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2년 이영진 재판관 알선수수 의혹, 임기 중 수사
2005년 이상경 재판관 탈세의혹 제기, 자진 사퇴
피의자 신분으로 재판관 지명 사례는 한 차례도 없어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된 이완규 법제처장이 지난 8일 서울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한 후 청사를 나서면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가 오는 18일 퇴임하는 문현배 헌법재판소 소장 권한대행과 이미선 재판관의 후임으로 이완규 법제처장과 함상훈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를 지난 8일 지명해 논란이 일고 있다. 대통령 권한대행이 ‘대통령의 임명권’을 적극적으로 행사하는 것에 위헌 소지가 있을 뿐 아니라 이 처장이 내란방조 피의자로 조사를 받고 있기 때문이다.

헌법재판관이 수사를 받은 사례는 과거에도 있었다. 재판관으로 재직하면서 비위 사실이 불거진 경우다. 피의자 신분으로 임명이 된 적은 한 번도 없었다.

지난해 10월 퇴임한 이영진 전 재판관은 2021년 10월 특정범죄 가중처벌법상 알선수재·청탁금지법 위반 혐의로 고발됐다. 이 전 재판관은 인척관계인 사업가 이모씨의 고등학교 친구인 사업가 A씨의 이혼소송을 알선해준다는 명목으로 골프 및 만찬 비용, 현금 500만원, 골프의류를 받았다는 의혹을 받았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이를 수사했고 2024년 4월 ‘혐의없음’으로 불기소 처분했다. 이 전 재판관은 6년 임기를 모두 채우고 퇴임했다.

2005년 5월에는 이상경 전 재판관이 10년 동안 건물 임대소득을 줄여 신고하는 수법으로 소득세를 탈루했다는 의혹을 받았다. 이 전 재판관은 임기를 4년 이상 남겨 둔 같은 해 6월 자진해서 사퇴했고 이후 시민단체 고발로 국세청 조사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 권한대행이 이번에 재판관으로 지명한 이완규 처장은 ‘12·3 비상계엄사태’ 다음날인 지난해 12월4일 밤 서울 용산 대통령 안전가옥(안가)에서 박성재 법무부 장관, 이상민 당시 행정안전부 장관, 김주현 대통령실 민정수석비서관과 회동해 내란 방조 혐의로 경찰과 공수처에서 수사를 받고 있다. 경찰은 이 회동에서 비상계엄 관련 법률검토를 했다고 의심한다. 이 처장은 이 회동 이후 자신의 휴대전화를 교체해 증거인멸 혐의도 받는다. 경찰은 이 처장을 피고발인으로 불러 한차례 조사했다.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은 지난 9일 한 권한대행과 이 처장을 내란 및 내란부화수행죄로 추가 고발했다. 앞서 지난해 12월 시민단체 투기자본감시센터, 사법정의바로세우기시민행동(사세행)은 이 처장을 내란방조와 증거인멸 혐의로 고발했다. 이 고발 사건과 관련해 공수처는 아직 이 처장을 부르지 않았는데, 추가 고발까지 나오면서 관련 수사는 한동안 계속될 전망이다.

5·18서울기념사업회는 10일 성명을 내고 “(이 처장은)현재 내란공범으로 공수처의 수사를 받는 피의자 신세로, 헌법재판관으로 지명된 데 대해 분노와 배신감을 넘어 참담함을 금할 수 없다”고 밝혔다. 한 헌법연구관 출신 변호사는 경향신문 기자와 통화에서 “국민 눈높이에서 재판관은 최소한의 요건만 갖추기를 원하는 게 아니라 법조인 중에서도 존경받는 인물이어야 하는데 그에 비춰볼 때 이번 지명은 전혀 부합하지 않는다”며 “수사 중인 당사자를 후보자로 그간 지명한 사례가 없었던 이유일 것”이라고 말했다.

[단독]계엄 수사 ‘피의자’ 이완규, 공수처·경찰이 수사 중···경찰은 이미 소환조사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가 새 헌법재판소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한 ‘윤석열 전 대통령 40년 지기’ 이완규 법제처장이 12·3 비상계엄과 관련해 피의자 신분으로 수사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은 이미 이 처장을 한 차례 소환 조사했고,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는 이 처장을 피의자로 입건해 수사 중이다. 8일 경향신문 취재 결과...https://www.khan.co.kr/article/202504081603001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305 미국 달 가는 길목에 먼저 위성망 구축한 중국...확대하는 우주 패권 경쟁 랭크뉴스 2025.04.18
45304 신축 찾는 3040 따라 인구 ‘출렁’… 양주 지난해 2만여명 급증 랭크뉴스 2025.04.18
45303 ‘국민 배신’ 비판에도 의대 증원 1년 만에 ‘원점’…갈등 불씨는 여전 랭크뉴스 2025.04.18
45302 논란의 '한덕수 대선 출마' 국민 10명 중 6명의 답변은 [NBS] 랭크뉴스 2025.04.18
45301 “트럼프 과두제와 싸우자”…미 정치판 뒤흔드는 2인 랭크뉴스 2025.04.18
45300 [대선언팩] 민주화 이후 ‘충청의 마음’ 사로잡은 후보가 대통령 당선 랭크뉴스 2025.04.18
45299 의료계에 휘둘린 ‘빈손 개혁’… 환자 고통·학사 파행 부작용만 랭크뉴스 2025.04.18
45298 "세 살 버릇 여든 넘게 가네"…'81세' 장영자, 사기로 또다시 징역 1년형 랭크뉴스 2025.04.18
45297 미국서 쫓겨난 한국인 교수… "트럼프 행정부가 돌연 비자 취소" 랭크뉴스 2025.04.18
45296 ‘KBS 수신료 통합징수’ 국회 재표결 통과…국힘 반란표 ‘21표’ 랭크뉴스 2025.04.18
45295 트럼프, '금리 인하 신중' 파월에 "임기 빨리 끝나야" 랭크뉴스 2025.04.18
45294 트럼프, 관세 정책 우려한 파월 연준 의장에 “임기 빨리 끝나야” 랭크뉴스 2025.04.18
45293 시험 문제 사고팔고…참 부끄러운 스승들 랭크뉴스 2025.04.18
45292 “안정” 강조한 한덕수, 정치적 행보로 ‘국정 불안정’만 가중 랭크뉴스 2025.04.18
45291 IMF 총재 "내주 새 경제전망 눈에 띄게 하향…리세션은 아니다" 랭크뉴스 2025.04.18
45290 "매일 붙어있던 개인데"…美서 생후 7개월 아이, 핏불에 물려 사망 랭크뉴스 2025.04.18
45289 "비행기 탔다가 '고문' 당하는 줄"…中 항공사 '초슬림 좌석' 갑론을박 랭크뉴스 2025.04.18
45288 뉴욕증시, 유나이티드헬스 실적 실망감이 반등세 꺾어…하락 출발 랭크뉴스 2025.04.18
45287 [사설] 도로 3058명… 이게 환자 목숨 1년 볼모 결과라니 랭크뉴스 2025.04.18
45286 "미군 왜 경례 안하지?" 軍 좋아했지만 軍 몰랐던 '밀덕 尹' [尹의 1060일 ⑩] 랭크뉴스 2025.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