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이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한 상호 관세를 90일 동안 유예하기로 했습니다.
다만 보복 관세로 대응한 중국에 대해선 추가 관세를 적용해 모두 125%의 관세를 즉시 부과하겠다고 했습니다.
워싱턴 김지숙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 관세를 90일 동안 유예하겠다고 전격 발표했습니다.
상호 관세 전면 발효 13시간 만입니다.
앞으로 90일 동안은 10% 기본 관세만 적용됩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사람들이 조금 선을 넘었다고 생각했어요. 다소 과격해지고, 겁을 먹더라고요."]
반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는 104%에서 125%로 즉시 인상했습니다.
중국이 미국에 대한 보복 관세를 새로 발표하자, 다시 재보복성 관세를 물린 겁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제가 말했죠. 보복하면 관세를 두 배로 올린다고요. 중국이 보복했기 때문에 그렇게 한 겁니다."]
대미 보복을 선언한 중국에 대한 압박 수위를 최대한 끌어 올려 미중 관세 전쟁에 화력을 집중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됩니다.
또, 무차별적 관세 폭격으로 증시가 급락하고 경기 침체 우려가 확산되는 등 미국 내 비판 여론도 영향을 미쳤을 거란 분석입니다.
다만, 베센트 재무장관은 증시 폭락이 관세 유예 배경이냐는 질문엔 아니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스콧 베센트/미 재무장관 : "아닙니다. 75개국 이상이 협상을 위해서 우리에게 연락을 했기 때문입니다."]
각국이 연락을 해 오고 있으며 맞춤형 협상을 하기 위해선 시간이 필요하다는 겁니다.
그러면서 기본 관세 10%는 하한선, 국가별 상호 관세율은 상한선이란 점도 분명히 했습니다.
관세 유예를 통해 얻고자 하는 건 무엇이냔 질문엔, 알래스카 LNG 사업을 언급하며 한국을 콕 집어 거론하기도 했습니다.
상호 관세가 유예되면서 숨가쁘게 진행되던 관세 협상 국면에서 우리 정부도 일단 한숨 돌리게 됐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촬영기자:박준석/영상편집:이재연/그래픽:이호영/자료조사:박은진 김나영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