그 여파로 조기 대선 준비 타임라인은 더욱 촉박해졌다. 경선 규칙 제정과 지역 순회 경선 등을 포함해 한 달 내로 당내 경선이 끝나야 하는 상황인 것이다. 따라서 경선 규칙 제정에 오랜 시간을 할애할 수 없다는 게 특별당규위의 판단이다.
두 후보 측은 이 전 대표 지지세가 높은 권리당원의 반영 비율을 줄이고 전 국민 투표(오픈프라이머리) 등을 통해 대선 후보를 정하자는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결론적으로 수용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이춘석 위원장은 전날 첫 번째 회의에서 "이번 대선은 당원 주권을 선포하고 처음으로 대선 후보를 뽑는 것"이라며 "당원 주권을 강화하는 방안을 어떻게 도입할 건지가 중요 과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주자들 주장대로 권리당원 몫을 포기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조승래 수석대변인도 “오픈프라이머리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며 “특별당규 정할 때 당원투표로 하는데 당원들이 현실적으로 동의하겠냐"고 말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363 아부성 질문에 돌격대 노릇까지‥확 달라진 백악관 기자들 [World Now] 랭크뉴스 2025.04.12
47362 [속보] 트럼프 "상호관세 10%가 하한선…예외 있을 수도" 랭크뉴스 2025.04.12
47361 “기자님, 생물학적 성별을 밝히세요”…미 백악관 방침이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12
47360 美관세발 글로벌 폭락장에 꿋꿋한 한국 증시…코스닥 ‘플러스’ 랭크뉴스 2025.04.12
47359 콜비가 던진 '거부 전략'…'한국을 위대하게' 전략될수도 [Focus 인사이드] 랭크뉴스 2025.04.12
47358 美 관세에 전기차 싸진다는데…아이오닉 얼마에 살 수 있을까[돈.보.경] 랭크뉴스 2025.04.12
47357 [속보] 트럼프 "일부 예외 있을 수 있지만, 상호관세 10%가 하한선" < 로이터 > 랭크뉴스 2025.04.12
47356 미·중 관세전쟁에도 반등한 뉴욕증시···왜? 랭크뉴스 2025.04.12
47355 광명 붕괴사고 실종자 이틀째 수색…구조견 7마리·중장비 투입 랭크뉴스 2025.04.12
47354 ‘광명 공사장 붕괴’ 밤샘 수색 끝에 1명 구조…1명은 실종 랭크뉴스 2025.04.12
47353 "우황청심환 상표 모델 소나무"…'올해의 나무' 10그루 사연 보니 랭크뉴스 2025.04.12
47352 [속보] 트럼프 “일부 예외 있을 수 있지만, 상호관세 10%가 하한선” 랭크뉴스 2025.04.12
47351 비 와서 꽃구경 못 가 시무룩한가요…다음주 여기 어때요 랭크뉴스 2025.04.12
47350 “대통령실 옮긴다” 소문에...‘세종’ 부동산 들썩 랭크뉴스 2025.04.12
47349 흔들리는 반도체 ‘최강자’ 위용...위기의 삼성전자 랭크뉴스 2025.04.12
47348 광명 붕괴사고 현장서 20대 노동자 13시간 만에 극적 구조 랭크뉴스 2025.04.12
47347 “생고기를 저렇게 옮기면 안 되죠”…백종원, 또 식품위생 논란 [잇슈#태그] 랭크뉴스 2025.04.12
47346 尹 자택 앞에서 "윤 어게인" 연호한 지지자들… 곳곳에선 고성 오가며 실랑이도 랭크뉴스 2025.04.12
47345 국힘이 한덕수를 부른다…온건보수 결집 가능성에 민주 ‘경계’ 랭크뉴스 2025.04.12
47344 광명 신안산선 공사현장 밤샘 수색…1명 구조·1명 실종 랭크뉴스 2025.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